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제7차 우리들은 1학년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 =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We Are the First Graders” in the 7th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25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xtent to which the contents of ‘We Are the First Graders' in the 7th curriculum reflected local circumstances at the provincial and school levels, how and to what extent teachers reorganized the contents of the subject...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xtent to which the contents of ‘We Are the First Graders' in the 7th curriculum reflected local circumstances at the provincial and school levels, how and to what extent teachers reorganized the contents of the subject at the classroom level, and investigate whether the subject's sequence was maintained with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coming after the subject. The data were gathered through document analysis, survey,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provincial guidelines, textbooks, teacher's guide, and school curriculum contained least amount of contents reflecting local circumstances. Teachers reorganized contents moderately and relied on simple types of reorganization. There was a lack of sequence both with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following the subject.
      To reflect local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provincial guideline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and school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industrial division, i.e., urban, rural, and mountain areas. To support teachers for reorganizing contents of the subject, administrators need to provide increased sessions for staff development and various instructional materials, reduce non-instructional workload and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nd increase facilities. Further, it is necessary to coordinate between curriculum developers of different subjects in order to strengthen the subject's sequence both with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coming after the subj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우리들은 1학년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실태를 지역화, 재구성, 연계성의 측면에서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서 분석, 설문 조사, ...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우리들은 1학년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실태를 지역화, 재구성, 연계성의 측면에서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서 분석, 설문 조사, 수업 관찰 및 면담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시·도 교육과정 지침, 교과용 도서, 학교교육계획서에 나타난 우리들은 1학년 교과 교육과정 편성에서의 지역화 정도는 극히 미미한 수준에 머물렀다. 교실 단위 교육과정 운영에서의 재구성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재구성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유치원 교육을 받은 학생과 받지 않은 학생이 혼재할 때의 어려움과 4월부터 배우는 국어, 수학 교육과정과의 종적 연계성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다.
      우리들은 1학년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으로, 교육과정 편성에서의 지역화 강화를 위한 새로운 지역 구분의 도입과 교육과정 전문 인력 확충과 교육과정 편성권의 이양, 교육과정 운영에서의 재구성 활성화를 위한 교원 연수의 강화,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보급, 업무 경감, 학급당 학생수 감축, 시설 확보를 제안하였다. 연계성 강화를 위해 단기적으로 유치원 교육을 받은 학생과 받지 않은 학생을 수준별로 구분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보조교사나 도우미를 확보할 것을 제안하였다. 장기적으로는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국어, 수학 교육과정과의 종적인 연계성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2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 총론, 재량활동" 교육부 1998

      3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 내용 재구성 실태와 그 활성화 방안" 22 (22): 135-161, 2004

      4 "초,중등 교육과정 평가 방안: 제7차 교육과정 평가 실행에 대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5 "제7차 초등학교 통합 교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7

      6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평가 연구(Ⅱ)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7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평가 연구(Ⅰ) 교육과정 문서 및 적용 지원체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8 "제7차 교육과정의 현장 운영 실태 분석(I) 초등학교 통합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3b

      9 "제7차 교육과정의 현장 운영 실태 분석(I)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총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3a

      10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관한 문헌 분석 연구" 군산대학교 2001

      1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2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 총론, 재량활동" 교육부 1998

      3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 내용 재구성 실태와 그 활성화 방안" 22 (22): 135-161, 2004

      4 "초,중등 교육과정 평가 방안: 제7차 교육과정 평가 실행에 대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5 "제7차 초등학교 통합 교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7

      6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평가 연구(Ⅱ)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7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평가 연구(Ⅰ) 교육과정 문서 및 적용 지원체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8 "제7차 교육과정의 현장 운영 실태 분석(I) 초등학교 통합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3b

      9 "제7차 교육과정의 현장 운영 실태 분석(I)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총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3a

      10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관한 문헌 분석 연구" 군산대학교 2001

      11 "선행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12 "국가 수준 교육과정 평가 체제의 구축 방안" 22 (22): 19-43, 2004

      13 "국가 교육과정 적용에서의 교육과정 지역화의 실효성 논의(Ⅰ) 시,도 교육청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의 연구,개발 과업을 중심으로" 21 (21): 111-127, 2003

      14 "국가 교육과정 연구 개발 체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20 (20): 77-97, 2002

      15 "교육과정 적용에 있어서의 연계자와 변화지원자에 대한 고찰" 17 (17): 191-208, 1999

      16 "Tinkering toward utopia A century of public school reform"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17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3nd ed.)" Teachers College Press 2003

      18 "The culture of the school and the problem of change" 1982

      19 "Revisiting "The culture of the school and the problem of change"" Teachers College Press 1996

      20 "OECD 교육지표" 한국교육개발원 2003

      21 "Constancy and change in American classrooms" Teachers College Press 19931880-1990

      22 "A story of practical school refor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41960-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7 1.353 0.8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