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들뢰즈 존재론과 통합교육의 변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56006

      • 저자
      • 발행사항

        공주 :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공주대학교 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2015. 8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기타서명

        Deleuze's Ontology and Transformation of Inclusive Education

      • 형태사항

        117장.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곽승철
        참고문헌 : 106-114장

      • 소장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practically transform the inclusive education theory, as well as intends to experimentally surpass inclusive education’s—an issue of practice philosophy—slant to one direction and its development into a blind practice or void ...

      This paper aims to practically transform the inclusive education theory, as well as intends to experimentally surpass inclusive education’s—an issue of practice philosophy—slant to one direction and its development into a blind practice or void theory. To this end, we attempted a new composition of inclusive education, encompassing existing theories on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Gilles Deleuze's ontology, modern metaphysics, and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To move philosophy into the area of practice, we first initiated our discussion from ontology. Resultantly, we were able to obtain a few new concepts for practice while reviewing our inclusive education through the ontology of difference. The concepts newly derived through the discussion in Chapter IV are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may be transformed into an open system in a relationship with the outside that special education is equal to inclusive educations. The reason is that when an arbitrary integration was premised, which enables only certain inclusive education as in internal structure of current special education, contrasting inclusive education with separated education, the production of realistic inclusive education is also restricted.
      Second, special education needs to bring in a “maximal expansive assemblage” as a new code to transform the entire educational assemblage together with a minimally restrictive environment, the current dominant code. This aims to make special education assemblage a singular point to transform the entire educational assemblage by contacting special education assemblage with artistic, vocational, and social assemblages, not just the general education assemblage.
      The two concepts presented above have been derived from the logical structure and realistic practice of inclusive education, respectively. By summarizing the two concepts derived through the discussion in Chapter IV, we consider the inclusive education we composed may be expressed as the concept of “positive inclusive education.”
      Next, from a more practical context, we were able to obtain a new concept related to the issues of the subjects to implement practice from the theory of special education to actualize a positive inclusive education. The concepts newly derived through the discussion in Chapter V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l structures of Nietzsche/Deleuze's eternal recurrence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were compared, and the result was that causation and temporality, on which each concept was premised, differed. In addition, there was another difference in that the self of eternal recurrence was defined as a complex body composed of multiple powers and affects, unlike the self of free will, which made reason a privilege. In this regard, special education needs to bring in a “generative complex body,” which affirms the generation of the present for the composition of practical theories in contact with reality as the self of special educ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Nietzsche/Deleuze's affirmation and affirmation in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PBS needed to include positivity, which is the quality of affirmation belonging to power and will in its principle. In addition, in that affirmation was the relationship among powers, the practical issue of behavioral support needed to be expanded to increase the sentiment of gladness. We can call the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of behavior support according to the discussion of the practical philosophy of “affirmative ethology.”
      Lastly, we can say the following about the transformation of inclusive education by synthesizing the newly derived concepts.
      Positive inclusive education and affirmative ethology, the contexts of the whole discussion, are a generative complex body in the same meaning as the dimension of ordinary individuals or the entire educational assemblage. The problem lies in whether our behavioral capabilities have an intensity to transform the system of assemblage.
      When we are responsive in a relationship with other bodies, positive inclusive education will remain only as something potential. On the other hand, when we are “active,” a transformation of the entire educational assemblage may result. To this end, we should be able to put forth our most attractive and refined selves. It is the reason why we emphasized inclusive education, as it is equal to inclusive educations as a maximally open system in a relationship with the outside. By experimenting on contact with diverse assemblages, not just general education, a more active response to other body parts will be enabled in the entire educational assemblage. Such inclusive education can be called the “community education of active aff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내용 8
      • Ⅱ. 들뢰즈의 존재론과 실천철학 11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내용 8
      • Ⅱ. 들뢰즈의 존재론과 실천철학 11
      • 1. 차이와 반복 11
      • 2. 무의식과 욕망 27
      • Ⅲ. 배치(agencement)의 구성과 운동 34
      • 1. 배치의 구성 34
      • 2. 다양체로서 배치 37
      • Ⅳ. 통합교육 배치의 존재론적 변환 46
      • 1.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의 관계 재구성 47
      • 2. 통합교육 배치의 변환과 이행 67
      • Ⅴ. 특수교육 이론의 실천적 확장 85
      • 1. 자기결정 이론에서 주체의 확장 87
      • 2. 행동지원 이론에서 긍정의 확장 94
      • Ⅵ. 결론 103
      • 참고문헌 106
      • Abstract 11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정동호, "니체", 서울: 책세상, 2014

