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컨버전스 관점으로 본 가전제품 디자인 특성과 동향 연구: 국내 가전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n Home Appliance Design Characteristics and Trends from the Convergence Perspective: Focused on the Home Appliances Industry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35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Home appliances, which used to be called white appliances, have recently been making repeated attempts to stimulate consumer sentiment. Although diverse types of convergence are occurring in the industry from conceptual to functional and physical convergence, systematic and analytical studies that try to understand these phenomenons are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base of convergence study related to home electronics products.
      Method First,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s home electronics and convergence design has been studi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Next, case studies were done to discover specific convergence phenomenons. Lastly, by apprehending the purpose and frequency of the phenomenons, the overall design trends were derived.
      Results 5 convergence types were derived: functional convergence between electronics, physical convergence between electronics, convergence between ICT technology, convergence between fashion, and convergence between furniture. According to the purposes, convergence in the home appliance industry could be classified differently.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discovering specific convergence phenomenons of modern home appliances and trends from the perspective. Concerning and applying different types of convergence will be needed within a home appliance design process.
      번역하기

      Background Home appliances, which used to be called white appliances, have recently been making repeated attempts to stimulate consumer sentiment. Although diverse types of convergence are occurring in the industry from conceptual to functional and p...

      Background Home appliances, which used to be called white appliances, have recently been making repeated attempts to stimulate consumer sentiment. Although diverse types of convergence are occurring in the industry from conceptual to functional and physical convergence, systematic and analytical studies that try to understand these phenomenons are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base of convergence study related to home electronics products.
      Method First,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s home electronics and convergence design has been studi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Next, case studies were done to discover specific convergence phenomenons. Lastly, by apprehending the purpose and frequency of the phenomenons, the overall design trends were derived.
      Results 5 convergence types were derived: functional convergence between electronics, physical convergence between electronics, convergence between ICT technology, convergence between fashion, and convergence between furniture. According to the purposes, convergence in the home appliance industry could be classified differently.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discovering specific convergence phenomenons of modern home appliances and trends from the perspective. Concerning and applying different types of convergence will be needed within a home appliance design proc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백색가전으로 불리던 가전은 최근 소비자의 감성 요소를 자극하기 위한 시도를 거듭하고 있다. 이때 ‘가전의 가구화’와 같은 개념적 컨버전스부터, 기능적, 물리적 컨버전스 등 다양한 유형의 융복합 현상이 가전 산업에서 일어나고 있으나,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한 디자인적 연구가 미흡하여 본 연구를 통해 가전제품 영역에서의 컨버전스 관련 연구의 기초를 확립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문헌 연구를 토대로 국내 가전의 역사와 컨버전스 디자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사례 조사분석을 통해 가전제품의 디자인 요소와 특징을 파악하여 가전 산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컨버전스 유형을 세분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컨버전스 현상의 목적과 빈도를 파악해 가전제품의 디자인 동향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가전 제품군 내 컨버전스 현상은 가전 간 기능적 컨버전스, 가전 간 물리적 컨버전스, ICT 기술과 컨버전스, 패션과 컨버전스, 가구와 컨버전스 총 다섯 가지 유형이 관찰되었으며 가전의 지능화, 맞춤화 그리고 경험 확장의 목적에 따라 그 구분을 달리 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현대 가전의 디자인적 이해를 돕기 위해 가전의 컨버전스 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동향을 살펴본 데에 의의가 있다. 가전을 기획하고 개발하는 데 있어서 컨버전스라는 디자인 수단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다양한 컨버전스 현상을 복합적으로 고려 및 적용하려는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백색가전으로 불리던 가전은 최근 소비자의 감성 요소를 자극하기 위한 시도를 거듭하고 있다. 이때 ‘가전의 가구화’와 같은 개념적 컨버전스부터, 기능적, 물리적 컨버전스 등...

