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敎ㆍ법法ㆍ정政’을 통해 본 응오티념吳時任 경세론의 특징과 위상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Ngô Thì Nhậm(吳時任)’s Theory of Governance as Viewed through ‘Gyo(敎)ㆍBeop(法)ㆍJeong(政)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8세기 후반의 격동기를 살았던 베트남 지식인의 경세적 사유속에서 유학이 이해 및 활용되는 일면을 해명하고자 했다. 그리고 동시대의 지식인들 가운데 유자적 정체성이 강했다고 판단되는 응오티념吳 時任(Ngô Thì Nhậm, 1746~1803)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응오티념은 유학에 조예가 깊었던 가학의 전통에서 성장하고 과거를거쳐 관직에 진출했던, 당시의 대표적인 유학 지식인이자 관료였다. 그는 격동했던 베트남의 18세기를 관통하며 두 왕조에서 사환했고 주요한 자취를 남겼다. 특히 그는 ‘교敎ㆍ법法ㆍ정政의 순행順行’이라는 지향에 기초하고, 유학 인재의 양성과 선발(敎), 둔전 개간 등을 통한 민인의안집(法), 간소하고 효율적인 통치 체제(法) 등을 방안으로 하여 구성된경세론을 피력했다.
      베트남을 비롯한 당시의 경세론 지형에서 본다면 응오티념의 경세론은 다음과 같은 특징과 위상을 지닌다. 첫째, 유학의 경세론에 대한 폭넓고 깊은 이해에 기초하였다. 둘째, 현실에 입각하여 유학적 이상을 재해석하고 적용했다. 셋째, 경세의 시각과 범위가 국가 체제의 규모를 갖추었으며, 그러면서도 시의성과 실현 가능성을 고려한 경세 방안을 제시했다. 넷째, 그의 경세 인식과 방안에는 베트남이 문화적ㆍ지리적 환경 및 역사적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
      18세기의 말이 중대한 기로였던 것은 비단 베트남뿐만 아닌 동아시아의 공통된 처지였다. 구체제의 모순들과 이로 인해 분출하는 요구들 을 수렴해야 했고, 서양 문명과 그 배후에 도사리는 침략의 저의에 대응해야 했던 것이다. 이러한 대내외의 과제는 결국 동아시아의 문명적 토양인 유학, 그리고 그것을 담지한 유학 지식인의 몫으로 던져져 있었다.
      그리고 응오티념의 경세적 사유와 실천은 18세기 말의 유교 지식인이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펼쳐냈던 경세론의 지형 가운데 하나의 주요한지점 위에 자리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18세기 후반의 격동기를 살았던 베트남 지식인의 경세적 사유속에서 유학이 이해 및 활용되는 일면을 해명하고자 했다. 그리고 동시대의 지식인들 가운데 유자적 정체성이 강했다고 ...

      본고는 18세기 후반의 격동기를 살았던 베트남 지식인의 경세적 사유속에서 유학이 이해 및 활용되는 일면을 해명하고자 했다. 그리고 동시대의 지식인들 가운데 유자적 정체성이 강했다고 판단되는 응오티념吳 時任(Ngô Thì Nhậm, 1746~1803)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응오티념은 유학에 조예가 깊었던 가학의 전통에서 성장하고 과거를거쳐 관직에 진출했던, 당시의 대표적인 유학 지식인이자 관료였다. 그는 격동했던 베트남의 18세기를 관통하며 두 왕조에서 사환했고 주요한 자취를 남겼다. 특히 그는 ‘교敎ㆍ법法ㆍ정政의 순행順行’이라는 지향에 기초하고, 유학 인재의 양성과 선발(敎), 둔전 개간 등을 통한 민인의안집(法), 간소하고 효율적인 통치 체제(法) 등을 방안으로 하여 구성된경세론을 피력했다.
      베트남을 비롯한 당시의 경세론 지형에서 본다면 응오티념의 경세론은 다음과 같은 특징과 위상을 지닌다. 첫째, 유학의 경세론에 대한 폭넓고 깊은 이해에 기초하였다. 둘째, 현실에 입각하여 유학적 이상을 재해석하고 적용했다. 셋째, 경세의 시각과 범위가 국가 체제의 규모를 갖추었으며, 그러면서도 시의성과 실현 가능성을 고려한 경세 방안을 제시했다. 넷째, 그의 경세 인식과 방안에는 베트남이 문화적ㆍ지리적 환경 및 역사적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
      18세기의 말이 중대한 기로였던 것은 비단 베트남뿐만 아닌 동아시아의 공통된 처지였다. 구체제의 모순들과 이로 인해 분출하는 요구들 을 수렴해야 했고, 서양 문명과 그 배후에 도사리는 침략의 저의에 대응해야 했던 것이다. 이러한 대내외의 과제는 결국 동아시아의 문명적 토양인 유학, 그리고 그것을 담지한 유학 지식인의 몫으로 던져져 있었다.
