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종교범죄의 분석: 범죄현황과 심리 = An Analysis on the Religion-related Crimes in Korea : reality and psych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27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henomenon of religion-related crimes in Korea and to regard the psychological procedures in terms of antisocial crime, by which urging to enhance a degree of social vigilance to religion-related crimes exercisi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henomenon of religion-related crimes in Korea and to regard the psychological procedures in terms of antisocial crime, by which urging to enhance a degree of social vigilance to religion-related crimes exercising an evil influence and to demand a supporting policy for the religion-related crime victims. Especially dealing with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violence, religious conflicts in Korea, characteristic of cult crime, was followed by analysing varioss crimes committed by ministers in the last 5 years (from 2014 to 2018).
      It turned out that for fraud crime, it rates 60% among economy crimes on a regular basis, while sexual assault making up a overwhelming percentage (close to 92%) of violent crimes(vicious). The religion-related crimes are functioned by psychological mechanism such as mind control or brain washing. That’s why psychological intervention of psychologists to both believer’s crime and religion-related crime victimization in addition to offering victim assistance and raising public aware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최근 한국에서의 다양한 종교범죄의 현상을 분석하고 종교범죄에서 작동되는 심리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반사회적 종교범죄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고 종교범죄피...

      이 연구는 최근 한국에서의 다양한 종교범죄의 현상을 분석하고 종교범죄에서 작동되는 심리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반사회적 종교범죄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고 종교범죄피해자의 구제 및 보호를 강화하는 정책의 필요성을 촉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종교와 폭력의 관계, 한국의 종교갈등 문제, 컬트범죄의 특징을 논의하고 최근 2014~2018에 발생한 범죄 중에서 종교가가 저지른 다양한 범죄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재산범죄 중에서는 사기범죄가 평균 60%를 차지하고, 강력범죄(흉악)의 경우 성폭력이 평균 92% 가까이에 이르고 있다. 종교범죄는 피해자화 과정에서 마인드 컨트롤 및 세뇌와 같은 심리기제가 발동하고 있으므로 신도들의 범죄나 피해 모두에 대응하기 위한 심리학자의 개입이 필요하다. 또한 신도들에 대한 피해자지원, 종교범죄에 대한 인식의 제고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종원, "혐오와 한국교회; 한국기독교: 시민종교와 정치종교 사이에서" 삼인 2020

      2 한국교수불자연합회, "현대사회에서 종교권력, 무엇이 문제인가" 동연 2018

      3 이철우, "현대사회문제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7

      4 심형준, "한국 기독교 민속신앙론은 어떻게가능한가?: 인지종교학의 관점이 말해주는 것" 종교문화비평학회 33 (33): 90-130, 2018

      5 김종호, "폭력의 제어 수단으로서 윤리, 종교, 법에 관한 논증" 한국법학회 19 (19): 521-562, 2019

      6 홍명기, "종교성이 폭력범죄와 재산범죄 정당화에 미치는 영향: 도덕공동체이론에 기반한 다수준적 접근" 대한범죄학회 11 (11): 111-160, 2017

      7 이원규, "종교사회학의 이해" 나남 2015

      8 오경환, "종교사회학" 서광사 2006

      9 홍찬숙, "자기만의 신" 길 2013

      10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2017

      1 최종원, "혐오와 한국교회; 한국기독교: 시민종교와 정치종교 사이에서" 삼인 2020

      2 한국교수불자연합회, "현대사회에서 종교권력, 무엇이 문제인가" 동연 2018

      3 이철우, "현대사회문제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7

      4 심형준, "한국 기독교 민속신앙론은 어떻게가능한가?: 인지종교학의 관점이 말해주는 것" 종교문화비평학회 33 (33): 90-130, 2018

      5 김종호, "폭력의 제어 수단으로서 윤리, 종교, 법에 관한 논증" 한국법학회 19 (19): 521-562, 2019

      6 홍명기, "종교성이 폭력범죄와 재산범죄 정당화에 미치는 영향: 도덕공동체이론에 기반한 다수준적 접근" 대한범죄학회 11 (11): 111-160, 2017

      7 이원규, "종교사회학의 이해" 나남 2015

      8 오경환, "종교사회학" 서광사 2006

      9 홍찬숙, "자기만의 신" 길 2013

      10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2017

      11 최연정, "여성혐오와 교회 내 성범죄" 종교와문화연구소 (29) : 25-48, 2017

      12 Zucherman, P., "신 없는 사회" 마음산책 2012

      13 John Shelby Spong, "성경의 시대착오적인 폭력들" 한국기독교연구소 2007

      14 현대사기방지연구회, "사기의 세계" 박영사 2020

      15 검찰청, "범죄백서" 2019

      16 백중현, "대통령과 종교, 종교는 어떻게 권력이 되었는가?" 인물과 사상사 2014

      17 김진호, "권력과 교회, 김진호 강남순, 박노자, 한홍구, 김응교 대담" 창비 2018

      18 高橋良彰, "面白いほどよくわかる犯罪心理学-殺人、窃盗、暴力…人はなぜ罪を犯すのか" 日本文藝社 2005

      19 福島 章, "犯罪心理学入門" 中公新書 2008

      20 日本犯罪心理学会, "犯罪心理学事典" 丸善出版 212-221, 2016

      21 大渕憲一, "犯罪心理学―犯罪の原因をどこに求めるのか" 培風館 2006

      22 細江達郎, "犯罪心理学(図解雑学)" ナツメ社 2001

      23 内山絢子, "犯罪心理学" 西東社 119-, 2015

      24 心の謎を探る会, "犯罪心理が面白いほどわかる本" 河出書房新社 94-, 2006

      25 藤岡淳子, "犯罪ㆍ非行の心理学" 有斐閣 2007

      26 警察庁, "平成30年版警察白書" 國家公安委員會 196-197, 2018

      27 小田晋, "宗敎と犯罪" 靑木社 49-188, 2002

      28 西田公昭, "マインド・コントロールとは何か" 紀伊國屋書店 1995

      29 谷口泰富, "クローズアップ 犯罪" 福村出版 221-, 2013

      30 安斎育郎, "だます心 だまされる心" 岩波新書 2005

      31 노윤식, "‘땅밟기’ 기도에 대한 선교신학적 평가"

      32 Coleman, James, "The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Belknap of Harvard UP 1998

      33 David Myers, "Social Psychology(3rd ed) canadian" McGraw-Hill Ryerson 2006

      34 Ronald Enroth, "A Guide to New Religious Movement"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보 -> 한국경찰연구 KCI등재후보
      2009-03-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 -> 한국경찰연구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04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