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 교육 현황과 그 발전 방향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강의를 중심으로- = The Status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on College: Focused on lecture of Korea University <Thinking and Expre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84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he status of the check and writing education college to seek a way forward, focusing on "Thinking and Expression" of Korea University college writing education lecture, is aimed at. To this end, Korea University College Writing lecture 'Thinking and Expression' Introduce to operational status, and based on the data, books, lectures, student guidance and related issues raised in three aspects, and proposes ways to improve. First, textbooks and writing materials in regard to consider the timeliness reading text, writing assignments, discussion assignments the need for sustainable management were mentioned. Second, with regard to teaching to ensure homogeneity of the lecture-oriented teaching instructor of the major content derived from a textbook on the basis of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original intent of the course each in course content and objectives that you must configure discussed. Third, in regard to correction correction considering the time spent on physical play professionally in the correction researchers to find a place in the direction that the improvements were noted.
      번역하기

      This paper, the status of the check and writing education college to seek a way forward, focusing on "Thinking and Expression" of Korea University college writing education lecture, is aimed at. To this end, Korea University College Writing lecture 'T...

      This paper, the status of the check and writing education college to seek a way forward, focusing on "Thinking and Expression" of Korea University college writing education lecture, is aimed at. To this end, Korea University College Writing lecture 'Thinking and Expression' Introduce to operational status, and based on the data, books, lectures, student guidance and related issues raised in three aspects, and proposes ways to improve. First, textbooks and writing materials in regard to consider the timeliness reading text, writing assignments, discussion assignments the need for sustainable management were mentioned. Second, with regard to teaching to ensure homogeneity of the lecture-oriented teaching instructor of the major content derived from a textbook on the basis of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original intent of the course each in course content and objectives that you must configure discussed. Third, in regard to correction correction considering the time spent on physical play professionally in the correction researchers to find a place in the direction that the improvements were no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과목을 중심으로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을 점검하고 대학 글쓰기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학 글쓰기 교과목인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의 과목 운용 현황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재, 강의, 학생지도와 관련된 세 가지 측면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교재와 관련해서는 글쓰기 교재는 시의성을 고려하여 읽기 지문이나 쓰기 과제, 토론 과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하였고, 둘째 강의와 관련해서는 강의의 균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강사들의 전공 위주의 강의 내용을 지양하고 교재에 수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본래의 과목 취지와 목표에 맞게끔 강의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는 점을, 셋째 첨삭과 관련해서는 첨삭에 소요되는 물리적인 시간을 고려하여 첨삭을 전문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연구원을 두는 방향으로 개선점을 찾아야 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번역하기

      본고는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과목을 중심으로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을 점검하고 대학 글쓰기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학 글쓰기 교...

      본고는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과목을 중심으로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을 점검하고 대학 글쓰기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학 글쓰기 교과목인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의 과목 운용 현황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재, 강의, 학생지도와 관련된 세 가지 측면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교재와 관련해서는 글쓰기 교재는 시의성을 고려하여 읽기 지문이나 쓰기 과제, 토론 과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하였고, 둘째 강의와 관련해서는 강의의 균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강사들의 전공 위주의 강의 내용을 지양하고 교재에 수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본래의 과목 취지와 목표에 맞게끔 강의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는 점을, 셋째 첨삭과 관련해서는 첨삭에 소요되는 물리적인 시간을 고려하여 첨삭을 전문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연구원을 두는 방향으로 개선점을 찾아야 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병섭, "표현 중심 글쓰기 교육 방법" 월인 2010

      2 나은미,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육 현황 분석 -과목 개설 현황 및 교재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2) : 7-34, 2008

      3 최윤희, "대학에서 사용하는 계열별 글쓰기 교재의 분석과 개선 방안" 인문학연구소 16 : 2005

      4 나은미, "대학 토론 교육의 비판적 검토 및 개선 방안* -교양교육으로서 토론을 대상으로-" 한국화법학회 (19) : 241-269, 2011

      5 전은주, "대학 작문 교재의 동향과 개선 방향" 한국국어교육학회 (71) : 311-334, 2005

      6 정선희, "대학 글쓰기 교재 분석과 개선 방안" 이화어문학회 26 : 2008

      7 정희모,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방향" 한국작문학회 (1) : 111-136, 2005

      8 이정옥, "대학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한국작문학회 (1) : 165-192, 2005

      9 조미숙, "교양과목으로서의 대학 글쓰기 교육, 그 흐름과 전망" 한국국어교육학회 (80) : 441-466, 2008

      1 안병섭, "표현 중심 글쓰기 교육 방법" 월인 2010

      2 나은미,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육 현황 분석 -과목 개설 현황 및 교재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2) : 7-34, 2008

      3 최윤희, "대학에서 사용하는 계열별 글쓰기 교재의 분석과 개선 방안" 인문학연구소 16 : 2005

      4 나은미, "대학 토론 교육의 비판적 검토 및 개선 방안* -교양교육으로서 토론을 대상으로-" 한국화법학회 (19) : 241-269, 2011

      5 전은주, "대학 작문 교재의 동향과 개선 방향" 한국국어교육학회 (71) : 311-334, 2005

      6 정선희, "대학 글쓰기 교재 분석과 개선 방안" 이화어문학회 26 : 2008

      7 정희모,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방향" 한국작문학회 (1) : 111-136, 2005

      8 이정옥, "대학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한국작문학회 (1) : 165-192, 2005

      9 조미숙, "교양과목으로서의 대학 글쓰기 교육, 그 흐름과 전망" 한국국어교육학회 (80) : 441-466,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1 0.97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