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육실습생의 실습 효과 차이 분석 : 교생지도교사의 반성적 교육 실습 프로그램 연수 실시 여부에 따라 = (The) effect of the reflective educational practice program on the guidance of student practice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54999

      • 저자
      • 발행사항

        화성: 수원대학교 대학원, 200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2001

      • 발행연도

        2001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0.713 판사항(4)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iii, 69 p.;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과 Abstract 수록

      • 소장기관
        • 수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새로이 시작된 21세기는 그 어느 때보다도 정보화, 세계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21세기를 살아갈 유능한 시민 육성을 위한 교육개혁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생존을 위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교육실습은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정점으로, 교육개혁을 위한 노력에서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의 기초가 될 이론적 틀과 일련의 목적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성적 장학이론을 근거로 하여 도덕적 기능인인 반성적 교사를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인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의 연구프로젝트인 '교사와 교사교육자 간의 협력적 연구를 통한 교실 개혁'에서 개발된 반성적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교생지도교사에게 사전에 연수를 실시하고, 교생지도교사의 연수가 교육실습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교육대학교 4학년 수업실습생 526명을 대상으로, 인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의 반성적 교사를 육성하기 위한 반성적 교생실습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설문지의 일부를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하여 설문지를 배부, 회수하여 그 결과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추진하기 위한 매산초등학교의 교생지도교사에 대한 연수를 2000년 3월 2일부터 6월 14일 까지 매주 2∼3시간씩 총 48시간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추진하기 위하여 사용된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Cronbach α =.9307로서, 설문지의 측정개념이 정확하고 일관되게 측정하였으며, 교육실습생은 설문 내용에 일관되게 응답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回信된 資料를 分析하기 위하여 설문 應答을 SPSS/WIN을 使用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각 문항에 대해 실습생들이 자기의 생각과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5단계로 반응한 것을 그대로 점수로 부여하였고 내용별, 영역별로 평균치(M), 표준편차(SD)를 산출하고 t 점수를 구한 후 p <.05, p <.01, p <.001 의 세 수준에서 유의도를 밝히고 검증하였다.
      교생지도교사에 대한 반성적 교육실습 프로그램 연수를 실시한 결과, 수업참관에 대한 협의회의 인식의 차이가 p <.001로 유의미하였다. 수업 참관전 교육실습생의 관심사와 문제를 파악하고(p <.05), 다양한 질적ㆍ양적ㆍ관찰 도구를 이용하며(p <.01), 수업 참관 후 토의하며, 토의의 내용이 수업 내용의 교육목표에 대한 적절성과 수업행동과 관련된 잠재적 교육과정의 분석에 타 교생지도학교에 비해 상당히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p <.001).
      교육과정 재구성, 학습자료 이용 등 수업에 관한 측면에서 인식의 차이가 p <.01로 유의미하였다. 이는 매산초등학교에서는 타 교생지도학교에 비해 교육실습생의 수업에 대해 보다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이다.
      교생지도학교의 일반적인 탐구 분위기는 p <.05로 유의미하였다. 탐구적인 활동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p <.05 수준에서 유의미하였으며, 현장 연구물에 대한 비판적 논의와 간단한 현장연구는 p <.05 수준에서 유의미하였다. 교생 지도학교의 일반적인 분위기에 대한 인식은 p <.05 수준에서 유의미하였다.
      실습록에 대한 실습생들의 인식과 세미나, 학교ㆍ학급의 경영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교생지도교사가 학교ㆍ학급의 경영, 학생중심의 수업을 하도록 지원한 면에서는 교육실습생의 인식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바람직한 교육실습을 위하여는 교생지도교사에 대한 반성적 장학 및 수업모형 등에 관한 사전연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교생지도교사에 대한 장기적인 연수 실시 방안, 교육실습생의 교생지도학교와 초임학교에서의 인식비교, 실습록의 개선 방안, 실습기간의 연장을 향후의 연구과제로 삼는다.
      번역하기

      새로이 시작된 21세기는 그 어느 때보다도 정보화, 세계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21세기를 살아갈 유능한 시민 육성을 위한 교육개혁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생존을 위한 관심사가 되고 있...

