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화장품 패키지에 나타난 아르데코 스타일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A Historical Study on Cosmetic Package Design with Utilizing Art Deco Sty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93261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69 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국문초록 : p. i-ii
        Abstract : p. 59-61
        부록 : p. 62-69
        참고문헌 : p. 55-58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화장품 패키지는 미니멀리즘(Minimalism)의 영향을 받아 기능성을 부각시키고 세련미를 표현하기 위해 극단적으로 절제 되어있는 디자인성향이 주류였다. 또한 최소한의 조형을 사용하여 절제된 이미지를 표현한 화장품과 대중을 겨냥한 중·저가 브랜드의 등장으로 인한 화장품 유통구조의 변화로 심플하고 절제된 디자인이 각광을 받았다. 이러한 추세는 전자기술의 획기적 발전에 힘입어 치밀하고 극소하고 완벽한 마감이 가능해진 전자제품을 선두로 가구, 패션, 건축의 디자인까지 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화장품 소비문화가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인터넷의 대중화로 인한 정보습득이 용이해졌으며, 정보의 일반화로 인해 다양화되고 세분화 되어, 빠른 속도로 변해가고 있다. 똑똑해진 소비자는 개인의 성향이 분명해지고, 새로운 것에 대한 욕구도 커져가고 있기 때문에, 정형화 되고 절제되고 모더니즘(Modernism)적 심플함이 강조된 미니멀리즘 스타일에서 식상함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문화를 이해하고 새로운 스타일을 찾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역사를 파악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자인의 역사를 돌이켜 보면, 새로운 스타일은 그 당시의 미적가치와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상황을 다방면으로 반영하고, 시대의 변천에 따른 기술적 발달이나 도덕적 가치관의 변화 등을 과거의 요소들과 절충하여 새로운 조형의식을 갖고 창조한다. 즉, 새로운 스타일은 문화의 순환적 특성을 인정하고 과거의 조형적 특징을 토대로 새롭게 발전하고 그 시대에 맞추어 구축해 나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미니멀리즘에서 차별화 된 새로운 양식을 모색하기 위해선 과거의 조형의식을 탐구하고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20세기 디자인의 역사에서 특히 1920년대와 1930년대를 풍미하였던 아르데코 디자인은 기술의 발달로 인한 새로운 형태 및 재료, 미적가치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과거의 전통성을 수용하여 대중과 유리(遊離)된 다양한 양식과 대중 생활 사이에 중간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1960년대 다시 재현된 현상에서 나타난 것처럼 현대 또는 앞으로 디자인에 있어서 아르데코 디자인의 수용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아르데코 양식의 미적가치는 재해석, 평가되어 현대 디자인뿐만 아니라 패키지 디자인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미니멀리즘의 성향이 강한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에서, 차별화 된 다양한 표현의 방법으로 형태, 재료, 색채, 장식을 부여해 줄 수 있고, 현재의 양상을 반영한 미적가치를 전달 할 수 있는 아르데코 스타일이 유용하다는 가정 하에 이를 입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 아르데코 양식의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한 개념을 정립하고, 디자인적 특징을 다방면으로 고찰한다.
      두 번째, 아르데코 시대의 화장품 패키지를 중점으로 분석하고, 아르데코 스타일이 나타난 화장품 패키지를 시대적으로 분류하여 디자인 흐름에 따른 변천 과정을 분석한다.
      세 번째, 우리나라 화장품패키지의 시대적 동향에 따른 아르데코 스타일이 나타난 사례를 분석하고, 아르데코 스타일에 대한 유용성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아르데코 스타일의 패키지 접목에 따른 유용성은 다른 어떠한 스타일보다도 디자인 가능성을 많이 내재 한다. 그러므로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에 있어서 과거에 쉽게 여과시키지 못하고 받아들여진 서구문물의 디자인 영향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조형 개념들의 정당성과 올바른 이해가 요구되어져야 한다.
      번역하기

      오늘날 화장품 패키지는 미니멀리즘(Minimalism)의 영향을 받아 기능성을 부각시키고 세련미를 표현하기 위해 극단적으로 절제 되어있는 디자인성향이 주류였다. 또한 최소한의 조형을 사용하...

