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시 청년안심주택의 입지 유형별 특성 분석 - 사업 초기 개발된 16개 사례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Seoul’s 20s~30s Youth Housing Based on Location Type - Focusing on 16 Completed Cases in the Early Stages of the Pro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686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년안심주택의 입지와 주변 환경을 파악하고, 청년층의 수요를 반영하는지 확인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청년에 대한 주택의 공급 활성화를 위해 양적 확대를 주장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거주자의 관점에서 대상지를 질적 평가하고자 하였다. QGIS 3.22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안심주택의 대상지와 청년 1인가구 밀집지역의 분포 차이를 파악하였고, 청년안심주택이 일반 주거지역보다 상업지역에 다수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청년안심주택을 유형별로 구분하고, 16개의 사례 대상지에 대한 접근성 분석 및 거주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초기 역세권 청년주택이라는 취지에 맞게, 대중교통에 대한 접근성은 우수하였지만, 연령별, 혼인여부, 자녀유무에 따라 입지 및 도보권 내 선호하는 시설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청년안심주택의 입지는 도로 현황 및 인프라, 대지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되어야 하며, 신규 건설을 통한 공급 위주의 정책 대신 청년층의 수요를 반영하는 청년주거 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역세권 청년주택에서 청년안심주택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현재를 살펴보고, 추후 새롭게 추진하는 청년주택의 입지 선정에 정책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년안심주택의 입지와 주변 환경을 파악하고, 청년층의 수요를 반영하는지 확인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청년에 대한 주택의 공급 활성화를 위해 양적 확대를 주장한 ...

      본 연구는 청년안심주택의 입지와 주변 환경을 파악하고, 청년층의 수요를 반영하는지 확인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청년에 대한 주택의 공급 활성화를 위해 양적 확대를 주장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거주자의 관점에서 대상지를 질적 평가하고자 하였다. QGIS 3.22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안심주택의 대상지와 청년 1인가구 밀집지역의 분포 차이를 파악하였고, 청년안심주택이 일반 주거지역보다 상업지역에 다수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청년안심주택을 유형별로 구분하고, 16개의 사례 대상지에 대한 접근성 분석 및 거주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초기 역세권 청년주택이라는 취지에 맞게, 대중교통에 대한 접근성은 우수하였지만, 연령별, 혼인여부, 자녀유무에 따라 입지 및 도보권 내 선호하는 시설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청년안심주택의 입지는 도로 현황 및 인프라, 대지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되어야 하며, 신규 건설을 통한 공급 위주의 정책 대신 청년층의 수요를 반영하는 청년주거 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역세권 청년주택에서 청년안심주택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현재를 살펴보고, 추후 새롭게 추진하는 청년주택의 입지 선정에 정책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location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of 20s-30s youth housing to determine whether they align with the needs of young residents. Unlike previous research, which emphasized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youth housing supply, this study takes a qualitative approach by assessing housing sites from the residents’ perspective. Using QGIS 3.22, the study identifies discrepancies between the locations of 20s-30s youth housing and the concentration of youth single-person households. The findings confirm that 20s-30s youth housing is more frequently located in commercial areas than in general residential zones. The study further categorizes 20s~30s youth safe housing by type and conducts an accessibility analysis and a resident survey across 16 case sites. The study’s results indicate that, in line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youth housing in station area, 20s-30s youth housing sites provide generally fair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However, location preferences and desired facilities within walkable distance vary depending on age and marital status and whether residents have children. The selection of 20s-30s youth housing locations should take into account road conditions, infrastructure, and site-specific attributes,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youth housing policies that reflect the actual needs of young residents,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supply-driven policies through new construction.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transition from youth housing in station area to 20s-30s youth housing in underdeveloped areas, thereby offering valuable insights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strategic selection of future youth housing location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location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of 20s-30s youth housing to determine whether they align with the needs of young residents. Unlike previous research, which emphasized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youth housing supply, t...

      This study examines the location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of 20s-30s youth housing to determine whether they align with the needs of young residents. Unlike previous research, which emphasized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youth housing supply, this study takes a qualitative approach by assessing housing sites from the residents’ perspective. Using QGIS 3.22, the study identifies discrepancies between the locations of 20s-30s youth housing and the concentration of youth single-person households. The findings confirm that 20s-30s youth housing is more frequently located in commercial areas than in general residential zones. The study further categorizes 20s~30s youth safe housing by type and conducts an accessibility analysis and a resident survey across 16 case sites. The study’s results indicate that, in line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youth housing in station area, 20s-30s youth housing sites provide generally fair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However, location preferences and desired facilities within walkable distance vary depending on age and marital status and whether residents have children. The selection of 20s-30s youth housing locations should take into account road conditions, infrastructure, and site-specific attributes,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youth housing policies that reflect the actual needs of young residents,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supply-driven policies through new construction.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transition from youth housing in station area to 20s-30s youth housing in underdeveloped areas, thereby offering valuable insights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strategic selection of future youth housing locat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