      새로이 시작된 21세기는 그 어느 때보다도 정보화, 세계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21세기를 살아갈 유능한 시민 육성을 위한 교육개혁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생존을 위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교육실습은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정점으로, 교육개혁을 위한 노력에서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의 기초가 될 이론적 틀과 일련의 목적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성적 장학이론을 근거로 하여 도덕적 기능인인 반성적 교사를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인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의 연구프로젝트인 '교사와 교사교육자 간의 협력적 연구를 통한 교실 개혁'에서 개발된 반성적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교생지도교사에게 사전에 연수를 실시하고, 교생지도교사의 연수가 교육실습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교육대학교 4학년 수업실습생 526명을 대상으로, 인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의 반성적 교사를 육성하기 위한 반성적 교생실습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설문지의 일부를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하여 설문지를 배부, 회수하여 그 결과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추진하기 위한 매산초등학교의 교생지도교사에 대한 연수를 2000년 3월 2일부터 6월 14일 까지 매주 2∼3시간씩 총 48시간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추진하기 위하여 사용된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Cronbach α =.9307로서, 설문지의 측정개념이 정확하고 일관되게 측정하였으며, 교육실습생은 설문 내용에 일관되게 응답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回信된 資料를 分析하기 위하여 설문 應答을 SPSS/WIN을 使用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각 문항에 대해 실습생들이 자기의 생각과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5단계로 반응한 것을 그대로 점수로 부여하였고 내용별, 영역별로 평균치(M), 표준편차(SD)를 산출하고 t 점수를 구한 후 p <.05, p <.01, p <.001 의 세 수준에서 유의도를 밝히고 검증하였다.
      교생지도교사에 대한 반성적 교육실습 프로그램 연수를 실시한 결과, 수업참관에 대한 협의회의 인식의 차이가 p <.001로 유의미하였다. 수업 참관전 교육실습생의 관심사와 문제를 파악하고(p <.05), 다양한 질적ㆍ양적ㆍ관찰 도구를 이용하며(p <.01), 수업 참관 후 토의하며, 토의의 내용이 수업 내용의 교육목표에 대한 적절성과 수업행동과 관련된 잠재적 교육과정의 분석에 타 교생지도학교에 비해 상당히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p <.001).
      교육과정 재구성, 학습자료 이용 등 수업에 관한 측면에서 인식의 차이가 p <.01로 유의미하였다. 이는 매산초등학교에서는 타 교생지도학교에 비해 교육실습생의 수업에 대해 보다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이다.
      교생지도학교의 일반적인 탐구 분위기는 p <.05로 유의미하였다. 탐구적인 활동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p <.05 수준에서 유의미하였으며, 현장 연구물에 대한 비판적 논의와 간단한 현장연구는 p <.05 수준에서 유의미하였다. 교생 지도학교의 일반적인 분위기에 대한 인식은 p <.05 수준에서 유의미하였다.
      실습록에 대한 실습생들의 인식과 세미나, 학교ㆍ학급의 경영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교생지도교사가 학교ㆍ학급의 경영, 학생중심의 수업을 하도록 지원한 면에서는 교육실습생의 인식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바람직한 교육실습을 위하여는 교생지도교사에 대한 반성적 장학 및 수업모형 등에 관한 사전연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교생지도교사에 대한 장기적인 연수 실시 방안, 교육실습생의 교생지도학교와 초임학교에서의 인식비교, 실습록의 개선 방안, 실습기간의 연장을 향후의 연구과제로 삼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duactional practice by examining the effect of the reflective educational pratice program (REPP) on the teachers who take the responsibility of guiding student practice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e following subject is suggested: student practice teachers' different understanding of teachers who received REPP and those who did not.
      The questionnare of this study was given to a total of 526 student practice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made by revising and complementing the questionnaire which had been used by the Institution for Elementary Education affiliated to Incheon Educational College, which had held the reflective educational practice program.
      In order to fulfill this study training of teachers who took the responsibility of guiding student practice teachers was performed from March 2nd to June 14th, 2000, for a total of 48 hours (two or three hours per week). The Cronbach's α, that is, the credibility of research method was .9307. This denotes that the questionnaire has high adaptability and coherency.
      The answer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WIN. Each question has five choices as the answer. And the answers were converted into marks, from which M, SD, and 't marks' were calculated with respect to contents and fields. Finally, the significance of each answer was illuminated in view of the three levels of p<.05, p<.01, and p<.001.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student practice teachers'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school conference before the attendance of the model class was p<.01. This means the necessity of providing concrete programs to practice teachers to induce their interest. Second, the use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spection instrument was p<.001. This means that practice teachers systematically analyzed the class. Third, after the attendance of the model class, practice teachers showed higher interest in the aim of the class and in the procedure of teaching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 that is, who did not have any guide from trained teachers. Fourth, the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readjustment of educational procedure and teaching materials was p<.01. This refers to the fact that practice teachers received more help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 Fifth, ordinary research activities, the critical discussion about research subjects, and simple on-the-spot researches in the school where teachers guide practice teachers showed
