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古典小說에 나타난 英雄人物의 類型과 形象化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160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고전소설에 나타난 영웅인물을 유형별로 형상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영웅인물의 개념과 형상화 전통을 구제형, 구국형, 개혁형으로 나누어 개괄한 다음, 고전소설에 나...

      이 논문에서는 고전소설에 나타난 영웅인물을 유형별로 형상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영웅인물의 개념과 형상화 전통을 구제형, 구국형, 개혁형으로 나누어 개괄한 다음,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영웅인물의 유형별 형상화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영웅인물의 지향의식과 문학사적 의의를 점검할 수 있었다.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웅인물의 개념을 정립하고 형상화 전통을 개관하였다. 영웅인물에 대한 개념을 군사적인 귀족이나 전쟁에서 맹위를 떨친 장수 등으로 한정하지 않고 그 외연을 확장하였다. 즉 영웅소설이나 군담소설의 주인공에 한정하여 영웅인물을 다루는 협소한 범주에서 벗어나 신화나 전설 그리고 민담형의 영웅인물까지 포괄하여 영웅인물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였다. 그것은 다양한 문학장르에서 정신적으로나 물질적으로, 그리고 호국의 차원에서 영웅으로 활약하는 인물이 다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러한 인물 모두를 영웅인물로 간주하고 문학장르별로 그 형상화 전통을 개관하였다. 즉 영웅인물을 형상화 양상에 따라 救濟型, 救國型, 改革型으로 나누고 그 전통을 통시적으로 검토하였다. 구제형 서사에서는 종교서사를 바탕으로 영웅인물의 형상화 전통을 확인하였다. 구국형에서는 각 서사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영웅인물에 초점을 맞추어 그 형상화 전통을 추적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개혁형에서는 개국조인 건국영웅을 바탕으로 영웅화의 전통을 검토하였다.
      둘째, 고전소설에 나타난 영웅인물의 유형에 따라 작품을 검토하면서 분석텍스트를 선정하였다. 고전소설의 주인공은 하위유형을 막론하고 영웅으로 그려지는 특성이 있다. 그것은 고전소설이 揷話 중심보다는 일대기 위주로 작품이 형상화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군담소설은 말할 것도 없고, 사회소설이나 가정소설, 애정소설이나 가문소설 등에서도 영웅인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영웅인물을 형상화하는 오랜 전통이 고전소설의 작화에 영향을 끼친 결과이기도 하다. 다만 다양한 영웅인물을 크게 세 유형으로 설정하였다. 즉 종교적인 이념을 부각하기 위한 것으로 주인공을 신격화한 구제형, 기존 질서를 존중하면서 출사와 입공을 형상화한 구국형, 신분적인 한계나 제도적인 모순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새로운 세계를 갈구한 개혁형이 그것이다. 유형분류는 논자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영웅인물을 형상화한 목적을 감안할 때 위에서처럼 셋으로 나누어도 무방하리라 본다. 救濟型 영웅인물은 도탄에 빠진 백성들의 영혼은 물론 물질적으로도 풍족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영웅인물은 종교적으로 신격화될 수도 있고, 제왕이 되어 만백성을 신앙심으로 교화하기도 한다. 이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金牛太子傳>과 <沈淸傳>을 선정하였다. 救國型 영웅인물은 나라와 임금의 안위를 위해 헌신하는 인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중세질서가 존속하는 선에서 出仕를 통해 가문의 현창은 물론 輔國安民을 달성하는 특성이 있다. 이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朴氏傳>과 <劉忠烈傳>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改革型은 현실의 제도나 신분상의 문제를 혁파하고 새로운 세계를 갈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기존 질서를 거부하고 끝없이 혁신을 단행하는 영웅인물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張伯傳>과 <洪吉童傳>을 대표작품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고전소설에 나타난 영웅인물의 형상화 양상을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앞에서 나눈 유형별로 영웅인물의 형상화 방식을 대표작품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구제형에서는 영웅인물이 특수한 혈통을 가지고 성장하여 영웅화의 예비단계를 거치고, 이어서 초인적인 수행으로 원만상을 구족함으로써 영웅화의 구축단계를 마무리한다. 이어서 자신이 터득한 것을 만백성에게 두루 펼쳐 목적한 바를 달성함으로써 만국이 평안한 세상을 맞는 영웅화의 완결단계로 귀결된다. 구국형은 적강인물이 명문거족의 집안에서 생장하여 영웅화의 예비단계를 거치고, 자라면서 국난이나 기아 등의 시련을 겪으면서 영웅적 능력을 배양하는 영웅화의 구축단계를 맞는다. 