      2 이진경, "노마디즘1", 서울: 휴머니스트, 2002

      3 이진경, "노마디즘 2", 서울: 휴머니스트, 2002

      4 황원영, "특수교육철학", 교육과학사, 파주: 교육과학사, 1997

      5 이소현, 박은혜,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1

      6 김원경, "최신특수교육학",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8

      7 교육부, "2014 특수교육통계", 아산: 국립특수교육원, 2014

      8 조용환, "교육인류학과 질적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5(2), 1-21, 2012

      9 김정권, "특수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2(3),213-225, 2001

      10 김병하, "특수교육의 역사와 철학", 대구대학교출판부, 경산: 대구대학교출판부, 2012

      1 정동호, "니체", 서울: 책세상, 2014

      2 이진경, "노마디즘1", 서울: 휴머니스트, 2002

      3 이진경, "노마디즘 2", 서울: 휴머니스트, 2002

      4 황원영, "특수교육철학", 교육과학사, 파주: 교육과학사, 1997

      5 이소현, 박은혜,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1

      6 김원경, "최신특수교육학",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8

      7 교육부, "2014 특수교육통계", 아산: 국립특수교육원, 2014

      8 조용환, "교육인류학과 질적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5(2), 1-21, 2012

      9 김정권, "특수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2(3),213-225, 2001

      10 김병하, "특수교육의 역사와 철학", 대구대학교출판부, 경산: 대구대학교출판부, 2012

      11 李泰榮, "특수교육의 철학적 기저", 한국재활과학회, 난청과 언어장애, 8(1), 3-6, 1985

      12 Spinoza, B., "에티카. 강영계 옮김 (2007)", 파주: 서광사, 2007

      13 박정태,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중 「스피노자, 그리고 마르시알 게루의 일반적 방법」의 역자 주. Deleuze, G.의 「Spinoza et la methodegenerale de M. Gueroult」(1969) 한국어판. 서울: 이학사, 2007

      14 이유훈, "특수교육의 패러다임 이동", 파주: 교육과학사, 2002

      15 이정우, "사건의 철학 : 삶, 죽음, 운명", 그린비, 서울: 그린비, 2011

      16 정대영, "통합교육의 개념과 쟁점 고찰", 한국통합교육학회, 통합교육연구, 1(1), 1-21, 2006

      17 진은영, "니체, 영원회귀와 차이의 철학", 서울: 그린비, 2007

      18 서동욱, "들뢰즈의 철학 -사상과 그 원천", 민음사, 서울: 민음사, 2002

      19 정은, "특수교육학에 대한 반성적 성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12(2), 311-336, 2011

      20 김병하, "특수교육의 정체성: 무엇을 어떻게",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3(2), 151-159, 2002

      21 김승국, "특수교육의 발전과 통합교육의 추진", 특수교육, 서울: 특수교육, 2003

      22 곽영순, "질적 연구 :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교육과학사, 파주: 교육과학사, 2009

      23 김삼섭, "통합교육 둘러보기-함께 사는 사람들", 시그마프레스,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8

      24 김삼섭, "특수교육의 정체성 제고를 위한 고언", 한국특수교육학회, 한국특수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13, 2010

      25 곽영순,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앎에서 삶으로", 파주: 교육과학사, 2014