      연구배경 백색가전으로 불리던 가전은 최근 소비자의 감성 요소를 자극하기 위한 시도를 거듭하고 있다. 이때 ‘가전의 가구화’와 같은 개념적 컨버전스부터, 기능적, 물리적 컨버전스 등 다양한 유형의 융복합 현상이 가전 산업에서 일어나고 있으나,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한 디자인적 연구가 미흡하여 본 연구를 통해 가전제품 영역에서의 컨버전스 관련 연구의 기초를 확립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문헌 연구를 토대로 국내 가전의 역사와 컨버전스 디자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사례 조사분석을 통해 가전제품의 디자인 요소와 특징을 파악하여 가전 산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컨버전스 유형을 세분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컨버전스 현상의 목적과 빈도를 파악해 가전제품의 디자인 동향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가전 제품군 내 컨버전스 현상은 가전 간 기능적 컨버전스, 가전 간 물리적 컨버전스, ICT 기술과 컨버전스, 패션과 컨버전스, 가구와 컨버전스 총 다섯 가지 유형이 관찰되었으며 가전의 지능화, 맞춤화 그리고 경험 확장의 목적에 따라 그 구분을 달리 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현대 가전의 디자인적 이해를 돕기 위해 가전의 컨버전스 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동향을 살펴본 데에 의의가 있다. 가전을 기획하고 개발하는 데 있어서 컨버전스라는 디자인 수단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다양한 컨버전스 현상을 복합적으로 고려 및 적용하려는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동헌 ; 변종봉 ; 유연우, "컨버전스유형별 비즈니스모델 개발을 위한 혁신도구 비교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141-152, 2012

      2 권일현, "컨버전스 디자인의 한국적 패러다임 연구 : 한국 보자기의 기능과 순환성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3 박해천, "지펠과 디오스의 냉장고 디자인 연구 :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한국디자인학회 34 (34): 285-303, 2021

      4 한국전력거래소, "주택용 가전기기 보급현황 조사 보고서 (20191231)"

      5 HS Adzine, "응답하라 시대별 가전! 신혼 필수품으로 알아보는 가전제품 트렌드 [웹 블로그 게시물]"

      6 최임주 ; 박인순, "아파트 단위평면 구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 1970~2000년대, 부산지역에 건설된 아파트 평면의 각 실 면적 비율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0 (10): 53-62, 2008

      7 LG그룹 소셜매거진, "시대와 함께 변화해온 가전 디자인의 역사 [웹 튜토리얼 게시물]"

      8 이길옥 ; 변상태, "스마트 홈 가전 디자인 동향 및 전략 방향"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10 (10): 83-90, 2016

      9 이정민, "사용자의 욕구 · 기억 체계와 디자인의 연관성 : 관련 인지심리 원리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4 (14): 271-286, 2019

      10 강귀석, "기술 분석 보고서 (2019-91)"

      1 양동헌 ; 변종봉 ; 유연우, "컨버전스유형별 비즈니스모델 개발을 위한 혁신도구 비교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141-152, 2012

      2 권일현, "컨버전스 디자인의 한국적 패러다임 연구 : 한국 보자기의 기능과 순환성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3 박해천, "지펠과 디오스의 냉장고 디자인 연구 :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한국디자인학회 34 (34): 285-303, 2021

      4 한국전력거래소, "주택용 가전기기 보급현황 조사 보고서 (20191231)"

      5 HS Adzine, "응답하라 시대별 가전! 신혼 필수품으로 알아보는 가전제품 트렌드 [웹 블로그 게시물]"

      6 최임주 ; 박인순, "아파트 단위평면 구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 1970~2000년대, 부산지역에 건설된 아파트 평면의 각 실 면적 비율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0 (10): 53-62, 2008

      7 LG그룹 소셜매거진, "시대와 함께 변화해온 가전 디자인의 역사 [웹 튜토리얼 게시물]"

      8 이길옥 ; 변상태, "스마트 홈 가전 디자인 동향 및 전략 방향"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10 (10): 83-90, 2016

      9 이정민, "사용자의 욕구 · 기억 체계와 디자인의 연관성 : 관련 인지심리 원리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4 (14): 271-286, 2019

      10 강귀석, "기술 분석 보고서 (2019-91)"

      11 한정민 ; 이윤경 ; 강혜승, "국내 가전제품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태도 분석- 융‧복합 디자인이 적용된 냉장고 표면 패턴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58 : 391-400, 2017

      12 고성천, "국내 가전업계의 디자인 마케팅 전략 : 삼성 비스포크 & LG 오브제 가전제품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2022

      13 김철신, "가전업계 경쟁, 제품에서 플랫폼으로…삼성-LG 주도권 경쟁 치열" 연합뉴스

      14 심현준 ; 선섭희, "MZ세대 1인 가구의 홈퍼니싱 제품 구매성향 및 선호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15 (15): 65-75, 2021

      15 김영주 ; 이수민 ; 김은빈 ; 박수연, "1980년대 이후 최근까지 주거문화에 관한 연구 경향 분석 - 선행연구의 주제어를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2 (22): 104-112,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