이어서 국가적인 위급상황을 극적으로 해결하는 영웅화의 실행단계를 지나 마침내 모든 국난을 해결하고 큰 보상이 주어지는 영웅화의 완결단계를 맞는다. 개혁형은 출생할 때의 비범한 징조나 특출한 능력을 갖춘 것으로 영웅화의 예비단계를 마련하고, 뛰어난 술법을 익혀 자유자재로 능력을 구현하며 반체제 활동을 펼치되 민중의 소망을 실현하는 것으로 영웅화의 실행단계를 마련하고,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고 이상세계를 구현하는 것으로 영웅화의 완결단계를 확정한다. 다만 구국형이 英雄化의 豫備段階-構築段階-實行段階-完結段階를 모두 구비했다면, 구제형은 豫備段階-構築段階(1, 2)-完結段階를 구비하였고, 개혁형은 豫備段階-實行段階(1, 2)-完結段階를 구비한 것이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영웅인물의 행위 또는 그 결과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넷째, 고전소설에 나타난 영웅인물의 지향의식을 유형별로 고찰해 보았다. 영웅인물을 형상화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그들을 통해 上下民衆의 소망을 담기 위해서이다. 그래서 필연적으로 각 유형에는 민중의 소망을 성취하기 위한 의식이 內在되기 마련이다. 구제형에서는 불교적인 이상을 지향하는 일면, 유교적인 치민을 통해 萬國平安을 소망하고 있으며, 구국형은 사대부의 출사와 입공을 과장적으로 그리면서 상층부의 出世意識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중세의 질서가 수호되는 가운데 개인적인 욕망성취를 전면에 내세웠다. 개혁형은 구국형과는 달리 자신들의 능력이 비상할지라도 제도나 신분 때문에 꿈꾼 바를 성취할 수 없어 이단적으로 영웅적인 행위를 보인다. 그러면서 새로운 세계를 갈급하는 민중의식을 영웅인물에 투영해 놓았다.
      다섯째, 고전소설에 나타난 영웅인물의 상호작용을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영웅인물은 각 유형별로 상호작용을 하게 마련이다. 각 유형의 영웅인물이 지향하는 바가 궁극적으로 화합과 단결을 모색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개인 차원을 넘어 국가나 민족단위의 거대담론이라서 공통분모가 많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작화 전통을 확보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먼저 구제형과 구국형을 보면 둘 다 백성을 구휼한다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구제형이 종교성을 표방하는 일면 유교적인 治國安民을 중시하여 구국형의 그것과 동질의 것을 다루었다. 이는 불교소설이 유교적인 사상을 받아들이면서 구제형이나 구국형 모두 동일한 것에 관심을 기울인 결과이다. 구제형은 개혁형과도 상호 관련이 있다. 개혁형이 민중의 소망을 실현하는 것이라면 구제형은 민중을 평안의 세계로 인도하는 것이다. 그래서 모두 민중의 안녕을 전제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구국형과 개혁형도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다. 그것은 궁극적으로 두 유형 모두 백성들의 삶에 관심을 기울였기 때문이다. 차이라면 구국형이 백성을 교화의 대상으로 생각하여 下達式 통치를 강조하였다면, 개혁형은 민중이 자발적으로 나서서 스스로의 삶을 해결하고자 했을 따름이다. 각 유형의 공통적인 관심사는 상하민중 모두가 평안하게 사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세 유형은 공통분모를 토대로 장처를 상호 교차하면서 고전소설의 인물형상화에 일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섯째, 고전소설에 나타난 영웅인물의 형상화에 따른 문학사적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영웅인물은 고전소설의 인물형상화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이야기문학의 핵심은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특출한 인물을 다루면서 상하민중의 이상을 실현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했다. 그래서 신화는 물론이거니와 전설이나 민담에서도 영웅인물을 즐겨 형상화한 것이다. 그러한 전통을 고전소설에서 계승하여 다양한 영웅인물을 창안하였다. 특히 壬辰倭亂과 丙子胡亂으로 인하여 군담소설이 즐겨 창작되는 과정에서 전쟁 관련 영웅인물이 다수 형상화되었다. 하지만 영웅인물은 그에 국한되지 않고 오랜 전통을 살리면서 다양한 유형의 소설에서 형상화되었다. 주인공의 외모나 능력을 그리는 것에서 알게 모르게 영웅인물의 형상화 방식이 준용되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위에서 언급한 세 유형의 영웅인물 형상화 전통이 효율적으로 교차되면서 인물묘사의 전형을 마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비범한 인물에 남다른 관심을 갖는 民衆意識이 영웅인물에 투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영웅인물은 한국고전소설사에서 통공시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studied types of heroes in classic novels. First, it summarized concepts of heroes and embodiment traditions, materialized heroes in classic novels, then suggested the states. In succession, it reviewed each type of embodiment measure and ...

