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안성천 유역 구석기유적의 성격 = The Paleolithic Sites in the Anseong-cheon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226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안성천 유역에서 2000년대 중반부터 최근까지 발굴조사된 주요 유적을 대상으로 입지과 유물층의 특징을 확인하고, 또한 석기구성 및 석기공작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서 이 지역 구...

      본 연구는 안성천 유역에서 2000년대 중반부터 최근까지 발굴조사된 주요 유적을 대상으로 입지과 유물층의 특징을 확인하고, 또한 석기구성 및 석기공작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서 이 지역 구석기유적의 성격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안성천 일대의 구석기유적은 대부분 저기복 구릉의 사면에 위치한다. 유물층은 퇴적의 심도에 따라 크게 다섯 매가 확인되며, 자연과학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략적인 시기 구분을 진행하였다.
      표토층과 가까운 첫 번째 유물층은 쐐기구조의 모층으로 MIS 2기, 두번째 유물층은 쐐기구조가 발달한 층으로 MIS 3기의 후반부, 세 번째 유물층은 쐐기구조가 발달한 층 하부로 MIS 3기 전반부 후반, 네 번째 유물층은 흐릿하고 불연속적인 수직구조 또는 제2의 쐐기구조가 발달한 층으로 MIS 3기 전반부, 다섯 번째 유물층은 조립사와 암편이 섞인 층으로 MIS 3기 전반부나 그 이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유적은 MIS 2기~MIS 3기에 해당될 가능성이 농후하며, 이는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구석기시대 편년에 대입할 때 중기 구석기시대 후반에서 후기 구석기시대에 속한다.
      유물층별 석기구성과 석기공작의 변화를 통해, 대체적으로 이른 시기에 속하는 유물층에서는 찍개 등의 대형석기의 비율이 높은 편이었으며, 늦은 시기에는 긁개와 홈날을 중심으로 하는 소형석기가 우세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한반도 중부의 여러 지역에서 연구된 결과와 유사하며, 따라서 안성천 유역도 우리나라 구석기문화의 보편적인 양상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안성천 유역에서는 MIS 3기 동안 지속적으로 찍개의 빈도가 강하게 나타나는 바 이를 지역적 석기공작의 한 양상으로 이해할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그 과정에서 서해와 인접한 하천의 하구에 위치하는, 즉 지리적인 특성이 유사한 지역의 자료와 대비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henomena of the paleolithic sites by identify characteristics of landform and artifact layers and changes in composition and industry of stone tools based on major sites excavated in Anseong-cheon area. Mo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henomena of the paleolithic sites by identify characteristics of landform and artifact layers and changes in composition and industry of stone tools based on major sites excavated in Anseong-cheon area.
      Most of the paleolithic sites in Anseong-cheon area are located in the slopes of the low line of hills. Five artifacts layer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depth of sedimentation and period was roughly established by scientific analysis.
      The layers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the first artifacts layer near surface layer from which soil-wedge is originated belongs to MIS 2, the second artifacts layer showing the development of soil-wedge belongs to the second half of MIS 3, the third artifacts layer, the bottom part of the layer showing the development of soil-wedge belongs to the second quarter of MIS 3, the fourth artifacts layer showing dull and non-consecutive vertical marks or showing the development of second soil-wedge belongs to the first half of MIS 3, and the fifth artifacts layer made up of coarse sand and rock fragments belongs to the first half of MIS 3 or before.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most of sites belong to MIS 2 and MIS 3. Considering chronology of Paleolithic period in Korea, it falls between late middle Paleolithic and upper Paleolithic.
      In the composition and industry of stone tools by artifacts layer, in early layers the ratio of heavy duty tools such as chopper-shopping tools was higher, while in late layers light duty tools such as scrapers and notches were predominant. Such aspects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n various regions in the central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nclude common aspects of culture of Paleolithic in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유적 개관 및 검토
      • Ⅲ. 입지 양상과 유물층의 구분
      • Ⅳ. 석기구성과 석기공작의 변화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유적 개관 및 검토
      • Ⅲ. 입지 양상과 유물층의 구분
      • Ⅳ. 석기구성과 석기공작의 변화
      • Ⅴ. 맺음말
      • 參考文獻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학수, "현화리유적 발굴조사보고, In 平澤 玄華里 遺蹟" 平澤市 公營開發事業所 · 忠北大學校 先史文化硏究所 13-233, 1996

      2 이정철, "한강유역 구석기유적의 편년과 석기공작 - 남한강과 한강본류의 주요 한데유적을 중심으로 -" 한국구석기학회 1 (1): 89-116, 2012

