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이황과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근접한 시대를 살아나가며 이상과 현실사이의 괴리에서 그 해결방안을 마련하고자 고뇌하였다는 점에서 시 대의 실천적 사상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퇴계 이황과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근접한 시대를 살아나가며 이상과 현실사이의 괴리에서 그 해결방안을 마련하고자 고뇌하였다는 점에서 시 대의 실천적 사상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이...
퇴계 이황과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근접한 시대를 살아나가며 이상과
현실사이의 괴리에서 그 해결방안을 마련하고자 고뇌하였다는 점에서 시
대의 실천적 사상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이들은 당시의 보편적인 지
식, 사상, 정치체계였던 성리학에서 리와 정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는
점에서 동일한 사상적 배경을 공유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
라 리와 정이라는 두 중심축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발전시켜 궁극적으로
는 사회의 절대적 안정을 이루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충분한 비교연구가
치를 제공해준다.
퇴계의 세계는 공과 사가 대립되는 세계이다. 개인은 공적임과 사사
로움 사이에서 언제나 고민하지만 결국 사사로움을 극복하고 공을 향해
흘러가야만 한다. 퇴계는 이러한 세계의 근원을 사단과 칠정으로 구성
된 개인 내부의 문제로 귀납시킨다. 따라서 ‘공-사’를 비롯한 ‘군자-소
인’, ‘천리-인욕’등의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양을 통해 사사로운
정감과 욕망을 억누르고 선하게 발현되도록 잘 다스려야 한다. 그러할
경우 인간은 모든 ‘사사로움’을 극복하고 결국 하늘의 리와 합일된 경지
에 이르게 되는데, 그 본보기가 바로 ‘성인’이다.
반면 노리나가의 세계는 공과 사의 경계를 의식하지 않는 세계이다.
왜냐하면 이들 개개인 배후에는 이미 그들은 선한 공동체라는 신앙이 전
제되어있기 때문이다. 선한 공동체는 두 가지 함의를 지닌다. 첫째, 그들
은 그들만의 신의 보호를 받고 있기 때문에 공동체 안에서의 모든 행위
는 신으로부터 그 정당성이 보증된다. 따라서 개인은 선과 악 사이의 도
덕적 고민들은 신에게 맡겨두고서 열심히 살아가야만 한다. 이때 선한
공동체 외부에 위치한 타국의 존재는 절대악으로 작용하는데 이는 자국
의 존재를 더욱 선하게 응집시킨다. 둘째, 공동체는 사사로운 ‘정’으로
통일되어있다. ‘정’은 인간이 어찌할 수 없는 진실된 마음으로 인간이라
면 누구나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사사로운 감정이 증폭된
세계, 그것이 곧 공적세계이다. 이때 ‘리’의 존재 인간의 내부와 외부 모
두에서의 그 모든 효용성을 상실하며, 단지 ‘정’의 우월성을 증명하기 위
한 반어적 개념으로서만 그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노리나가는 모든 리
를 배제시키고 사적인 감정을 거침없이 발현해내는 모습을 이상적 인간
상으로 지향하고 있다.
살펴본 퇴계와 노리나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한국,
2 阿部吉雄, "퇴계와 일본유학(近世の心身論,1990)" 전통과현대사 1998
3 Wei-ming Tu, "퇴계의 천인관(T'oegye's Anthroposomic Vision: An Interpretation)" 9 : 1997
4 홍원식, "퇴계 심학과 心經附註" 30 : 2008
5 최재목, "퇴계 심학과 왕양명" 새문사 2010
6 Peter Widmer, "욕망의 전복(Subversion des Begehrens)" 한울아카데미 2007
7 Bruce Fink, "라캉의 주체(The Lacanian Subject : Between Language and Jouissance, 19997)" 비 2010
8 Foucault Michel, "감시와 처벌: 감옥의 역사(Surveiller et punir" 나남출판사 2003
9 최재목, "退溪의 ‘敬의 心學’과 陽明의 ‘良知 心學’-'退溪先生言行錄'과 '傳習錄'의 ‘言行’ 비교를 겸해서-" 퇴계연구소 (41) : 35-80, 2007
10 퇴계학총서편간위원회, "退溪全書" 퇴계학연구권 1991
1 김한국,
2 阿部吉雄, "퇴계와 일본유학(近世の心身論,1990)" 전통과현대사 1998
3 Wei-ming Tu, "퇴계의 천인관(T'oegye's Anthroposomic Vision: An Interpretation)" 9 : 1997
4 홍원식, "퇴계 심학과 心經附註" 30 : 2008
5 최재목, "퇴계 심학과 왕양명" 새문사 2010
6 Peter Widmer, "욕망의 전복(Subversion des Begehrens)" 한울아카데미 2007
7 Bruce Fink, "라캉의 주체(The Lacanian Subject : Between Language and Jouissance, 19997)" 비 2010
8 Foucault Michel, "감시와 처벌: 감옥의 역사(Surveiller et punir" 나남출판사 2003
9 최재목, "退溪의 ‘敬의 心學’과 陽明의 ‘良知 心學’-'退溪先生言行錄'과 '傳習錄'의 ‘言行’ 비교를 겸해서-" 퇴계연구소 (41) : 35-80, 2007
10 퇴계학총서편간위원회, "退溪全書" 퇴계학연구권 1991
11 朱熹, "朱子語類"
12 本居宣長, "本居宣長集" 新潮社 1983
13 本居 宣長, "本居宣長全集" 筑摩書房 1968
14 本居 宣長, "本居宣長全集" 筑摩書房 1968
15 本居 宣長, "本居宣長全集" 筑摩書房 1968
16 本居 宣長, "本居宣長全集" 筑摩書房 1968
17 李退溪, "戊辰六條疏"
18 小島康敬, "徂徠學ど反徂徠" ペリカン社 1994
19 鄭之雲, "天命圖說"
20 程頤, "二程遺書"
21 Marshall, "Truth and Method" Continum 2006
22 Hans Georg Gadamer, "Translation revised"
東洋思想에서의 統治者와 被統治者의 관계 -明心寶鑑을 中心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9-04-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OEGYE-HAK-LON-GIB -> TOEGYE-HAK-LON-JIB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12-02-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OEGYE-HAK-LON-GIB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2 | 0.934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