      significance on the level of p<.05.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eachers should have training in the reflective educational practice program to guide efficiently student practice teachers.
      The present writer thinks that long-term training for teacher's who take the responsibility of guiding practice teachers should be made, and that further researches on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and the lengthening of practice period should be mad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duactional practice by examining the effect of the reflective educational pratice program (REPP) on the teachers who take the responsibility of guiding student practice teachers. In order to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duactional practice by examining the effect of the reflective educational pratice program (REPP) on the teachers who take the responsibility of guiding student practice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e following subject is suggested: student practice teachers' different understanding of teachers who received REPP and those who did not.
      The questionnare of this study was given to a total of 526 student practice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made by revising and complementing the questionnaire which had been used by the Institution for Elementary Education affiliated to Incheon Educational College, which had held the reflective educational practice program.
      In order to fulfill this study training of teachers who took the responsibility of guiding student practice teachers was performed from March 2nd to June 14th, 2000, for a total of 48 hours (two or three hours per week). The Cronbach's α, that is, the credibility of research method was .9307. This denotes that the questionnaire has high adaptability and coherency.
      The answer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WIN. Each question has five choices as the answer. And the answers were converted into marks, from which M, SD, and 't marks' were calculated with respect to contents and fields. Finally, the significance of each answer was illuminated in view of the three levels of p<.05, p<.01, and p<.001.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student practice teachers'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school conference before the attendance of the model class was p<.01. This means the necessity of providing concrete programs to practice teachers to induce their interest. Second, the use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spection instrument was p<.001. This means that practice teachers systematically analyzed the class. Third, after the attendance of the model class, practice teachers showed higher interest in the aim of the class and in the procedure of teaching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 that is, who did not have any guide from trained teachers. Fourth, the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readjustment of educational procedure and teaching materials was p<.01. This refers to the fact that practice teachers received more help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 Fifth, ordinary research activities, the critical discussion about research subjects, and simple on-the-spot researches in the school where teachers guide practice teachers showed
      significance on the level of p<.05.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eachers should have training in the reflective educational practice program to guide efficiently student practice teachers.
      The present writer thinks that long-term training for teacher's who take the responsibility of guiding practice teachers should be made, and that further researches on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and the lengthening of practice period should be mad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 i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문제 = 3
      • 목차
      • 국문초록 = i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문제 = 3
      • 3. 연구의 제한점 = 3
      • II. 이론적 배경 = 4
      • 1. 교육 실습의 의의와 문제점 = 4
      • 2. 교육 실습 지도 교사의 역할 및 문제점 = 11
      • 3. 반성적 교육실습 프로그램 = 15
      • 4. 선행연구 분석 = 31
      • III. 연구 방법 = 37
      • 1. 조사 대상 = 37
      • 2. 연구의 도구 = 38
      • 3. 반성적 장학 프로그램에 대한 연수 = 38
      • 4. 자료의 처리 = 40
      • IV. 연구결과 및 해석 = 42
      • 1. 수업참관과 참관전, 참관후 협의회에 대한 인식 = 42
      • 2. 수업지원에 대한 인식 = 46
      • 3. 탐구적 활동에 대한 인식 = 47
      • 4. 실습록에 대한 인식 = 51
      • 5. 세미나에 대한 인식 = 52
      • 6. 학교ㆍ학급경영, 학생중심수업에 대한 인식 = 53
      • V. 결론 = 55
      • 1. 요약 = 55
      • 2. 결론 = 56
      • 3. 제언 = 59
      • 참고문헌 = 60
      • ABSRACT = 63
      • 설문지 =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