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대동아공영권’ 주창과 함께 불거졌던 일본의 혼혈론이 패전 이후 GHQ 점령기로 이어지면서 갖는 연속과 비연속적 인식의 층위를 비교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일본인종론에 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17028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35-267(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대동아공영권’ 주창과 함께 불거졌던 일본의 혼혈론이 패전 이후 GHQ 점령기로 이어지면서 갖는 연속과 비연속적 인식의 층위를 비교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일본인종론에 작...
본고는 ‘대동아공영권’ 주창과 함께 불거졌던 일본의 혼혈론이 패전 이후 GHQ 점령기로 이어지면서 갖는 연속과 비연속적 인식의 층위를 비교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일본인종론에 작용하는 근본적인 메커니즘이 갖는 특징을 심층적으로 살필 수 있었고, 이는 향후 현대 일본의 인종주의적 시각의 변화를 추적하는 데 기초 토대로 활용할 것이다.
1940년대에 일본인종론이 국내적으로 우생학의 교양화로, 국외적으로는 ‘대동아공영권’의 주창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혼혈론이 논리적 근거로 활용된다. 생물학적인 근거를 비롯해 사회학적인 인식, (국가정신)문화론적 인식 위에서 복합적으로 사유되던 당시의 혼혈론은 공교롭게 GHQ 점령기로 이어지면서 더욱 공고해진다. 강화조약 발효 이후 혼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금전적’ 책임론으로 시작된 혼혈 문제는 차츰 ‘순혈주의, 민족 정조’와 같은 담론의 영역으로 확산되어 간다. 이는 혼혈아들이 학령기를 맞아 사회적으로 대거 노출되면서 일본의 ‘패전의식’의 가시화와 맞물려 민족적 수치심을 자극하는 결과라 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승자와 패자라는 미일관계 차원에서 규정되는 혼혈아들에 대한 관념이 일본 사회의 차별과 편견의 대상으로 ‘공적 서사’화 되어감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혼혈아 문제가 전쟁에 부수하는 것이라고 보는 전후 일본 사회의 시각이 갖는 특징을 ‘특이한 세계성’과 관련해 생각해 보았다. 그것은 백색인종에 대해 심적으로 동경했던 메이지시대 일본인들의 주된 ‘세계관’과 서양 인종주의의 일본식 권력화와 관련 된다. 즉 전후 일본 사회에서 강화되는 흑인계 혼혈아에 대한 철저한 편견과 차별은 서양 인종주의적 시각을 그대로 답습해 온 일본인종론과 맥을 같이 하는 한편, 전전의 열등한 존재로서의 아시아인의 위치를 흑인이 대체하게 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렇게 혼혈 문제는 단순히 전쟁의 부수물이라는 패전의식 외에도 철저히 정치 역학과 같은 권력 구조상의 인식 속에서 중층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level of consecutive and non-consecutive perceptions of Japan's mixed blood theory, which was accompanied by the claims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look deeply into the characteristics ...
This paper examines the level of consecutive and non-consecutive perceptions of Japan's mixed blood theory, which was accompanied by the claims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look deeply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ndamental mechanisms that act on Japanese theology. And this will be used as a basis for tracking the changes of racist vision of modern Japan in the future.
In the 1940's, the theory of mixed blood is used as a logical basis while Japanese dominance spreads domestically by the cultivation of eugenics and by the advocacy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As the US military occupation continues, the theory of mixed blood, which has been complexly thought out on biological basis, sociological awareness, (state spirit) culturalism, becomes more and more publicized unfortunately. Discussions about mixed blood became active when the peace treaty was signed. The half-blood problem started with 'monetary' accountability and gradually spread to areas of discourse such as 'pure blood' and 'national chastity'. This was the result of the mass exposure of mixed-race children to the school year, provoking national disgrace with the visibility of Japan's sense of defeat. In the process, the notion of mixed-bloods, which is defined in terms of the U.S.-Japan relationship, was becoming a "public epic" subject to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in Japanese society.
Lastly, I considered the unique values of the Japanese society's view that the issue of mixed-race children is incidental to war. It is related to the main 'values' of the Japanese during Meiji period, which had a strong longing for white race, and the Japanese power of Western racism. In other words, thorough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mixed blood between black and Japanese strengthened in postwar Japanese society is in accord with Japanese racialism that has followed Western racist views.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e phenomenon that black people replace the position of the Asian as the inferior existence of the war. Apart from the sense of defeat, the problem of mixed blood has a mixed meaning in terms of power structure, such as political dynamics.
소강절역학(邵康節易學)과 왕부지역학(王夫之易學)의 비교분석 ― 괘(卦) 생성구조(生成構造) 비교와 동이점(同異點) 모색을 중심으로
조선 문인의 육유(陸游) 인식에 끼친 주희(朱熹)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