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사교과서 재생산의 기제인 단일성과 그 대안으로서 핵심역량 = The Unitarity as a Reproduction Mechanism of History Textbooks and Core Competence as a Alterna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060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uthorities emphasized the unity of history education and tried to incorporate nationalistic history education into textbooks. So, we have maintained a unified view of raising national identity based on nationalism, and the univocal learning materials and inquiry activities were reproduced and evaluated in a way that required specific answers. However, changes in the political,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of Korea have begun to change. In this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history education based on ‘diversity alternative’, which should criticize the beautification of pro-Japanese dictatorship and diversity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democracy alternative’, which should include democracy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history textbooks A ‘core competency alternative’ was proposed. In particular, introduction of history and core competencies became inevitable due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is article, we tried to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pursue diversity, and find concrete measure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research results on ‘history and core competence’ while covering ‘diversity alternative’ and ‘democratic alternative’, and to guide students to ‘understand’ history itself by organically linking core competencies to history textbooks I came to the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concrete examples be developed so that core competencies can be reflected in history textbooks.
      번역하기

      The authorities emphasized the unity of history education and tried to incorporate nationalistic history education into textbooks. So, we have maintained a unified view of raising national identity based on nationalism, and the univocal learning mater...

      The authorities emphasized the unity of history education and tried to incorporate nationalistic history education into textbooks. So, we have maintained a unified view of raising national identity based on nationalism, and the univocal learning materials and inquiry activities were reproduced and evaluated in a way that required specific answers. However, changes in the political,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of Korea have begun to change. In this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history education based on ‘diversity alternative’, which should criticize the beautification of pro-Japanese dictatorship and diversity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democracy alternative’, which should include democracy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history textbooks A ‘core competency alternative’ was proposed. In particular, introduction of history and core competencies became inevitable due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is article, we tried to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pursue diversity, and find concrete measure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research results on ‘history and core competence’ while covering ‘diversity alternative’ and ‘democratic alternative’, and to guide students to ‘understand’ history itself by organically linking core competencies to history textbooks I came to the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concrete examples be developed so that core competencies can be reflected in history textbook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은철, "핵심역량 중심의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 개발" 역사실학회 (67) : 351-379, 2018

      2 김민수, "학교 지식의 구성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3 방지원, "이야기체(narrative)를 활용한 역사 교과서 서술 방안" 호서사학회 (47) : 167-214, 2007

      4 김민정, "역사교과서 체제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과 개발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16): 29-53, 2013

      5 박민정,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비판적 쟁점 분석:내재된 가능성과 딜레마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71-94, 2009

      6 허은철, "실업계 고등학교 국사 교육과정 및 국정교과서 검토" 역사교과서연구소 (21) : 643-678, 2015

      7 김육훈, "민주공화국의 시민을 기르는 역사교육 시론" 한국역사교육학회 (18) : 197-237, 2013

      8 이상하, "미래사회 핵심역량 교수・학습지원을 위한 교육평가 정책의 방향, 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9 진재관, "미래 사회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역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0 양정현, "국사 교과서 국정 체제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살아있는 한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44) : 77-98, 2002

      1 허은철, "핵심역량 중심의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 개발" 역사실학회 (67) : 351-379, 2018

      2 김민수, "학교 지식의 구성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3 방지원, "이야기체(narrative)를 활용한 역사 교과서 서술 방안" 호서사학회 (47) : 167-214, 2007

      4 김민정, "역사교과서 체제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과 개발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16): 29-53, 2013

      5 박민정,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비판적 쟁점 분석:내재된 가능성과 딜레마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71-94, 2009

      6 허은철, "실업계 고등학교 국사 교육과정 및 국정교과서 검토" 역사교과서연구소 (21) : 643-678, 2015

      7 김육훈, "민주공화국의 시민을 기르는 역사교육 시론" 한국역사교육학회 (18) : 197-237, 2013

      8 이상하, "미래사회 핵심역량 교수・학습지원을 위한 교육평가 정책의 방향, 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9 진재관, "미래 사회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역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0 양정현, "국사 교과서 국정 체제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살아있는 한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44) : 77-98, 2002

      11 김한종, "교육과정 구성 논리로 본 2015개정역사교육과정의 쟁점" 한국역사교육학회 (23) : 7-49, 2015

      12 구경남, "‘애국주의’를 넘어 ‘세계시민주의’를 지향하는 역사교육 탐색" 한국역사교육학회 (28) : 37-74, 2017

      13 백은진, "‘국가주의’ 역사교육과 그 응전으로서의 담론들" 12 : 189-197, 2015

      14 박찬승, "20세기 한국 국가주의의 기원" (117) : 199-246, 2002

      15 백은진,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역사과 핵심역량 설정의 현황과 모순" 역사연구소 (86) : 245-274, 2015

      16 이해영, "'친절한 텍스트'를 지향하는 국사 교과서 서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