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영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직업명성 인식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G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영유아교사 186명을 대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21470
2024
Korean
375
KCI등재
학술저널
21-39(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영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직업명성 인식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G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영유아교사 186명을 대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영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직업명성 인식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G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영유아교사 1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위계적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영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하위요인, 전공만족도와 하위요인 모두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업명성 인식의 하위요인 중 소득만 중간값보다 낮았고, 다른 하위요인과 전체 직업명성 인식은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영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직업명성, 전공만족도는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예비영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에 직업명성 인식 하위요인 중 존경, 권위가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 중 낙관성과 희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 영유아교사들의 전공만족도 증진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erception of vocational prestige on major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86 preservice early 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erception of vocational prestige on major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8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ending a university in G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7.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ub-factors, as well as major satisfaction and sub-factors, were all higher than the median. Among the sub-factors of vocational prestige perception, only income was lower than the median, while other sub-factors and overall vocational prestige perception were higher than the median.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vocational prestige perception and major satisfaction al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vocational prestige perception, respect and authority and among the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ptimism and hope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major satisfac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measures to improve major satisfa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원장-교사 교환관계와 부모-교사 협력관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집 원장이 인식하는 영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메타포 분석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전문성의 관계에서 놀이지원효능감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