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치매의 조기 선별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치매 전 단계로 알려진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치매로 진전될 가능성이 높은 경도인지장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027358
부산 :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학위논문(석사) --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 언어청각치료학과 , 2022. 2
2022
한국어
부산
; 26 cm
지도교수: 박희준
I804:21037-20000059707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치매의 조기 선별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치매 전 단계로 알려진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치매로 진전될 가능성이 높은 경도인지장애...
최근 치매의 조기 선별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치매 전 단계로 알려진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치매로 진전될 가능성이 높은 경도인지장애는 치매 전 단계에서 치매 발병 기전 확인과 조기 선별을 가능하게 하여 임상적 가치가 높다.
경도인지장애 진단과 관련하여 주의력은 유용한 선별지표로 연구되어왔다. 특히 이중과제나 다중과제처럼 처리해야 할 인지적 요구가 분산된 주의력 과제일수록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주의력 결함은 더욱 두드러진다. 최근 인지장애의 예측요인으로 연구되고 있는 소근육 운동 과제로는 나선형 그리기 과제가 있다. 다수의 연구에서 나선형 그리기 과제에 디지털 기기를 기반으로 한 동적 요소(시간, 속도, 이동 등)를 변수로 적용하여, 정량적 분석을 통해 노인 환자의 인지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선형 그리기 과제에 주의력 과제를 결합하여 동시 시행하고, 각 집단의 임상적, 정량적 변수를 도출한다. 이를 통해 경도인지장애의 수행, 인지능력 특성을 확인하여 경도인지장애 선별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만 74세 이하인 자로 경도인지장애 노인 집단과 정상 노인 집단을 선정하되,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K-MoCA) 결과 총점 30점 중 22점 이하인 자는 경도인지장애 노인 집단, 23점 이상인 자는 정상 노인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검사 도구는 시·청각 주의력 기반의 나선형 그리기 과제이다. 이때 태블릿 PC로 나선형 그리기 과제를 제시하되, 나선형 그리기 과제와 시·청각 주의력 과제를 동시에 부여하여 과업의 인지적 난이도를 높였다. 실험 과제의 조건은 과제의 복잡성과 난이도를 기준으로 단순 나선형 그리기, 청각 주의력 나선형 그리기, 시각 주의력 나선형 그리기로 구성하였다. 이때 시·청각 주의력 나선형 그리기 과제는 나선형 그리기 과제 수행을 유지하면서 대상자에게 제시된 신호음을 듣거나, 유도 화면을 보았을 때 그리기 과제 수행을 멈추거나 시작하도록 지시하였다. 본 연구는 시·청각 주의력 기반의 나선형 그리기 과제 수행을 통해 임상적 변수와 정량적 변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정량적, 임상적 변수를 바탕으로 집단 간 과제 수행능력 차이를 비교하였고, 시·청각 주의력 기반의 나선형 그리기 수행능력과 인지능력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인지장애 노인 집단과 정상 노인 집단 간 시·청각 주의력 기반 나선형 그리기 과제의 정량적, 임상적 변수를 비교하여 확인한 결과, 경도인지장애 노인 집단이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시·청각 주의력 나선형 그리기 과제에서는 경도인지장애 노인 집단이 유의하게 느린 시작 반응시간을 보였다. 정량적 변수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시·청각 주의력 과제 조건에서 공통적으로 시작 반응시간이 집단 간 차이를 변별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정량적 변수임을 도출하였다.
둘째, 시·청각 주의력 기반 나선형 그리기 과제의 수행능력과 경도인지장애 선별검사인 K-MoCA 총점 및 하위항목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상관관계 결과는 본 연구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변별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정량적 변수로 제시한 시·청각 시작 반응시간이 인지능력을 예측하는 유력한 정량적 변수 또한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 집단과 정상 노인 집단을 대상으로 시·청각 주의력 기반의 나선형 그리기 과제를 제시하여 집단 간 수행능력 차이, 수행능력과 인지능력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선별의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유력한 정량적, 임상적 변수를 도출하여, 노인층 인지능력 평가의 대안을 제시하였음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