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주택소비의 결정요인과 주택의 자산효과에 관한 연구 = Three essays on determinants and effects of housing consum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3852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 경제금융학과 , 2010. 2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i, 168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국문요지: p. xi-xii
        Abstract: p. 165-166
        부록: 1. 국가별 주식 및 부동산의 자산효과 비교, 2. 주택시장지표의 자기상관함수, 편자기상관함수, 3. 2008년 주거실태조사 조사표
        설명적 각주 수록
        지도교수: 이영
        참고문헌: p. 124-134
        서지적 각주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세 개의 독립적인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논문은 크게 자녀출산과 주택소비, 주택자산, 주택시장 체감지표와 관련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구성 등을 설명하고, 제2장에서 주택시장과 주택정책 현황을 살펴본 후, 제3장~제5장에서 각기 다른 주제별로 연구를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은 이 연구의 결론으로서 연구를 종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논문의 주제는 자녀출산과 주택소비의 관계 분석이다. 현재 정부에서 시행 중인 3자녀 이상 가구, 신혼부부에 대한 특별 주택공급과 관련하여 3자녀 이상, 혼인 후 3년 이내 자녀출산이 주택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다자녀와 주택소비의 관계 분석에서는 다자녀 출산 변수의 내생성(endogenity)을 해결하기 위해 도구변수를 이용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자가의 주택소비함수에서 첫째, 둘째 자녀의 성별이 같은 도구변수가 3자녀 이상의 도구변수로서 역할을 더 잘하였다. 둘째, 자녀가 늘어날수록 가구의 주택소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택소비 감소효과는 3자녀 이상 가구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셋째, 결혼 후 3년 이내의 자녀 출산은 최초 구입당시와 현재의 주택소비를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 후 3년 이내의 자녀 출산은 자가를 선택할 확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볼 때, 다자녀 가구와 결혼 후 일찍 출산한 가구는 주택소비 측면에서 다른 가구에 비해 불리한 여건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논문의 주제는 주택자산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가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소비, 자산 등이 자세하게 조사된 미시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산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표본을 가구특성별로 세분화하여 자산에 대한 소비탄력성을 연령대, 주택유형, 부채-자산비율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자산유형별로 자산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차감한 순자산, 주택에 대한 연평균 자본이득의 효과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자산에 대한 소비탄력성은 0.05로 추정되었다. 이는 금융자산, 주택이외 부동산자산에 대한 소비탄력성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이다.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의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유동성이 높은 금융자산이 주택자산에 비해 소비탄력성이 낮은 이유는 가구는 금융자산의 증가를 일시적이거나 불확실한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둘째, 연령대를 은퇴 이전인 60대 미만과 은퇴 이후인 60대 이상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60대 이상 계층의 주택자산에 대한 소비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상반된다. 한국의 경우 은퇴하여 소득이 감소하더라도 자산을 처분하지 않으려는 성향이 강해 60대 이상의 예산제약에서 자산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이다. 셋째, 주택유형별로 살펴보면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의 주택자산에 대한 소비탄력성이 다른 주택유형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파트가 다른 주택유형에 비해 많은 가구가 선호하는 주택유형으로 환금성이 높고 담보로 대출을 받기가 수월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아파트 이외 주택유형 거주가구의 연평균자본이득에 대한 추정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단독주택에서 자본이득이 발생되더라도 소비하기보다 더 선호되는 아파트로 이주하기 위한 자금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주택은 일종의 자산의 축적, 즉 저축임과 동시에 소비재라고 할 수 있으며, 주택가격이 오르면 주택소유자의 자산의 증가를 하며 이는 더 좋은 주택을 구매하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넷째, 부채가 낮은 가구의 주택자산에 대한 소비탄력성이 높다. 부채-자산비율이 높은 가구는 부채의 증가가 부의 효과를 제약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 논문의 주제는 주택시장 체감지표의 주택시장지표 예측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주택시장 체감지표 중 시계열이 충분히 길고, 현재도 조사가 시행 중인 주택시장 관련 체감지표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주택수요BSI는 주택가격과 주택거래를 예측하는데 가장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수요BSI는 주택가격, 전세가격, 미분양주택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건설업 경기실적BSI, 경기전망BSI는 주택공급에 대한 예측력을 상대적으로 크게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시장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주택시장의 내재적인 심리요인을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세 개의 독립적인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논문은 크게 자녀출산과 주택소비, 주택자산, 주택시장 체감지표와 관련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

