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解放以前 日本에 있어서 韓國佛敎硏究 現況_prepri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8058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小論은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대학부설연구소 지원과제로 선정된 「韓日間의 철학사상적 교류-백년간의 회고와 전망」, (共同연구, 연구기간 3년) 불교부문의 1년차 연구성과를 정리한 ...

      본 小論은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대학부설연구소 지원과제로 선정된 「韓日間의 철학사상적 교류-백년간의 회고와 전망」, (共同연구, 연구기간 3년) 불교부문의 1년차 연구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일본인들의 한국불교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1882년부터 시작하여, 1910년 韓日合邦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것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과 한계에도 불구하고, 한국 佛敎史 연구의 초석이 되었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 동안 각 연구분야별로 이들의 연구성과에 대한 검토와 인용이 부분적으로는 되어왔지만, 그 전모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검토는 이루어진 적이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작된 본 小論은 그 기초적인 정리작업의 일환으로 1945년, 解放以前까지 일본인학자 등에 의해 이루어진 한국불교에 관한 諸論議를 수집 정리하여 총목록을 작성하고 그 연구의 현황을 살핀 것이다. 사실 이러한 성격의 연구활동은 최근 일본에서도 전개되고 있는 바이다. 따라서 본인은 이 연구 현황에 대한 내용상의 본격적인 분석과 비판은 앞으로의 별도 논문으로 밝혀 볼 예정이다.
      다만 여기서는 그 기본적인 차원에서 진행한 연구 현황의 파악과 연구물 총목록을 제시하여 ‘資料篇’으로서의 형식을 취하고자 한다. 이에 먼저 한일합방이라고 하는 정치적 상황을 배경으로 전개되는 한국불교 연구의 실상을 살핀 연후에, 그 연구현황의 실제를 분석 정리하고자 한다.
      이 분석의 시각은 일본 학계에서의 연구 주체는 누구이었는가 하는 문제로부터 시작하여, 연구 대상을 중심으로 해서는 ① 한국불교사 ② 한국불교학자 ③ 한국불교문헌 등의 세 경우로 나누어 보는 것이다. 그 뒤 전체적인 입장에서 일본인의 한국불교연구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면서 해방이전의 연구물 모두를 시대별로 분류하여 정리해 놓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은 세부적인 내용상의 연구를 위한 기본적 의의를 갖는 것이지만, 일단 그 전체적인 현황을 총람한다는 입장에서 그 가치를 가질 수 있는 것이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pers and books about Korean Buddhism which were mainly written by Japanese scholars and monks before 1945 The study of Korean Buddhism in Japan was begun by monk Enjin Okumura(奧村圓心) in 188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pers and books about Korean Buddhism which were mainly written by Japanese scholars and monks before 1945
      The study of Korean Buddhism in Japan was begun by monk Enjin Okumura(奧村圓心) in 1882.
      During that time(1882∼1945), the number of papers and books about Korean Buddhism which were published in Japan amount to 470.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tendency and nature of the study of Korean Buddhism in Japan, and to make a list of index.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원의 내용은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의 정보입니다.

      정보원의 내용은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의 정보입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序 言 2. 한일합방과 한국불교 연구 3. 한국불교 연구의 중심인물과 그 현황 4. 한국불교사를 중심으로 한 연구현황 5. 한국불교학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현황 6. 한국불...

      1. 序 言
      2. 한일합방과 한국불교 연구
      3. 한국불교 연구의 중심인물과 그 현황
      4. 한국불교사를 중심으로 한 연구현황
      5. 한국불교학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현황
      6. 한국불교문헌을 대상으로 한 연구현황
      7. 한국불교 연구의 의의
      8. 해방이전 일본의 한국불교연구 총목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