      26 이진경, "코뮨주의 : 공동성과 평등성의 존재론", 그린비출판사, 서울: 그린비, 2010

      27 이진경, "옮김 카프카: 소수적인 문학을 위하여", 서울: 동문선, 2001

      28 이유훈, "특수교육 패러다임의 이동과 대응방안",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7(2), 1-31, 2014

      29 민천식, "특수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문화적 담론",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12(4),2113-229, 2010

      30 한성희 ( Seong Hee Han ), 이미애 ( Mi Ae Lee ), 남윤석 ( Yun Sug Nam ), "장점 중심 특수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정서 행동장애연구, 25(2), 239-267, 2009

      31 문병화, "Foucault의 사상에 함의된 특수교육의 방향",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5(3), 109-165, 2012

      32 김병하, 박경란 ( Byung Ha Kim ), "교육본질 복원으로서의 특수교육론 정립",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이론과실천, 11(4), 69-91, 2010

      33 이정우, "천하나의 고원 : 소수자 윤리학을 위하여", 파주: 돌베개, 2008

      34 김병하, "한국 특수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논쟁", 특수교육저널: 이론과실천, 9(1), 303-323, 2008

      35 Deleuze, G., "Pourparlers. 김종호 옮김 (1993). 대담(1972~1990)", 서울: 솔, 1990

      36 소광희, "형이상학과 존재론 2: 현대 존재론의 향방", 서울: 철학과현실사, 1995

      37 김병하, "장애인 당사자주의의 특수교육(학)적 함의", 특수교육학연구,40(1), 1-22, 2005

      38 김병하, "특수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정립과 그 과제", 특수교육학연구,33(1), 5-21, 1998

      39 민천식, "특수교육 탐구방법으로써 비평적 실용주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15(1), 57-77, 2013

      40 김병하, "특수교육의 정체성 : 보편성과 특수성 논쟁", 특수교육학연구,38(1), 67-90, 2003

      41 홍은숙, "구성주의 인식론이 특수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특수교육학회, 특수교육학연구,42(1), 77-96, 2007

      42 김재인, "들뢰즈의 비인간주의 존재론.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43 김도현, "장애인 당사자주의의 비판적 이해를 위하여", 진보평론, 진보평론, 52,172-190, 2012

      44 소광희, "형이상학과 존재론 1: 고전 형이상학의 전개", 서울: 철학과현실사, 1995

      45 백승영, "니체 철학 개념연구 Ⅰ -같은 것의 영원회귀-", 철학, 63,215-235, 2000

      46 정용석, 조인수, 여광응, "통합교육의 논쟁 : 특수교육 지식에의 시사점", 지적장애연구, 1, 151-167, 1999

      47 정동영, "최소 제한적 환경의 개념 진전과 그 함의 재고",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8(4), 337-363, 2007

      48 김영준, 이원일, 이경준, "특수체육 질적연구 패러다임들의 기여와 한계", 한국특수체육학회,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9(1), 83-101, 2011

      49 김병하, "회통(會通)?체(體)?개벽(開闢)의 한국특수교육론",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4(3), 307-315, 2013

      50 김병하, "특수교육 패러다임 이동과 특수학교의 재구조화",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연구, 35(3), 137-162, 2000

      51 김윤옥, "포스트모던 교육의 이해와 학교교육의 재구조화", 한국특수아동학회, 특수아동교육연구, 5(2), 19-34, 2003

      52 Deleuze, G., "Difference et repetition. 김상환 옮김 (2004). 차이와반복", 서울: 민음사, 1968

      53 고병권,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서울: 그린비, 2003

      54 정용석, "통합교육은 좋은 것이고 분리교육은 나쁜 것인가?", 특수교육학연구, 47(4), 189-206, 2013

      55 최승현, "들뢰즈의 실험적 배움론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대학원, 2014

      56 진태원, "스피노자 철학에 대한 관계론적 해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2006

      57 Deleuze, G., "Nietzsche et la philosophie. 이경신 옮김 (2001). 니체와 철학", 서울: 민음사, 1962

      58 허승준, "바람직한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특수아동교육연구, 7(1), 113-133, 2005

