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로움의 빛과 그림자-‘의로운 기생(義妓)’ 이야기를 중심으로- = The Light and Shadow of Righteousness: Focusing on the Stories of the ‘Righteous Kisaeng(義妓)’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700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was written to analyse the meaning network of ‘righteousness(義)’ and to reveal the dual nature contained therein.
      This is not an attempt to examine the conceptual meaning of righteousness as a whole, but to identify som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contained in this concept and are prominent in certain situations. To this end, I focused on the combination of righteousness and women, and in particular, the stories of the ‘righteous Kisaeng(義 妓)’. Chapter 2 examines the resources and uses of 義. The seemingly contradictory meanings of ‘right’ and ‘fake’ coexist in 義, and from this I identified two semantic properties of 義: ‘negation by assumption’ and ‘extension by analogy’. Chapter 3 examines the consequences of the semantic qualities of righteousness when it comes to women through stories about righteous ladies(義婦). The 義 in the name of the righteous lady reveals the inability of patriarchal logic to fully encompass a woman's behaviour, while simultaneously masking the embarrassment felt about its inebility. In Chapter 4, I explained what happens when righteousness and Kisaeng are combined. In a patriarchy that forces a woman to have only one man, Kisaeng is an anomaly. This is because Kisaengs don't have to, don't need to, or even shouldn't observe chastity. At the same time, Kisaeng has a negative character because of this exceptionality. She fulfils the sexual fantasies of men in patriarchal societies in that she is a woman who can belong to anyone, but paradoxically, she cannot belong exclusively to anyone. The name ‘righteous Kisaeng’ becomes a place where the negative, fictionalised nature of righteousness coexists and collides with the exclusionary, negative nature of Kisaeng. The result is that the very man to whom the Kisaeng who cannot swear chastity becomes the object of her vow of chastity, and the very man to whom the Kisaeng who cannot belong exclusively to anyone becomes the object to whom she voluntarily wants to belong at all costs, becomes the object of special admiration. In this process, the choice, effort, and sacrifice of the Kisaeng is transformed into the exceptional excellence of men. The evaluation of the righteous Kisaeng contains the light and shadow of righteousness.
      번역하기

      This article was written to analyse the meaning network of ‘righteousness(義)’ and to reveal the dual nature contained therein. This is not an attempt to examine the conceptual meaning of righteousness as a whole, but to identify some of the char...

      This article was written to analyse the meaning network of ‘righteousness(義)’ and to reveal the dual nature contained therein.
      This is not an attempt to examine the conceptual meaning of righteousness as a whole, but to identify som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contained in this concept and are prominent in certain situations. To this end, I focused on the combination of righteousness and women, and in particular, the stories of the ‘righteous Kisaeng(義 妓)’. Chapter 2 examines the resources and uses of 義. The seemingly contradictory meanings of ‘right’ and ‘fake’ coexist in 義, and from this I identified two semantic properties of 義: ‘negation by assumption’ and ‘extension by analogy’. Chapter 3 examines the consequences of the semantic qualities of righteousness when it comes to women through stories about righteous ladies(義婦). The 義 in the name of the righteous lady reveals the inability of patriarchal logic to fully encompass a woman's behaviour, while simultaneously masking the embarrassment felt about its inebility. In Chapter 4, I explained what happens when righteousness and Kisaeng are combined. In a patriarchy that forces a woman to have only one man, Kisaeng is an anomaly. This is because Kisaengs don't have to, don't need to, or even shouldn't observe chastity. At the same time, Kisaeng has a negative character because of this exceptionality. She fulfils the sexual fantasies of men in patriarchal societies in that she is a woman who can belong to anyone, but paradoxically, she cannot belong exclusively to anyone. The name ‘righteous Kisaeng’ becomes a place where the negative, fictionalised nature of righteousness coexists and collides with the exclusionary, negative nature of Kisaeng. The result is that the very man to whom the Kisaeng who cannot swear chastity becomes the object of her vow of chastity, and the very man to whom the Kisaeng who cannot belong exclusively to anyone becomes the object to whom she voluntarily wants to belong at all costs, becomes the object of special admiration. In this process, the choice, effort, and sacrifice of the Kisaeng is transformed into the exceptional excellence of men. The evaluation of the righteous Kisaeng contains the light and shadow of righteous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의로움(義)’의 의미망을 분석하고, 그 속에 포함된 양면적 성격을 밝히기위해 작성되었다. 이는 義의 개념적 의미 전반을 검토하려는 것이 아니라, 이 개념에포함되어 있으면서 특정 국면에서 두드러지는 어떤 특성을 밝혀보려는 것이다. 이를위해 의로움과 여성의 결합 국면, 그중에서도 ‘의로운 기생(義妓)’에 관한 이야기에 주목했다. 2장에서는 義의 자원과 용례를 살폈다. 義에는 ‘올바르다’와 ‘가짜’라는 상반되는 의미처럼 보이는 의미가 공존하는데, 이로부터 義가 가진 두 가지 의미적 특질인‘가정을 함축한 부정’과 ‘유추를 통한 확장’을 확인했다. 3장에서는 義의 의미적 자질이여성과 만날 때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가를 의부(義婦)를 통해 검토했다. 義는 어떤 여성의 행위를 가부장제의 논리로 온전히 포괄할 수 없음을 드러내는 동시에 ‘의롭다’는평가로 그것이 가진 새로움과 당혹스러움을 은폐하는 것이다. 4장에서는 義와 기생이결합될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를 살폈다. 여성에게 오직 한 명의 남성만을 강요하는가부장제에서 기생은 예외적 존재이다. 기생은 정절을 지키지 않아도 되고, 지킬 필요가 없으며, 심지어 지켜서는 안 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기생은 그러한 예외성때문에 부정적 성격을 갖는다. 기생은 누구에게나 허락될 수 있는 여성이지만, 역설적으로 누구에게도 배타적으로 소속될 수 없는 여성이라는 점에서 가부장제 사회 남성들의 성적 판타지를 충족시키는 존재다. ‘의로운 기생’이라는 이름은 의로움의 부정적, 허구적 성격이 기생이 가진 예외적 배제, 부정적 성격이 공존하고 충돌하는 장소가 된다. 그 결과, 정절을 지킬 수 없는 기생이 정절을 지키겠다고 맹세하는 대상, 누구에게도 배타적으로 소속될 수 없는 기생이 모든 희생을 무릅쓰고 자발적으로 소속됨을 요청하는 대상으로서의 사대부 남성은 예외적 찬탄의 대상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생의 선택, 노력, 희생은 남성의 예외적 뛰어남으로 전환된다. 의로운 기생이라는 평가에는 의로움의 빛과 그림자가 담겨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의로움(義)’의 의미망을 분석하고, 그 속에 포함된 양면적 성격을 밝히기위해 작성되었다. 이는 義의 개념적 의미 전반을 검토하려는 것이 아니라, 이 개념에포함되어 있으면서 ...