      이 연구는 세 개의 독립적인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논문은 크게 자녀출산과 주택소비, 주택자산, 주택시장 체감지표와 관련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구성 등을 설명하고, 제2장에서 주택시장과 주택정책 현황을 살펴본 후, 제3장~제5장에서 각기 다른 주제별로 연구를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은 이 연구의 결론으로서 연구를 종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논문의 주제는 자녀출산과 주택소비의 관계 분석이다. 현재 정부에서 시행 중인 3자녀 이상 가구, 신혼부부에 대한 특별 주택공급과 관련하여 3자녀 이상, 혼인 후 3년 이내 자녀출산이 주택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다자녀와 주택소비의 관계 분석에서는 다자녀 출산 변수의 내생성(endogenity)을 해결하기 위해 도구변수를 이용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자가의 주택소비함수에서 첫째, 둘째 자녀의 성별이 같은 도구변수가 3자녀 이상의 도구변수로서 역할을 더 잘하였다. 둘째, 자녀가 늘어날수록 가구의 주택소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택소비 감소효과는 3자녀 이상 가구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셋째, 결혼 후 3년 이내의 자녀 출산은 최초 구입당시와 현재의 주택소비를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 후 3년 이내의 자녀 출산은 자가를 선택할 확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볼 때, 다자녀 가구와 결혼 후 일찍 출산한 가구는 주택소비 측면에서 다른 가구에 비해 불리한 여건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논문의 주제는 주택자산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가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소비, 자산 등이 자세하게 조사된 미시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산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표본을 가구특성별로 세분화하여 자산에 대한 소비탄력성을 연령대, 주택유형, 부채-자산비율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자산유형별로 자산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차감한 순자산, 주택에 대한 연평균 자본이득의 효과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자산에 대한 소비탄력성은 0.05로 추정되었다. 이는 금융자산, 주택이외 부동산자산에 대한 소비탄력성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이다.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의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유동성이 높은 금융자산이 주택자산에 비해 소비탄력성이 낮은 이유는 가구는 금융자산의 증가를 일시적이거나 불확실한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둘째, 연령대를 은퇴 이전인 60대 미만과 은퇴 이후인 60대 이상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60대 이상 계층의 주택자산에 대한 소비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상반된다. 한국의 경우 은퇴하여 소득이 감소하더라도 자산을 처분하지 않으려는 성향이 강해 60대 이상의 예산제약에서 자산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이다. 셋째, 주택유형별로 살펴보면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의 주택자산에 대한 소비탄력성이 다른 주택유형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파트가 다른 주택유형에 비해 많은 가구가 선호하는 주택유형으로 환금성이 높고 담보로 대출을 받기가 수월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아파트 이외 주택유형 거주가구의 연평균자본이득에 대한 추정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단독주택에서 자본이득이 발생되더라도 소비하기보다 더 선호되는 아파트로 이주하기 위한 자금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주택은 일종의 자산의 축적, 즉 저축임과 동시에 소비재라고 할 수 있으며, 주택가격이 오르면 주택소유자의 자산의 증가를 하며 이는 더 좋은 주택을 구매하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넷째, 부채가 낮은 가구의 주택자산에 대한 소비탄력성이 높다. 