      3 이정철, "한강 하류역 구석기유적 형성 과정의 일양상 -파주 운정1지구 36-5지점을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회 1 (1): 3-17, 2013

      4 이정철, "평택지역 구석기 유물에 대한 예보적 고찰" 동국역사문화연구소 (48) : 1-30, 2010

      5 아주대학교 박물관, "평택 원정리유적 발굴조사 개보" 2 : 1997

      6 이융조, "평택 내기리 · 희곡리 발굴조사 보고, In 서해안 고속도로 건설구간(안산-안중간)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3)" 한국도로공사․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1995

      7 이정철, "파주 운정지구 구석기유적에 대한 시론적 고찰" 한국구석기학회 1 (1): 61-81, 2013

      8 김정빈, "천안 우신리 구석기유적의 제4기층 Tephra 층서, In 天安 牛新里 舊石器遺蹟"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 국토해양부 대전지방국토관리청 2011

      9 김주용, "천안 우신리 구석기유적 제4기 지질조사와 자연과학분석연구, In 天安 牛新里 舊石器遺蹟"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 국토해양부 대전지방국토관리청 2011

      10 한창균, "직산 수헐리 유적" (재)충청문화재연구원 2009

      1 권학수, "현화리유적 발굴조사보고, In 平澤 玄華里 遺蹟" 平澤市 公營開發事業所 · 忠北大學校 先史文化硏究所 13-233, 1996

      2 이정철, "한강유역 구석기유적의 편년과 석기공작 - 남한강과 한강본류의 주요 한데유적을 중심으로 -" 한국구석기학회 1 (1): 89-116, 2012

      3 이정철, "한강 하류역 구석기유적 형성 과정의 일양상 -파주 운정1지구 36-5지점을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회 1 (1): 3-17, 2013

      4 이정철, "평택지역 구석기 유물에 대한 예보적 고찰" 동국역사문화연구소 (48) : 1-30, 2010

      5 아주대학교 박물관, "평택 원정리유적 발굴조사 개보" 2 : 1997

      6 이융조, "평택 내기리 · 희곡리 발굴조사 보고, In 서해안 고속도로 건설구간(안산-안중간)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3)" 한국도로공사․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1995

      7 이정철, "파주 운정지구 구석기유적에 대한 시론적 고찰" 한국구석기학회 1 (1): 61-81, 2013

      8 김정빈, "천안 우신리 구석기유적의 제4기층 Tephra 층서, In 天安 牛新里 舊石器遺蹟"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 국토해양부 대전지방국토관리청 2011

      9 김주용, "천안 우신리 구석기유적 제4기 지질조사와 자연과학분석연구, In 天安 牛新里 舊石器遺蹟"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 국토해양부 대전지방국토관리청 2011

      10 한창균, "직산 수헐리 유적" (재)충청문화재연구원 2009

      11 김주용, "직산 수헐리 구석기유적의 제4기 지질 및 퇴적물의 분석연구, In 직산 수헐리 유적" (재)충청문화재연구원 2009

      12 김도영, "안성천 유역 분지의 지형발달 특색 : 안성-평택 일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11

      13 경기도박물관, "안성천" 경기출판사 2003

      14 김주용, "안성 개정리 구석기유적의 제4기 지질 및 자연과학분석, In 安城開井里 舊石器遺蹟"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 안성시 2011

      15 윤내현, "구석기 유적 조사 보고, In 서해안 고속도로 건설구간(안산-안중간)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2)" 한국도로공사․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1995

      16 최승엽, "강원지역의 구석기문화 연구" 강원대학교 2010

      17 孫寶基, "石壯里이외의 舊石器文化의 分布可能性" 白山學會 7 : 1969

      18 京畿道博物館, "平澤의 歷史와 文化遺蹟" 平澤市 · 京畿道博物館 1999

      19 이창욱, "平澤 龍耳洞 遺蹟"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평택시청 2011

      20 김기태, "平澤 宮里 遺蹟" 京畿文化財團 附設 畿甸文化財硏究院 · (株)榮和建設 2006

      21 강채경, "平澤 安仲 · 松潭里 遺蹟"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평택시 2013

      22 홍성수, "平澤 土津里 遺蹟" 京畿文化財團 附設 畿甸文化財硏究院· 京畿地方公社 2006

      23 이의한, "安城川 中流의 沖積段丘" 대한지리학회 34 (34): 1999

      24 조상기, "安城 龍頭里遺蹟" 중앙문화재연구원 2007

      25 이융조, "安城 開井里 舊石器遺蹟"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 안성시 2011

      26 李承源, "天安 牛新里 舊石器遺蹟"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 국토해양부대전지방국토관리청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9 1.72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