      이 글은 ‘의로움(義)’의 의미망을 분석하고, 그 속에 포함된 양면적 성격을 밝히기위해 작성되었다. 이는 義의 개념적 의미 전반을 검토하려는 것이 아니라, 이 개념에포함되어 있으면서 특정 국면에서 두드러지는 어떤 특성을 밝혀보려는 것이다. 이를위해 의로움과 여성의 결합 국면, 그중에서도 ‘의로운 기생(義妓)’에 관한 이야기에 주목했다. 2장에서는 義의 자원과 용례를 살폈다. 義에는 ‘올바르다’와 ‘가짜’라는 상반되는 의미처럼 보이는 의미가 공존하는데, 이로부터 義가 가진 두 가지 의미적 특질인‘가정을 함축한 부정’과 ‘유추를 통한 확장’을 확인했다. 3장에서는 義의 의미적 자질이여성과 만날 때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가를 의부(義婦)를 통해 검토했다. 義는 어떤 여성의 행위를 가부장제의 논리로 온전히 포괄할 수 없음을 드러내는 동시에 ‘의롭다’는평가로 그것이 가진 새로움과 당혹스러움을 은폐하는 것이다. 4장에서는 義와 기생이결합될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를 살폈다. 여성에게 오직 한 명의 남성만을 강요하는가부장제에서 기생은 예외적 존재이다. 기생은 정절을 지키지 않아도 되고, 지킬 필요가 없으며, 심지어 지켜서는 안 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기생은 그러한 예외성때문에 부정적 성격을 갖는다. 기생은 누구에게나 허락될 수 있는 여성이지만, 역설적으로 누구에게도 배타적으로 소속될 수 없는 여성이라는 점에서 가부장제 사회 남성들의 성적 판타지를 충족시키는 존재다. ‘의로운 기생’이라는 이름은 의로움의 부정적, 허구적 성격이 기생이 가진 예외적 배제, 부정적 성격이 공존하고 충돌하는 장소가 된다. 그 결과, 정절을 지킬 수 없는 기생이 정절을 지키겠다고 맹세하는 대상, 누구에게도 배타적으로 소속될 수 없는 기생이 모든 희생을 무릅쓰고 자발적으로 소속됨을 요청하는 대상으로서의 사대부 남성은 예외적 찬탄의 대상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생의 선택, 노력, 희생은 남성의 예외적 뛰어남으로 전환된다. 의로운 기생이라는 평가에는 의로움의 빛과 그림자가 담겨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