부채-자산비율이 높은 가구는 부채의 증가가 부의 효과를 제약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 논문의 주제는 주택시장 체감지표의 주택시장지표 예측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주택시장 체감지표 중 시계열이 충분히 길고, 현재도 조사가 시행 중인 주택시장 관련 체감지표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주택수요BSI는 주택가격과 주택거래를 예측하는데 가장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수요BSI는 주택가격, 전세가격, 미분양주택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건설업 경기실적BSI, 경기전망BSI는 주택공급에 대한 예측력을 상대적으로 크게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시장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주택시장의 내재적인 심리요인을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지
      • 제1장 서 론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제2절 연구의 구성
      • 국문요지
      • 제1장 서 론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제2절 연구의 구성
      • 제2장 주택시장과 주택정책 현황
      • 제1절 주택시장의 특성
      • 제2절 주택시장의 동향
      • 1. 주택가격
      • 2. 주택공급 및 미분양
      • 제3절 주택정책 현황
      • 1. 투기과열지구․투기지역 지정 제도
      • 2. 주택거래신고제도
      • 3. 보금자리주택 공급
      • 4. 주택 세금제도
      • 5. 주택담보대출 규제
      • 제3장 논문1 : 자녀출산과 주택소비의 관계분석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 제2절 3자녀 이상 가구 및 신혼부부 특별 주택공급프로그램
      • 1. 3자녀 이상 가구에 대한 주택의 특별 공급
      • 2. 신혼부부 특별 주택공급프로그램
      • 제3절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 1. 2기간 동태모형
      • 2. 선행연구 고찰
      • 제4절 실증분석
      • 1. 다자녀 출산과 주택소비
      • 1) 자료 및 모형
      • 2) 다자녀 출산 변수의 내생성(endogeneity)과 도구변수의 이용
      • 3) 다자녀 출산과 주택소비의 관계 분석
      • 2. 신혼부부 자녀 출산과 주택소비
      • 1) 자료 및 모형
      • 2) 신혼부부 자녀 출산과 주택소비의 관계 분석
      • 제5절 결론 및 시사점
      • 제4장 논문2 : 주택자산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 -연령, 주택유형, 부채-자산비율을 감안하여-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 제2절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 1. 소비결정이론
      • 2. 2기간 생애주기 모형
      • 3. 선행연구 고찰
      • 제3절 실증분석
      • 1. 자료 및 모형
      • 2. 실증분석
      • 제4절 결론 및 시사점
      • 제5장 논문3 : 주택시장 체감지표의 주택시장지표 예측력 분석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 제2절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 1. 기대가설과 관련 연구
      • 2. 체감지표의 유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제3절 주택시장 체감지표 현황
      • 제4절 주택시장 체감지표의 주택시장지표 예측력 분석
      • 1. 모형의 설정
      • 2. 실증분석
      • 제5절 결론 및 시사점
      • 제6장 결 론
      • 제1절 연구결과와 시사점
      • 제2절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 참고문헌
      • 부 록
      • 1. 국가별 주식 및 부동산의 자산효과 비교
      • 2. 주택시장지표의 자기상관함수, 편자기상관함수
      • 3. 2008년 주거실태조사 조사표
      • ABSTRACT
      • 연구윤리서약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종원, "계량경제학", 博英社, 2001

