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족 구성원 간 부양 교환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26996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영남대학교 대학원 , 사회학과 사회학전공 , 2015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32.2 판사항(6)

      • DDC

        306.85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v, 91장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한곤
        참고문헌: 장 86-8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in 2011 by the SPSS Statistics and examines the differences of support exchanges between family members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65-and-over age group to understand the current condition of supporting activity exchanges between family members. The sociological variable includes current residence, sex, age, marital status, type of family, educational background, employment status, and total annual household income as its sub-variables; the support exchange includes emotional support exchange, physical support exchange, and financial support exchange as its sub-variables; the recipients of support include children cohabiting with parents, children not-cohabiting with parents, parents(of respondent and respondent’s spouse), and spouse. This study conducts the frequency analysis to understand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elderly, the recipients of support, and support exchanges, and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variate analysis of multivariate analys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support exchanges between family members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65-and-over age group.
      The verification results of research hypothesi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pport exchanges between the children cohabiting with parents and the elderly are significantly varied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elderly.
      Second, the support exchanges between the children not cohabiting with parents and the elderly are significantly varied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elderly.
      Third, the support exchanges between the parents(of respondent and respondent’s spouse) and the elderly are significantly varied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elderly.
      Fourth, the support exchanges between the spouse and the elderly are significantly varied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elderly.
      Mose of the elderly are in economically difficult conditions by aging, physical decline, and retirement, and cannot equally exchange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s with their family members. It is not a family but a national and social issue. On the other hand, even the elderly with unfavorable sociological variables(low education, low income, older age) to survival are highly contributable to provide the emotional support for their family members, and provides the emotional support to other family members in the same frequency with them. The elderly cannot be emotionally satisfied by the national and social support as much as by their own family members who have been with them for a long time;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and other family members is the key to the emotional support. The society should provide voluntary helper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emotionally satisfy the elderly who has no family or is in a difficult condition to emotionally communicate with family members.
      The support for the elderly is already a significant social issue by low birthrate and aging. There should not be an one-way but be a two-way support for the elderly to resolve the social issue and reduce the support burden.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in 2011 by the SPSS Statistics and examines the differences of support exchanges between family members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65-and-over age grou...

      This study analyzes the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in 2011 by the SPSS Statistics and examines the differences of support exchanges between family members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65-and-over age group to understand the current condition of supporting activity exchanges between family members. The sociological variable includes current residence, sex, age, marital status, type of family, educational background, employment status, and total annual household income as its sub-variables; the support exchange includes emotional support exchange, physical support exchange, and financial support exchange as its sub-variables; the recipients of support include children cohabiting with parents, children not-cohabiting with parents, parents(of respondent and respondent’s spouse), and spouse. This study conducts the frequency analysis to understand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elderly, the recipients of support, and support exchanges, and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variate analysis of multivariate analys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support exchanges between family members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65-and-over age group.
      The verification results of research hypothesi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pport exchanges between the children cohabiting with parents and the elderly are significantly varied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elderly.
      Second, the support exchanges between the children not cohabiting with parents and the elderly are significantly varied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elderly.
      Third, the support exchanges between the parents(of respondent and respondent’s spouse) and the elderly are significantly varied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elderly.
      Fourth, the support exchanges between the spouse and the elderly are significantly varied by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elderly.
      Mose of the elderly are in economically difficult conditions by aging, physical decline, and retirement, and cannot equally exchange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s with their family members. It is not a family but a national and social issue. On the other hand, even the elderly with unfavorable sociological variables(low education, low income, older age) to survival are highly contributable to provide the emotional support for their family members, and provides the emotional support to other family members in the same frequency with them. The elderly cannot be emotionally satisfied by the national and social support as much as by their own family members who have been with them for a long time;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and other family members is the key to the emotional support. The society should provide voluntary helper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emotionally satisfy the elderly who has no family or is in a difficult condition to emotionally communicate with family members.
      The support for the elderly is already a significant social issue by low birthrate and aging. There should not be an one-way but be a two-way support for the elderly to resolve the social issue and reduce the support burd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족 구성원 간 부양 교환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에 의해 수집된「2011년 노인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 부양 교환의 차이를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는 현 거주지, 성별, 연령, 혼인상태, 가구형태, 교육수준, 취업상태, 연평균 가구총소득 등을 하위변인으로 두었다. 부양 교환의 내용은 정서적 부양 교환, 신체적 부양 교환, 경제적 부양 교환을 하위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부양 교환의 대상별로 동거자녀와 비동거자녀, 부모(본인과 배우자), 배우자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부양 교환의 대상, 부양 교환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 부양 교환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다원다변량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입한 연구가설의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동거자녀와 노인 간 부양 교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비동거자녀와 노인 간 부양 교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부모(본인+배우자)와 노인 간 부양 교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배우자와 노인 간 부양 교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노화로 인한 신체적 쇠락과 은퇴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이라는 한계로 인해 노인과 가족구성원들 간의 신체적 부양교환, 경제적 부양교환은 대등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이는 가정 안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로 국가와 사회 차원에서의 복지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반면에 정서적 부양의 경우 생존에 불리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저학력, 저소득, 고연령)을 가진 노인의 경우에도 오히려 가족구성원에게 부양을 제공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빈도수를 살펴보아도 부양교환이 거의 대등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가나 사회가 혈연관계로 이어져있고 많은 시간을 함께해온 가족구성원만큼 노인 개개인의 정서적 욕구를 채워주기는 힘들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정서적 부양에 있어서는 노인과 가족구성원들과의 교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보인다. 그러나 가족이 없는 노인이나 가족구성원과의 정서적 교감이 어려운 노인의 경우 봉사도우미나 사회복지시설의 도움을 받아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해주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저출산 · 고령화로 인해 노년층의 부양은 이미 사회적 문제가 되었고, 앞으로는 더욱 심화될 예정이다. 이러한 사회문제를 완화시키고 부양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노년층이 일방적으로 부양을 받는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라 쌍방향으로 부양이 이루어지는 호혜적 부양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가족 구성원 간 부양 교환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에 의해 수집된「2011년 노인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 구성...