      오늘날 화장품 패키지는 미니멀리즘(Minimalism)의 영향을 받아 기능성을 부각시키고 세련미를 표현하기 위해 극단적으로 절제 되어있는 디자인성향이 주류였다. 또한 최소한의 조형을 사용하여 절제된 이미지를 표현한 화장품과 대중을 겨냥한 중·저가 브랜드의 등장으로 인한 화장품 유통구조의 변화로 심플하고 절제된 디자인이 각광을 받았다. 이러한 추세는 전자기술의 획기적 발전에 힘입어 치밀하고 극소하고 완벽한 마감이 가능해진 전자제품을 선두로 가구, 패션, 건축의 디자인까지 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화장품 소비문화가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인터넷의 대중화로 인한 정보습득이 용이해졌으며, 정보의 일반화로 인해 다양화되고 세분화 되어, 빠른 속도로 변해가고 있다. 똑똑해진 소비자는 개인의 성향이 분명해지고, 새로운 것에 대한 욕구도 커져가고 있기 때문에, 정형화 되고 절제되고 모더니즘(Modernism)적 심플함이 강조된 미니멀리즘 스타일에서 식상함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문화를 이해하고 새로운 스타일을 찾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역사를 파악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자인의 역사를 돌이켜 보면, 새로운 스타일은 그 당시의 미적가치와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상황을 다방면으로 반영하고, 시대의 변천에 따른 기술적 발달이나 도덕적 가치관의 변화 등을 과거의 요소들과 절충하여 새로운 조형의식을 갖고 창조한다. 즉, 새로운 스타일은 문화의 순환적 특성을 인정하고 과거의 조형적 특징을 토대로 새롭게 발전하고 그 시대에 맞추어 구축해 나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미니멀리즘에서 차별화 된 새로운 양식을 모색하기 위해선 과거의 조형의식을 탐구하고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20세기 디자인의 역사에서 특히 1920년대와 1930년대를 풍미하였던 아르데코 디자인은 기술의 발달로 인한 새로운 형태 및 재료, 미적가치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과거의 전통성을 수용하여 대중과 유리(遊離)된 다양한 양식과 대중 생활 사이에 중간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1960년대 다시 재현된 현상에서 나타난 것처럼 현대 또는 앞으로 디자인에 있어서 아르데코 디자인의 수용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아르데코 양식의 미적가치는 재해석, 평가되어 현대 디자인뿐만 아니라 패키지 디자인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미니멀리즘의 성향이 강한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에서, 차별화 된 다양한 표현의 방법으로 형태, 재료, 색채, 장식을 부여해 줄 수 있고, 현재의 양상을 반영한 미적가치를 전달 할 수 있는 아르데코 스타일이 유용하다는 가정 하에 이를 입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 아르데코 양식의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한 개념을 정립하고, 디자인적 특징을 다방면으로 고찰한다.
      두 번째, 아르데코 시대의 화장품 패키지를 중점으로 분석하고, 아르데코 스타일이 나타난 화장품 패키지를 시대적으로 분류하여 디자인 흐름에 따른 변천 과정을 분석한다.
      세 번째, 우리나라 화장품패키지의 시대적 동향에 따른 아르데코 스타일이 나타난 사례를 분석하고, 아르데코 스타일에 대한 유용성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아르데코 스타일의 패키지 접목에 따른 유용성은 다른 어떠한 스타일보다도 디자인 가능성을 많이 내재 한다. 그러므로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에 있어서 과거에 쉽게 여과시키지 못하고 받아들여진 서구문물의 디자인 영향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조형 개념들의 정당성과 올바른 이해가 요구되어져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cosmetics packaging is influenced by minimalism and extremely moderated to stress functionality and sophistication. Also, minimum figuration is used for moderated images and simple, moderate design has been popular with the emergence of low/mid-priced brands that have changed the distribution cycle for cosmetics. This trend has affected electronic appliances, which have been made more elaborate and perfect with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has spread to furniture, fashion, and architecture.
      However, consumer culture in cosmetics is changing. Consumers can obtain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their needs have become diverse and ever-changing in a great speed. Consumers who are smarter than ever have clear individual traits and greater desire for something new and are already tired of modernism, simple minimalist styles that are uniform and moderate. Thu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design in order to understand new consumer culture and find new trendy styles.
      Looking back on the history of design, new style reflects the contemporary aesthetic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and combines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ethical changes with the past elements to create new figuration. In other words, new styles accept the circulatory character of culture and update the past figures for new developments and times. In this respect,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past figures to seek for new sty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minimalism.
      Art Deco design, which was popular in the 20th century, especially in the 1920s and 1930s, actively absorbed new forms, materials, and aesthetic values that come from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bridged the tradition to new public culture. Considering it reemerged in the 1960s, Art Deco is highly likely to come again for the modern or future design. The aesthetic value of Art Deco style is reinterpreted and evaluated and widely influences modern design and package design.
      This study set up the hypothesis that Art Deco style would be valid for cosmetics package design with distinguished forms, materials, colors, and decorations that makes the latest minimalist character more interesting and proved this hypothesi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eps were taken:
      First, the background of Art Deco style was examined to define the concept of Art Deco and study its design characteristics from various perspectives.
      Second, cosmetics packaging from the time of Art Deco was analyzed and classified to see how cosmetics packaging design with Art Deco elements have changed with time.
      Third, the trend of Korea's cosmetics packaging and examples of Art Deco style were analyzed and the validity of Art Deco style was studied from the aesthetic approach.