      2 이중희, "?주택경제론?", 주택경제론, 1997

      3 Fontenla, Gonzalez, "HousingdemandinMexico", 2009

      4 Keynes, "GeneralTheory ofEmployment", 1936

      5 김근용, 김혜승, "2006년도 주거실태조사", 2007

      6 김근용, 김혜승, "2008년도 주거실태조사", 2009

      7 DelBoca, Pronzato, "Employmentand fertilityinItaly", 2005

      8 OECD, "Housepricesand Economicactivity", 2000

      9 이긍희, "외환위기하의 경제예측", 1999

      10 문소상, 김병화, "株價와 消費의 關係分析", 한국은행, "경제분석, 2001

      1 이종원, "계량경제학", 博英社, 2001

      2 이중희, "?주택경제론?", 주택경제론, 1997

      3 Fontenla, Gonzalez, "HousingdemandinMexico", 2009

      4 Keynes, "GeneralTheory ofEmployment", 1936

      5 김근용, 김혜승, "2006년도 주거실태조사", 2007

      6 김근용, 김혜승, "2008년도 주거실태조사", 2009

      7 DelBoca, Pronzato, "Employmentand fertilityinItaly", 2005

      8 OECD, "Housepricesand Economicactivity", 2000

      9 이긍희, "외환위기하의 경제예측", 1999

      10 문소상, 김병화, "株價와 消費의 關係分析", 한국은행, "경제분석, 2001

      11 Leeper, "Consumer attitudes:King for a day", 1992

      12 Ermisch, "Earlychildbearingandhousingchoices", 2004

      13 민인식, 최필선, "STATA 기초통계와 회귀분석", 2009

      14 Slok, Edison, "Wealth effects and the new economy", 2001

      15 김혜승, 손경환, "부동산시장 구조모형 연구", 2002

      16 손경환 ( Kyung Hwan Sohn ), 이수옥 ( Soo Wook Lee ), "부동산정책의 역사적 평가", 한국응용경제학회, 2007

      17 Friedman, Milton, "A theory of the consumption function", Oxford & IBH, 1970

      18 Thaler, "The Behavioral Life-Cycle Hypothesis", 1988

      19 김혜승, 박천규, 윤주현, "주거양극화의 현황 및 과제", 2006

      20 이항용, "주택가격 변동과 부의 효과", 2004

      21 Cagan, "The Monetary Dynamics of Hyperinflation", 1956

      22 Lehnart, "Housing consumption and creditconstraints", 2003

      23 이민구, "주택가격에 대한 기대형성과정", 1992

      24 Mishkin, "Consumersentimentandspending ondurablegoods", 1978

      25 Engelhardt, "House prices and home owner saving behavior", Houseprices and homeownersaving behavior, 1996

      26 손경환, "주택종합계획(2003~2012)수립연구", 2003

      27 서승환, 김갑성, "IMF 이후의 부동산시장의 구조변화", 한국지역학회, 1999

      28 Edelstein, "Are Japanese Land Prices Based onExpectations?", 1997

      29 Muth, "RationalExpectationsandTheory ofPriceMovements", 1961

      30 정미희, "Sample selection bias as a specification error", Sample selection bias as a specification error, 1979

