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산학협력을 통한 현장실습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직무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46677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 2018. 2
2018
한국어
372.21 판사항(22)
충청북도
ⅵ, 143 p.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김숙자
참고문헌 : p.66-7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산학협력을 통한 현장실습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직무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산...
본 연구는 산학협력을 통한 현장실습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직무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산학협력을 통한 현장실습 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직무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G도 W시에 위치한 3년제 S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45명이다. 이들은 모두 유아교사 자격취득을 위해 교육봉사활동, 유아교육실습, 보육실습 과목을 이수한 예비유아교사들이다.
실험 처치는 2017년 6월 19일부터 9월 8일까지 총 12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유아교육기관과 대학의 협력을 통한 현장실습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직무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의 지도 및 보호, 학급경영 및 담당업무처리, 전문성 신장, 관계조성 및 유지, 4개 영역의 현장실습을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이정화(2007)가 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제작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사용한 것이다.
자료처리는 검사결과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현장실습 전과 후의 차이를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학협력을 통한 현장실습 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직무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6.104, *p<0.05, **p<0.01).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유아의 지도 및 보호 영역(*p<0.05, **p<0.01), 학급경영 및 담당업무처리 영역(*p<0.05, **p<0.01), 전문성 신장 영역(**p<0.05, **p<0.01), 관계조성 및 유지 영역(*p<0.05, **p<0.01)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 해 볼 때 산학협력을 통한 현장실습 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직무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