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택 매매가격 불평등이 정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자치구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Housing Price Inequality on Residential Settlement Intentions: Focusing on Seoul’s Autonomous Distri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411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아파트, 단독주택, 다세대주택의 매매가격 불평등이 주민 정주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상대적 박탈감 이론에 기반하여, 주택가격 불평등이경제적 취약계층의 상대적 박탈감을 증대시키고 정주의사를 약화시킨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아파트와 다세대주택의 매매가격 불평등은주민 정주의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단독주택의 경우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특정 주택 유형에서의 가격 불평등이 주민 정주의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주택 유형별 가격 불평등 완화를 통해 상대적 박탈감을 경감시키는 정책적 대안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아파트, 단독주택, 다세대주택의 매매가격 불평등이 주민 정주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상대적 박탈감 이론에 기반하여, 주...

      본 연구는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아파트, 단독주택, 다세대주택의 매매가격 불평등이 주민 정주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상대적 박탈감 이론에 기반하여, 주택가격 불평등이경제적 취약계층의 상대적 박탈감을 증대시키고 정주의사를 약화시킨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아파트와 다세대주택의 매매가격 불평등은주민 정주의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단독주택의 경우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특정 주택 유형에서의 가격 불평등이 주민 정주의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주택 유형별 가격 불평등 완화를 통해 상대적 박탈감을 경감시키는 정책적 대안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housing price inequality on residents’ settlement intentions in Seoul, focusing on three housing types: apartments, single-family houses, and multi-family houses.
      Drawing on relative deprivation theory, it hypothesizes that housing price inequality exacerbates feelings of deprivation among economically vulnerable groups, reducing their attachment to the region and willingness to settle. Using inequality indices for each housing typ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ettlement inten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reveal that price inequality in apartments and multi-family houses significantly decreases settlement intentions, while inequality in single-family houses shows no significant effec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adverse effects of housing price disparities on regional attachment and suggest policy interventions to reduce such inequalities, particularly in apartments and multi-family housing, to mitigate relative deprivation and promote long-term settlement.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housing price inequality on residents’ settlement intentions in Seoul, focusing on three housing types: apartments, single-family houses, and multi-family houses. Drawing on relative deprivation theory, it hypo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housing price inequality on residents’ settlement intentions in Seoul, focusing on three housing types: apartments, single-family houses, and multi-family houses.
      Drawing on relative deprivation theory, it hypothesizes that housing price inequality exacerbates feelings of deprivation among economically vulnerable groups, reducing their attachment to the region and willingness to settle. Using inequality indices for each housing typ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ettlement inten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reveal that price inequality in apartments and multi-family houses significantly decreases settlement intentions, while inequality in single-family houses shows no significant effec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adverse effects of housing price disparities on regional attachment and suggest policy interventions to reduce such inequalities, particularly in apartments and multi-family housing, to mitigate relative deprivation and promote long-term settleme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