      31 Weil, Mankiw, "The baby boomthe baby bustand thehousing market", 1989

      32 Garrett, Owyang, "Doseconsumersentimentpredictregionalconsumption?", 2004

      33 김은영, 최요철, "가계소비의 자산효과 분석과 시사점", 2007

      34 Smith, Lupton, Stafford, Juster, "TheDeclineinhousehold saving and thewealth effect", 2004

      35 Clayton, "Are Housing PricesDriven by IrrationalExpectations", 1997

      36 Howrey, "The predictive power ofthe index ofconsumersentiment", 2001

      37 Mehra, Martin, "Why does consumer sentimentpredicthouseholdspending?", 2003

      38 Jud, Benjamin, Chinloy, "Why dohouseholdsconcentrate their wealth in housing?", 2004

      39 김근용, 박천규, 손경환, "부동산시장 BSI조사 및 분석체계 구축 연구", 2007

      40 Daouli, Demoussis, Giannakopoulos, "Participation ofGreekmarriedwomeninfull-timepaidemployment", 2004

      41 서승환, "부동산 경기변동의 결정요인과 부동산 정책", 2003

      42 박천규, "부동산시장 진단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2009

      43 Dusenberry, "IncomeSaving,and the Theory ofConsumerBehavior,Massachusetts", "IncomeSaving, 1948

      44 Shiller, Case, "Comparing wealtheffects:thestock marketversusthehousing market", 2005

      45 Wilcox, Carroll, "Dose consumersentiment forecast household spending? If so why?", 1994

      46 Skinner, "Is housing wealth a sideshow? Advances in theEconomics of Aging", 1996

      47 Mueller, "Ten years of consumer attitude surveys: Theirforecasting record", 1963

      48 Modigliani, Ando, "TheLife-CycleHypothesisandSaving:AggregateImplication and Tests", 1963

      49 Cocco, Campbell, "How do house prices affect consumption? evidence from micro data", 2007

      50 손경환, 박천규, 이수욱, "가구생애주기를 감안한 주택수요특성 분석 연구", 2009

      51 Cruces, "Fertility andfemalelaborsupply in LatinAmerica:new casualevidence", 2007

      52 정희수, 권혁일, "생애주기가 주택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주택연구, 2004

      53 Levin, "Are assets fungible:Testing the behavioraltheory oflife-cyclesavings", 1998

      54 이주형, 임종현, 이천기, "서울시 인구구조에 따른 공동주택수요 특성및 전망", 2007

      55 Gabriel, Bostic, Painter, "Housing wealthfinancialwealth,andconsumption:New evidencefrom microdata", "Housing wealthfinancialwealth, 2009

      56 김민철, 김재영, "경제구조변화를 고려한 건설경기 예측모형 개발 연구", 2000

      57 정의철(Chung Eui-Chul), 조성진(Cho Sung-Jin),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장기주택수요 전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2005

      58 Iwata, Yamaoka, Ogawa, "An empiricalre-evaluation of wealth effect in Japanese household behavior", 1996

      59 Croushore, "Do consumer-confidence indexes help forecastconsumer spending in real time?", 2005

      60 Kohler, Dvornak, "Housing wealthstock marketwealthand consumption:a panelanalysisforAustralia", 2003

      61 Garc?a, Hern?ndez, "Housingdemand in Spain according to dwelling type: Microeconometricevidence", 2008

      62 BarriosGarcia, RodriguezHernandez, "Housingdemandin Spain according to dwellings type:Microeconometric evidence", 2008

      63 김근용, 윤주현, "부동산금융 상품의 가치결정과 위험관리 기법에 관한연구", 2001

      64 Daouli, Demoussis, Giannakopoulos, "Sibling-sexcomposition and its effectson fertility and laborsupply ofGreekmothers", 2009

      65 이창무(Lee, Chang-Moo), 최영걸(Choi Young-Geul), 최막중(Choi, Mack Joong), "서울시 주택시장에서 작동되는 가격기대심리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4

      66 Angrist, J. D., Angrist, "Children and theirparents'laborsupply:evidence from exogenous variation in family size", 1998

      67 최열(Choi, Yeol), 권연화(Kwon Yeon-Hwa), "위계선형모델을 이용한 교육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4

      68 이상무, "소비에 미치는 자산효과의 비교:주식시장과 부동산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4

      69 Lettau, Ludvigson, "Understanding trend and cycle inasset values: reevaluating the wealth effect on consumption", 2004

      70 박천규, "헤도닉가격 및 Mankiw-Weil모형을 이용한 지역별 주거서비스 수요특성 분석", 2008

      71 Belsky, Prakken, "Housing wealtheffects:housing'simpacton wealth accumulation wealth distribution and consumerspending", 2004

      72 Chun, "An instrumentalvariableestimateoftheeffectof fertility on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2002

      73 Rosenzweig, "Fertility and investments inhuman capital:estimates ofthe consequence ofimperfectfertilitycontrolinMalaysia", 1987

      74 김근용, 박천규, 윤주현, "지역간·계층간 주거서비스 격차 완화방안 연구(I):주거서비스 지표의 개발 및 측정", 2005

      75 김근용, "주택사업 유형별 지원정책 평가에 관한 연구:평가모형 개발및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2002

      76 김리나, "주택가격결정요인 중 교육환경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서울시 노원구 사례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9

      77 민희철, 우석진, "출산율 제고와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조세?재정정책:장기적 인적자본 형성을 위한 조세?",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