      그리고 응오티념의 경세적 사유와 실천은 18세기 말의 유교 지식인이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펼쳐냈던 경세론의 지형 가운데 하나의 주요한지점 위에 자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clarify an aspect of how Confucianism was understood and utilized in the lives and thoughts of intellectuals who lived through the turbulent period of late 18th-century Vietnam.
      To this end, it focuses on Ngô Thì Nhậm (吳時任, 1746~1803), an intellectual of the time who is considered to have had a strong Confucian identity.
      Ngô Thì Nhậm grew up in a family tradition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passed the National Civil Service Examination(科擧制), and entered government service. He was a prominent Confucian intellectual and bureaucrat of his time, serving two dynasties during the tumultuous 18th century of Vietnam, leaving significant contributions behind. In particular, he articulated a well-structured theory of governance, which was based on the ideal of ‘the harmonious implementation(順行) of Gyo(敎)ㆍ Beop(法)ㆍJeong(政)’. This theory was composed of measures such as the cultivation and selection of Confucian talents[Gyo(敎)],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common people through land reclamation and development[Beop(法)], and promoting a simple and efficient administrative system[Jeong(政)].
      In the context of the governance theories of Vietnam and other regions at the time, Ngô Thì Nhậm’s theory of governance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eatures and significance: First, it was based on a broad and deep understanding of Confucian classics and governance theories. Second, it reinterpreted and applied Confucian ideals grounded in the realities of the time. Third, his vision and scope of governance were appropriate for a national system, while also considering timeliness and feasibility. Fourth, it reflected Vietnam’s historical experiences in its governance perspective and policies.
      The late 18th century was a critical turning point not only for Vietnam but for East Asia as a whole. It was necessary to address the contradictions of the old regime and respond to the emerging demands while also confronting the imperialistic intentions of Western civilization. Furthermore, these internal and external challenges were ultimately placed on the shoulders of Confucianism, the civilizational foundation of East Asia, and the Confucian intellectuals who upheld this tradition. In this regard, Ngô Thì Nhậm stands as a significant figure within the broader landscape of governance theories developed by Confucian intellectuals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navigating between reality and idealism.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clarify an aspect of how Confucianism was understood and utilized in the lives and thoughts of intellectuals who lived through the turbulent period of late 18th-century Vietnam. To this end, it focuses on Ngô Thì Nhậm (吳時任...

      This paper aims to clarify an aspect of how Confucianism was understood and utilized in the lives and thoughts of intellectuals who lived through the turbulent period of late 18th-century Vietnam.
      To this end, it focuses on Ngô Thì Nhậm (吳時任, 1746~1803), an intellectual of the time who is considered to have had a strong Confucian identity.
      Ngô Thì Nhậm grew up in a family tradition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passed the National Civil Service Examination(科擧制), and entered government service. He was a prominent Confucian intellectual and bureaucrat of his time, serving two dynasties during the tumultuous 18th century of Vietnam, leaving significant contributions behind. In particular, he articulated a well-structured theory of governance, which was based on the ideal of ‘the harmonious implementation(順行) of Gyo(敎)ㆍ Beop(法)ㆍJeong(政)’. This theory was composed of measures such as the cultivation and selection of Confucian talents[Gyo(敎)],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common people through land reclamation and development[Beop(法)], and promoting a simple and efficient administrative system[Jeong(政)].
      In the context of the governance theories of Vietnam and other regions at the time, Ngô Thì Nhậm’s theory of governance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eatures and significance: First, it was based on a broad and deep understanding of Confucian classics and governance theories. Second, it reinterpreted and applied Confucian ideals grounded in the realities of the time. Third, his vision and scope of governance were appropriate for a national system, while also considering timeliness and feasibility. Fourth, it reflected Vietnam’s historical experiences in its governance perspective and policies.
      The late 18th century was a critical turning point not only for Vietnam but for East Asia as a whole. It was necessary to address the contradictions of the old regime and respond to the emerging demands while also confronting the imperialistic intentions of Western civilization. Furthermore, these internal and external challenges were ultimately placed on the shoulders of Confucianism, the civilizational foundation of East Asia, and the Confucian intellectuals who upheld this tradition. In this regard, Ngô Thì Nhậm stands as a significant figure within the broader landscape of governance theories developed by Confucian intellectuals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navigating between reality and idealis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