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Mesenchymal stem cell-exosomes derived from canine adipose tissue : modulators of Ccanine intestinal epithelial cell response to TNF-α = 개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엑소좀: TNF-α에 대한 개 장 상피세포 반응의 조절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78793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4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영어

      • 주제어

        ExosomeIBDTNF-αCIECsTJs

      • DDC

        636.7089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대한민국

      • 기타서명

        개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엑소좀 : TNF-α에 대한 개 장 상피세포 반응의 조절자

      • 형태사항

        iii, 34 p. : charts ; 26 cm.

      • 일반주기명

        Thesis Advisor: 오태호.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 UCI식별코드

        I804:22001-000000107365

      •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염증성 장질환은 3주 이상 지속되는 만성 소화기 질환을 의미하며, 반복되는 설사, 구토 및 식욕 부진과 같은 증상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염증성 장질환이 발생하면 장내 염증은 장의 구조적인 변화를 유발하고 상피 접합부의 완전성을 손상시켜 독소 및 병원체의 침투가 유발된다. 엑소좀은 세포외 소포체로서, 염증 및 감염 발생 시 면역 반응을 포함한 다양한 병리생리학적 경로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엑소좀의 장상피에 대한 항염증 효과와 상피 접합부의 조절을 확인하는 것으로 개 장상피세포 (CIECs)에 대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과 결합 단백질 확인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개 장상피세포(CIECs)를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음성 대조를 위한 대조군, TNFα 처리를 한 TNF-α 군 그리고 엑소좀 및 TNF-α 모두 처리한 Exo 군 총 3군으로 나누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CIECs는 TNF-α 처리를 통해 염증을 유발시켰다. Exo 군은 엑소좀 처리 4시간 뒤 TNF-α 처리하였다.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IL-8, IL-1β 및 IFN-γ)의 발현 수준은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결합 단백질(claudin 1 및 occludin)은 RT-qPCR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TNF-α 군은 대조군에 비해 염증성 사이토카인(IFN- γ, IL-6, IL-8 and IL-1β)의 발현이 더 높았으며 (p<0.05), Exo 군은 TNF-α 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사이토카인 발현을 보였다 (p<0.05).
      TNF-α 군은 대조군 보다 결합 단백질(claudin 및 occludin)의 발현이 낮았다 (p<0.05). 그러나
      Exo 군은 TNF-α 군보다 접합부 단백질 발현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5).
      본 실험 결과를 통해, 엑소좀이 CIECs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IL-8, IL-1β 및 IFN-γ) 발현을 억제하고 장벽 결합 단백질 (claudin 및 occluind) 회복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엑소좀이 개 장상피세포에서 항염증 및 장내 접합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가지며, 개의 염증성 장질환 치료에 대한 엑소좀의 새로운 잠재력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염증성 장질환은 3주 이상 지속되는 만성 소화기 질환을 의미하며, 반복되는 설사, 구토 및 식욕 부진과 같은 증상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염증성 장질환이 발생하면 장내 염증은 장의 ...

      염증성 장질환은 3주 이상 지속되는 만성 소화기 질환을 의미하며, 반복되는 설사, 구토 및 식욕 부진과 같은 증상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염증성 장질환이 발생하면 장내 염증은 장의 구조적인 변화를 유발하고 상피 접합부의 완전성을 손상시켜 독소 및 병원체의 침투가 유발된다. 엑소좀은 세포외 소포체로서, 염증 및 감염 발생 시 면역 반응을 포함한 다양한 병리생리학적 경로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엑소좀의 장상피에 대한 항염증 효과와 상피 접합부의 조절을 확인하는 것으로 개 장상피세포 (CIECs)에 대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과 결합 단백질 확인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개 장상피세포(CIECs)를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음성 대조를 위한 대조군, TNFα 처리를 한 TNF-α 군 그리고 엑소좀 및 TNF-α 모두 처리한 Exo 군 총 3군으로 나누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CIECs는 TNF-α 처리를 통해 염증을 유발시켰다. Exo 군은 엑소좀 처리 4시간 뒤 TNF-α 처리하였다.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IL-8, IL-1β 및 IFN-γ)의 발현 수준은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결합 단백질(claudin 1 및 occludin)은 RT-qPCR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TNF-α 군은 대조군에 비해 염증성 사이토카인(IFN- γ, IL-6, IL-8 and IL-1β)의 발현이 더 높았으며 (p<0.05), Exo 군은 TNF-α 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사이토카인 발현을 보였다 (p<0.05).
      TNF-α 군은 대조군 보다 결합 단백질(claudin 및 occludin)의 발현이 낮았다 (p<0.05). 그러나
      Exo 군은 TNF-α 군보다 접합부 단백질 발현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5).
      본 실험 결과를 통해, 엑소좀이 CIECs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IL-8, IL-1β 및 IFN-γ) 발현을 억제하고 장벽 결합 단백질 (claudin 및 occluind) 회복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엑소좀이 개 장상피세포에서 항염증 및 장내 접합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가지며, 개의 염증성 장질환 치료에 대한 엑소좀의 새로운 잠재력을 시사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1
      • Materials and methods 4
      • Cell culture 4
      • Cell Counting Kit (CCK)-8 5
      • Preparation of MSC-Exosome 6
      • Introduction 1
      • Materials and methods 4
      • Cell culture 4
      • Cell Counting Kit (CCK)-8 5
      • Preparation of MSC-Exosome 6
      • Exosome treatment of CIECs 6
      • Measurement of IL-6, IL-8, IL-1β and IFN-γ 7
      • RNA extraction and cDNA synthesis 8
      • Real-time quantitative PCR 8
      • Statistical analysis 9
      • Results 11
      • CIEC culture 11
      • Determination of TNF-α concentration 13
      • Exosome reduced pro-inflammatory cytokines expression in CIECs 15
      • Exosomes enhanced the expression of tight junction proteins 15
      • Discussion 22
      • Conclusion 26
      • References 27
      • (Abstract) 31
      • (초 록) 3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