      본 연구는 가족 구성원 간 부양 교환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에 의해 수집된「2011년 노인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 부양 교환의 차이를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는 현 거주지, 성별, 연령, 혼인상태, 가구형태, 교육수준, 취업상태, 연평균 가구총소득 등을 하위변인으로 두었다. 부양 교환의 내용은 정서적 부양 교환, 신체적 부양 교환, 경제적 부양 교환을 하위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부양 교환의 대상별로 동거자녀와 비동거자녀, 부모(본인과 배우자), 배우자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부양 교환의 대상, 부양 교환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 부양 교환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다원다변량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입한 연구가설의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동거자녀와 노인 간 부양 교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비동거자녀와 노인 간 부양 교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부모(본인+배우자)와 노인 간 부양 교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배우자와 노인 간 부양 교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노화로 인한 신체적 쇠락과 은퇴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이라는 한계로 인해 노인과 가족구성원들 간의 신체적 부양교환, 경제적 부양교환은 대등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이는 가정 안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로 국가와 사회 차원에서의 복지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반면에 정서적 부양의 경우 생존에 불리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저학력, 저소득, 고연령)을 가진 노인의 경우에도 오히려 가족구성원에게 부양을 제공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빈도수를 살펴보아도 부양교환이 거의 대등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가나 사회가 혈연관계로 이어져있고 많은 시간을 함께해온 가족구성원만큼 노인 개개인의 정서적 욕구를 채워주기는 힘들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정서적 부양에 있어서는 노인과 가족구성원들과의 교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보인다. 그러나 가족이 없는 노인이나 가족구성원과의 정서적 교감이 어려운 노인의 경우 봉사도우미나 사회복지시설의 도움을 받아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해주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저출산 · 고령화로 인해 노년층의 부양은 이미 사회적 문제가 되었고, 앞으로는 더욱 심화될 예정이다. 이러한 사회문제를 완화시키고 부양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노년층이 일방적으로 부양을 받는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라 쌍방향으로 부양이 이루어지는 호혜적 부양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목적 4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목적 4
      • Ⅱ. 이론적 배경 6
      • 1. 노인부양의 개념과 유형 6
      • 2. 노인부양에 관한 이론들 8
      • 1) 근대화이론 8
      • 2) 사회교환이론 9
      • 3) 사회이탈이론 10
      • 4) 사회활동이론 12
      • 3.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 13
      • 4. 부양의 형태별 분류 16
      • 5. 부양교환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17
      • Ⅲ. 연구 방법 20
      •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0
      • 2. 연구대상 및 연구도구 22
      • 3. 자료의 분석방법 26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7
      • 1.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7
      • 2. 연구 대상자의 부양교환 관련 특성 29
      • 1) 연구대상자와 동거자녀 간 부양교환특성 30
      • 2) 연구대상자와 비동거자녀 간 부양교환특성 33
      • 3) 연구대상자와 부모(본인+배우자) 간 부양교환특성 35
      • 4) 연구대상자와 배우자 간 부양교환특성 38
      • 3.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구성원 간 부양교환 39
      • 1)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구성원 간 경제적 부양교환 39
      • 2)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구성원 간 정서적 부양교환 60
      • 3)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구성원 간 신체적 부양교환 67
      • Ⅴ. 결론 78
      • 1. 요약 및 결론 78
      • 참고 문헌 86
      • 영문 초록 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