      There are not enough resources on the history of packaging design and the application of Art Deco style. Packaging design has changed with design and time and Art Deco is more useful for packaging design than any other style of design. However,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unfiltered Western influence which greatly impacted our cosmetics packaging design and understand the essential figurative concepts and validity of Western styles. This study would support understanding of changes in packaging design and motivate further studies on the history of packaging design.
      번역하기

      Today, cosmetics packaging is influenced by minimalism and extremely moderated to stress functionality and sophistication. Also, minimum figuration is used for moderated images and simple, moderate design has been popular with the emergence of low/mid...

      Today, cosmetics packaging is influenced by minimalism and extremely moderated to stress functionality and sophistication. Also, minimum figuration is used for moderated images and simple, moderate design has been popular with the emergence of low/mid-priced brands that have changed the distribution cycle for cosmetics. This trend has affected electronic appliances, which have been made more elaborate and perfect with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has spread to furniture, fashion, and architecture.
      However, consumer culture in cosmetics is changing. Consumers can obtain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their needs have become diverse and ever-changing in a great speed. Consumers who are smarter than ever have clear individual traits and greater desire for something new and are already tired of modernism, simple minimalist styles that are uniform and moderate. Thu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design in order to understand new consumer culture and find new trendy styles.
      Looking back on the history of design, new style reflects the contemporary aesthetic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and combines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ethical changes with the past elements to create new figuration. In other words, new styles accept the circulatory character of culture and update the past figures for new developments and times. In this respect,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past figures to seek for new sty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minimalism.
      Art Deco design, which was popular in the 20th century, especially in the 1920s and 1930s, actively absorbed new forms, materials, and aesthetic values that come from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bridged the tradition to new public culture. Considering it reemerged in the 1960s, Art Deco is highly likely to come again for the modern or future design. The aesthetic value of Art Deco style is reinterpreted and evaluated and widely influences modern design and package design.
      This study set up the hypothesis that Art Deco style would be valid for cosmetics package design with distinguished forms, materials, colors, and decorations that makes the latest minimalist character more interesting and proved this hypothesi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eps were taken:
      First, the background of Art Deco style was examined to define the concept of Art Deco and study its design characteristics from various perspectives.
      Second, cosmetics packaging from the time of Art Deco was analyzed and classified to see how cosmetics packaging design with Art Deco elements have changed with time.
      Third, the trend of Korea's cosmetics packaging and examples of Art Deco style were analyzed and the validity of Art Deco style was studied from the aesthetic approach.
      There are not enough resources on the history of packaging design and the application of Art Deco style. Packaging design has changed with design and time and Art Deco is more useful for packaging design than any other style of design. However,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unfiltered Western influence which greatly impacted our cosmetics packaging design and understand the essential figurative concepts and validity of Western styles. This study would support understanding of changes in packaging design and motivate further studies on the history of packaging desig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2. 연구의 방법 = 2
      • Ⅱ. 아르데코(Art Deco)에 대한 이론적 고찰 = 4
      • 1. 아르데코의 정의 및 시대적 영향 = 4
      • Ⅰ.서론 =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2. 연구의 방법 = 2
      • Ⅱ. 아르데코(Art Deco)에 대한 이론적 고찰 = 4
      • 1. 아르데코의 정의 및 시대적 영향 = 4
      • 1.1 아르데코의 개념정의 = 4
      • 1.2 아르데코의 시대적 영향 = 7
      • 2. 아르데코의 특징 = 9
      • 2.1 형태 및 장식의 특성 = 10
      • 2.2 재료 및 색채 = 13
      • Ⅲ. 아르데코 스타일이 화장품 패키지에 표현된 시대별 사례 = 18
      • 1. 아르누보(Art Nouveau)에서 아르데코까지의 동향 = 18
      • 2. 아르데코 시대의 패키지 = 24
      • 2.1 아르데코 패키지의 발단 = 24
      • 2.2 아르데코 패키지의 표현 = 26
      • 3. 1930년대 이후 아르데코 스타일의 변화 = 32
      • 3.1 팝아트(Pop Art)에서의 아르데코 스타일 = 32
      • 3.2 멤피스(Memphis) 디자인에서의 아르데코 = 35
      • 3.3 1980년대 이후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 = 40
      • Ⅳ. 국내 화장품 패키지에 있어서 아르데코 스타일의 유용성 = 43
      • 1. 국내 화장품의 아르데코 스타일의 변천사 = 43
      • 1.1 화장품 산업의 시대적 배경 = 43
      • 1.2 아르데코 스타일의 흐름 = 45
      • 2. 화장품 패키지에 있어서 아르데코 스타일의 활용 = 51
      • Ⅴ. 결론 = 53
      • 참고문헌 = 55
      • ABSTRACT = 60
      • 부록 1. 아르데코 시대의 패키지 이미지 = 63
      • 부록 2. 국내 연도별 화장품 패키지 =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