      59 정은, "학문일반론적 논의를 통한 특수교육학의 위상 재조명",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4(3), 1-15, 2003

      60 정용석, "율곡의 인식론: 구성주의 및 완전통합교육에의 시사점", 한국특수교육학회, 특수교육학연구, 34(2), 139-152, 1999

      61 박승희, "장애개념화의 진전이 장애인 지원 구축에 지니는 함의", 한국특수교육학회, 특수교육학연구, 38(4), 27-65, 2004

      62 김정권, 민천식, "특수교육 기본가정의 재개념화에 대한 패러다임적 논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2(3), 1-17, 2001

      63 이석진, "한국 특수교육정책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5

      64 김정권, 민천식, "특수교육 초이론과 학교교육재구조화 연구의 필요성 고찰",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 17-32, 2000

      65 Deleuze, G., "Spinoza: philosophie pratique. 박기순 옮김 (2001). 스피노자의 철학", 서울: 민음사, 1981

      66 김정권, "탈 현대 특수교육의 지배 패러다임과 학교교육의 재구조화",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 1-18, 2000

      67 Foucault, M., "L'archeologie du savoir. Gallimard. 이정우 옮김(2000). 지식의 고고학", 서울: 민음사, 1969

      68 김병하, "특수교육의 철학적 방법과 과제: 특수교육 지식인론의 제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3(1), 135-144, 2002

      69 김병하, "특수교육진흥법의 제정과 개정과정: 그 역사적 함의와 쟁점",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6(1), 449-472, 2005

      70 황수영, "물질과 기억, 시간의 지층을 탐험하는 이미지와 기억의 미학", 그린비, 서울: 그린비, 2006

      71 정대영, "특수교육에서의 실증주의와 기타 관점들에 대한 담론. 정서?", 행동장애연구, 29(4), 1-20, 2013

      72 유재연, "발달지체 아동을 위한 한국전통 교육사상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73 김병하, "동아시아문명론에 의거한 특수교육 본질복원과 교사론의 정립", 특수아동교육연구, 14(1), 257-272, 2012

      74 김병하,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학급의 재구조화 : 한국적 상황과 딜레머",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2(2), 1-22, 2001

      75 박승희,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 :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관계 재정립", 교육과학사, 파주: 교육과학사, 2003

      76 민천식, "사회과학 패러다임 이동과 특수교육의 재구조화.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7

      77 곽승철, 이원희, "자폐성 장애학생 부모의 경험을 통한 초·중등 전환시스템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특수교육학연구, 48(4), 173-200, 2014

      78 정용석, "한국 특수교육학의 지식 기초 연구 : 역사적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특수교육학연구, 37(4), 161-176, 2003

      79 정용석, "통합과 분리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을 통한 특수교육 실천모형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5(4), 25-42, 2004

      80 Nietzsche, F. W., "(1885). Also Sprach Zarathustra. 정동호 옮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서울: 책세상, 2007

      81 Deleuze, G., "Le pli: leibniz et le baroque. 이찬웅 옮김 (2004). 주름, 라이프니츠와 바로크", 서울: 문학과지성사, 1988

      82 김성애(Sung Ae Kim), "후설과 레비나스 윤리학에서 본 통합교육 교사의 윤리성에 관한 소고",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9(3), 429-456, 2008

      83 정은, "비고츠키의 손상학(Defectology)연구가 장애아동교육에 주는 시사점 탐색", 특수교육연구, 14(1), 59-76, 2007

      84 이상은, "학교교과 ‘되기’ 과정에 나타난 학교교과의 속성 탐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85 곽승철, 김형준, "자폐성 장애아동 아버지의 존재론적 이해: 특수교육과후기구조주의 방법론",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4(4), 163-187, 2013

      86 Preteseille, B., Rosanvallon, J., "Deleuze & Guattari a vitesseinfinie. 성기현 옮김 (2012). 들뢰즈와 가타리의 무한 속도", 파주: 열린책들, 2009