      This thesis studied types of heroes in classic novels. First, it summarized concepts of heroes and embodiment traditions, materialized heroes in classic novels, then suggested the states. In succession, it reviewed each type of embodiment measure and targeting senses of heroes, then examined interrelationships and literary meanings for each type.
      First, concepts of heroes were defined and embodiment traditions were reviewed. The definition of heroes is necessary to free from narrow range of heroes limited to protagonists in hero or war novels, and include heroes in myths, legends, and folktales. Thus, this thesis considered all those characters as heroes and reviewed their embodiment traditions by literary genres.
      Second, heroes in classic novels were materialized and each state was reviewed. Helping heroes help souls of misery people and create material affluence. For this type, Geumwootaejajeon and Simcheongjeon were studied. Patriot heroes not only achieve the brightness of the family but also national interests as well as people's welfare. Bakssijeon and Yuchungyeoljeon were example novels for this state. At last, revolutionary kinds eliminate current system or identity problems and long for new world. The representative works are Jangbaekjeon and Honggildongjeon.
      Third, embodiment aspects of each hero kind were reviewed. first, the helping type grow in special blood, go through preliminary stages of becoming heroes, prepare perfect images, then finish the developments as heroes. Then they share what they learned with all people to conclude the final state of becoming heroes in peaceful world. The patriot kinds are god-sent or god in human figure who grow in noble families, go though national crisis or starvation, then enter the development stage in which they cultivate heroic abilities. Then they pass action stages in that they dramatically solve national crises so finally they solve all problems and enter the final stages. The revolutionary kinds have extraordinary omens or special abilities when they are born, prepare preliminary stage, learn outstanding magic, and play dissidents but realize hopes of people in the action stages, be acknowledged for their abilities, materialize ideal world to confirm the final stages.
      Fourth, each interaction and literary meaning were reviewed. First, the helping and patriot kinds share a common factor that they both relieve people. he helping kinds are also related to revolutionary kinds. The revolutionary kinds realize hopes of people, while helping kinds lead people to peaceful world. Meanwhile, patriot and revolutionary kinds can influence each other as well. They both were interested in people's lives. In that sense, all three kinds share common factors.
      Not only myths, but legends and folktales also embodied heroes. These traditions were continued in classic novels and diverse heroes were created. Heroes were not limited to war novels, but used in various kinds of novels with long tradition, because when writers describe appearances and abilities of protagonists, the embodiment measures for heroes were applied without noticing. Moreover, embodiment traditions of three kinds of heroes mentioned above were effectively intersected and developed models of portrait descriptions. This is the result from people's senses that are exceptionally interested in extraordinary person from any time period projected to hero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論 1
      • 1. 問題提起 1
      • 2. 硏究史 檢討 2
      • 3. 硏究範圍와 方法 10
      • Ⅱ. 英雄人物의 類型과 形象化 傳統 13
      • Ⅰ. 序論 1
      • 1. 問題提起 1
      • 2. 硏究史 檢討 2
      • 3. 硏究範圍와 方法 10
      • Ⅱ. 英雄人物의 類型과 形象化 傳統 13
      • 1. 英雄人物의 槪念과 範疇 13
      • 2. 英雄人物의 類型 設定 24
      • 3. 英雄人物의 形象化 傳統 32
      • 1) 救濟型의 傳統 32
      • 2) 救國型의 傳統 39
      • 3) 改革型의 傳統 43
      • Ⅲ. 古典小說에 나타난 英雄人物의 類型別 形象化 樣相 48
      • 1. 類型別 作品의 實態와 分析作品의 選定 48
      • 1) 類型別 作品의 實態 49
      • 2) 分析作品의 選定 63
      • 2. 救濟型의 形象化 67
      • 1) <金牛太子傳>의 形象化 69
      • 2) <沈淸傳>의 形象化 81
      • 3. 救國型의 形象化 96
      • 1) <朴氏傳>의 形象化 98
      • 2) <劉忠烈傳>의 形象化 110
      • 4. 改革型의 形象化 124
      • 1) <張伯傳>의 形象化 125
      • 2) <洪吉童傳>의 形象化 140
      • Ⅳ. 古典小說에 나타난 英雄人物 類型別 指向意識과 文學史的 意義 155
      • 1. 類型別 指向意識 155
      • 1) 救濟型의 指向意識 156
      • 2) 救國型의 指向意識 167
      • 3) 改革型의 指向意識 178
      • 2. 類型別 相互作用과 文學史的 意義 188
      • 1) 類型別 相互作用 188
      • 2) 文學史的 意義 199
      • Ⅴ. 結論 205
      • 參考文獻 210
      • ABSTRACT 2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