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안동지역 ‘삼공신三功臣’ 신사神祠의 기원과 성격 =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Meritorious Retainers’ Temple of Goryo Dynasty in Andong Reg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aesamyo (太師廟) in Andong is centered around the deed of Three Meritorious Retainers and the resulting promotion of Gochang-goon to Andong-bu. However, the original understanding of the Three Retainers’ significance and the nature of their temple until 1425 greatly differed from that of the present days.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e Three Meritorious Retainers’ Temple existed in the current location, which consisted the office area Busa (府司) administered by the local official Hyangli. Its location signifies that its character resembled that of the Bugeundang religion prompted by the Hyangli group. However, it is likely that the Three Retainers in Goryo period functioned as the patron gods of the central city of Andong area. Their temple also possibly enshrined female deity as well as the male Three Retainers. The ruling Hyangli class, which was the descendant of the Three Retainers, administered the ritual for them and thus secured the authority to lead the local society.
      번역하기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aesamyo (太師廟) in Andong is centered around the deed of Three Meritorious Retainers and the resulting promotion of Gochang-goon to Andong-bu. However, the original understanding of the Three Retainers’ significance...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aesamyo (太師廟) in Andong is centered around the deed of Three Meritorious Retainers and the resulting promotion of Gochang-goon to Andong-bu. However, the original understanding of the Three Retainers’ significance and the nature of their temple until 1425 greatly differed from that of the present days.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e Three Meritorious Retainers’ Temple existed in the current location, which consisted the office area Busa (府司) administered by the local official Hyangli. Its location signifies that its character resembled that of the Bugeundang religion prompted by the Hyangli group. However, it is likely that the Three Retainers in Goryo period functioned as the patron gods of the central city of Andong area. Their temple also possibly enshrined female deity as well as the male Three Retainers. The ruling Hyangli class, which was the descendant of the Three Retainers, administered the ritual for them and thus secured the authority to lead the local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안동시에 있는 ‘태사묘太師廟’는 삼공신의 공훈과 이로 인한 고창군의 안동부 승격을 중심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1425년 이전에 안동 지역에서 삼공신에게 부여한 의미와 역할, 삼공신을 모신 사당과 이곳에서 이루어진 제향의 성격은 현재의 태사묘와 크게 달랐다. 태사묘와 그 전신인 ‘삼공신묘’는 조선시대 전 기간 현재의 위치에 있었으며, 이 위치는 향리가 관할하는 ‘부사府司’영역이었다. 위치를 보면 조선전기 삼공신묘의 성격은 관청의 서리 향리 집단이 주도한 ‘부근당’ 신앙과 유사하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삼공신은 고려시대 치소성의 성황신으로서 지역 전체를 수호하는 신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성황사에는 남신인 삼공신상 외에 여신상도 함께 안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삼공신의 후손이자 지배층이었던 상급 향리집단은 성황제의를 주도하며 삼공신을 자신들과 연결시켜 권위를 높이고 지역사회를 이끌었다.
      번역하기

      현재 안동시에 있는 ‘태사묘太師廟’는 삼공신의 공훈과 이로 인한 고창군의 안동부 승격을 중심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1425년 이전에 안동 지역에서 삼공신에게 부여한 의미와 역할, ...

      현재 안동시에 있는 ‘태사묘太師廟’는 삼공신의 공훈과 이로 인한 고창군의 안동부 승격을 중심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1425년 이전에 안동 지역에서 삼공신에게 부여한 의미와 역할, 삼공신을 모신 사당과 이곳에서 이루어진 제향의 성격은 현재의 태사묘와 크게 달랐다. 태사묘와 그 전신인 ‘삼공신묘’는 조선시대 전 기간 현재의 위치에 있었으며, 이 위치는 향리가 관할하는 ‘부사府司’영역이었다. 위치를 보면 조선전기 삼공신묘의 성격은 관청의 서리 향리 집단이 주도한 ‘부근당’ 신앙과 유사하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삼공신은 고려시대 치소성의 성황신으로서 지역 전체를 수호하는 신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성황사에는 남신인 삼공신상 외에 여신상도 함께 안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삼공신의 후손이자 지배층이었던 상급 향리집단은 성황제의를 주도하며 삼공신을 자신들과 연결시켜 권위를 높이고 지역사회를 이끌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건, "한국의 성씨와 족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2 노명호, "한국고대중세고문서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3 최종석, "한국 중세의 읍치와 성" 신구문화사 2014

      4 최종석, "한국 중세의 읍치와 성" 신구문화사 2014

      5 이수건,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6 최종석, "여말선초 명(明)의 예제(禮制)와 지방 성황제(城隍祭) 재편" 한국역사연구회 (72) : 207-251, 2009

      7 안동권씨대종회, "안동권씨태사공실기(상)" 해돋이 2000

      8 이해준, "성황당과 성황제" 민속원 1998

      9 김광수, "나말여초의 호족과 관반" 한국사연구회 23 : 1979

      10 이종서, "고려시대 성씨 확산의 동인과 성씨의 기능" 한국역사연구회 (108) : 309-344, 2018

      1 이수건, "한국의 성씨와 족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2 노명호, "한국고대중세고문서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3 최종석, "한국 중세의 읍치와 성" 신구문화사 2014

      4 최종석, "한국 중세의 읍치와 성" 신구문화사 2014

      5 이수건,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6 최종석, "여말선초 명(明)의 예제(禮制)와 지방 성황제(城隍祭) 재편" 한국역사연구회 (72) : 207-251, 2009

      7 안동권씨대종회, "안동권씨태사공실기(상)" 해돋이 2000

      8 이해준, "성황당과 성황제" 민속원 1998

      9 김광수, "나말여초의 호족과 관반" 한국사연구회 23 : 1979

      10 이종서, "고려시대 성씨 확산의 동인과 성씨의 기능" 한국역사연구회 (108) : 309-344, 2018

      11 한기문, "고려시대 安東府의 성립과 ‘太師廟’의 기능" 역사교육학회 (61) : 145-176, 2016

      12 변동명, "高麗時期 順天의 山神·城隍神" 역사학회 174 : 33-68, 2002

      13 윤경진, "高麗前期 鄕吏制의 구조와 戶長의 직제" 한국학연구소 20 : 1997

      14 구산우, "羅末麗初의 蔚山地域과 朴允雄" 5 : 2006

      15 변동명, "城隍神 金洪術과 義城" 역사학회 (189) : 1-38, 2006

      16 변동명, "城隍神 金忍訓 · 孫兢訓과 梁山 · 密陽" 고려사학회 (22) : 9-58,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62 1.32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