      87 Bruner, J. S., "The process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Press. 이홍우 옮김 (2005). 브루너 교육의 과정", 서울: 배영사, 1960

      88 Deleuze, G., "Spinoza et le probleme de l'expression. 이경진, 권순모 옮김 (2003). 스피노자와 표현의 문제", 고양: 인간사랑, 1968

      89 홍정숙, "미국 통합교육론의 사상적 원천에 관한 연구(Ⅰ)-휴먼 서비스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7(4), 583-600, 2006

      90 조재현, "자기결정 이론의 심리학적 배경 탐색 : 기능주의와 생태학적모형에 대한 비교 중심으로", 지적장애연구, 13(2), 249-273, 2011

      91 DeLanda, M., "Intensive science and virtual philosophy. 이정우, 김영범 옮김 (2009). 강도의 과학과 잠재성의 철학", 서울: 그린비, 2002

      92 김상환, "『차이와 반복』 중 「서론: 반복과 차이」의 역자 주. Deleuze,G.의 『Difference et Repetition』", (1968) 한국어판. 서울: 민음사, 2004

      93 Deleuze, G., Guattari, F., "L'Anti-Oedipe: Capitalisme etschizophrenie. 김재인 옮김 (2014). 안티 오이디푸스: 자본주의와 분열증", 서울: 민음사, 1972

      94 Deleuze, G., Guattari, F., "Mille plateaux: Capitalisme etschizophrenie 2. 김재인 옮김 (2003). 천 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증 2", 서울: 새물결, 1980

      95 정은, "왜 ‘특수’인가? : 문화-역사적 관점에서 살펴 본 ‘특수교육학적 발상’의 사회적 의미",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3(1), 1-19, 2002

      96 Deleuze, G., "Qu’est-ce qu’un dispositif?. 박정태 엮고 옮김 (2007).「장치란 무엇인가?」,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서울: 이학사, 1989

      97 정용석, "발달장애아동의 학습지원과 통합교육 지원에 관한 연구: 장애정도에 따른 개인차를 중심으로", 발달장애연구, 16(4), 53-73, 2012

      98 유영만, "현실에서 진실을 캐내고, 야생에서 야망을 꿈꾸는 실천적 지식인, 당신은 브리꼴레르 입니까?", 한국초등교육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및 워크숍 자료집, 3-38, 2013

      99 Pearson, K. A., "Germinal life: The difference and repetition ofDeleuze. 이정우 옮김 (2005). 싹트는 생명: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서울: 산해, 1999

      100 박혜준, "통합교육의 의미 다시 생각하기 -모든 이들을 위한 통합교육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중심으로-", 통합교육연구, 5(2), 103-128, 2010

      101 정용석, "특수아동의 선정?배치 과정에서의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존재론적 구조: 학습장애아동을 중심으로", 발달장애연구, 15(3), 95-112, 2011

      102 문영선, "근대 특수교육 발생기 이론들에 대한 탐색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103 엄수정, "통합교육의 이상 실현과 실증주의에 입각한 전통 특수교육적 지식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에 대한 철학적 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유아특수교육연구,12(2), 147-166, 2012

      104 김성애, "포스트모더니즘적 교육 및 인성학적 차원에서 본 한국 통합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 -법적 및 제도적 내용과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유아특수교육연구, 10(2), 23-49, 2010

      105 Deleuze, G., "Spinoza et la methode generale de M. Gueroult. 박정태 엮고 옮김 (2007). 「스피노자, 그리고 마르시알 게루의 일반적 방법」,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서울: 이학사, 1969

      106 신지영,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해설과 비판』의 「역자 서문과 해제」. Williams, J.의 『Gilles 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aCritical Introduction and Guide』", (2003) 한국어판. 서울: 라움, 2010

      107 Deleuze, G., "Sur les principaux concepts de Michel Foucault. G.Deuleuze, Deux regimes de fous. Textes et entretiens1975-1995. 박정태 엮고 옮김 (2007). 「미셸 푸코의 주요 개념들에 대하여」,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서울: 이학사,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