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글쓰기 치료를 통한 목회자 아내의 전인적 안녕 제고: <대화저널기법>을 중심으로 = A writing therapy for enhancing well-being of a pastor’s wife: Centering a Dialogue Journal Meth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86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therapy of writing for enhancing well-being of a pastor’s wife. Much of the discussion on well-being has been on explaining what kind of life is good for people in general. However, the writers of this p...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therapy of writing for enhancing well-being of a pastor’s wife. Much of the discussion on well-being has been on explaining what kind of life is good for people in general. However, the writers of this paper focus on a therapeutic model of writing for pastor’s wives. A writing is to switch perspectives and find a voice of pastor’s wife. People who have experienced a trauma tend to see and understand it through their own frame of reference. Indeed, when a pastor’s wife begins to write about a trauma,she first describes what she saw, felt, and experienced. A writing,however, helps her view the traumatic event in different perspectives.
      An important point here is that she is to express herself openly and honestly. Wanting to get benefits from writing, she has to be able to find a voice that reflects who she really 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목회자 아내의 전인의 안녕을 고양하기 위하여 글쓰기 치료를 고찰하는 데 있다. 대화저널기법은 목회자 아내만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목회자 아내로 하여금 대화저널...

      본 논문의 목적은 목회자 아내의 전인의 안녕을 고양하기 위하여 글쓰기 치료를 고찰하는 데 있다. 대화저널기법은 목회자 아내만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목회자 아내로 하여금 대화저널을 통해 내면의 안정감과 그룹원에 대한 신뢰를 느끼면서 적극적으로 자신의 깊은 부분까지 나누며 상호적인 공감을 나눌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치유와 회복을 향한 새로운 변화와 성장의 역동이 있기 위해서는 그룹원들 사이에서 자신을 솔직하게 나누고 서로 공감하는 의사소통이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글쓰기는 목회자 아내와 공동체 간의 공동의 변화와 성장에 기여한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목회자 아내는 못 볼 수도 있는 여러 가지 변화 상황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그것을 더 확대하여 내면의 창조성을 도모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목회자 아내의 갈등과 문제는 많은 경우 주위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오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그 해결책도 대개 개인만의 변화보다는 공동체의 수용과 변화가 따를 때 좀 더 효과적인 변화와 성장이 일어나게 된다. 대화저널기법은 글쓰기를 하는 과정에서 목회자 아내로 하여금 자신의 글쓰기 과정에서의 경험이 현재의 자기를 구성하는 요소가 되어 새로운 존재로 창조하는 데 효과적이며 궁극적으로는 전인적 안녕을 증진하는 데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ölle, Dorothee., "환상과 복종" 대한기독교출판사 1980

      2 Clinebell, Howard, "현대 성장상담요법" 한국예수교장로회총회출판국 1990

      3 Yoo Jae Sung, "현대 목회상담학 개론" 침례신학대학교 출판부 2006

      4 김균진,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현대신학적 해석" 157-178, 1985

      5 박준서,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에 관한 성경적 이해" 17-114, 1989

      6 Rad, Gerhard., "창세기" 한국신학연구소 1996

      7 Jacobs, "집단상담: 전략과 기술 제 4판" 시그마프레스 2003

      8 Corey, Marianne,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01

      9 Jung, Carl., "정신요법의 기본문제" 솔 2003

      10 Adams, Kathleen., "저널치료" 학지사 2006

      1 Sölle, Dorothee., "환상과 복종" 대한기독교출판사 1980

      2 Clinebell, Howard, "현대 성장상담요법" 한국예수교장로회총회출판국 1990

      3 Yoo Jae Sung, "현대 목회상담학 개론" 침례신학대학교 출판부 2006

      4 김균진,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현대신학적 해석" 157-178, 1985

      5 박준서,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에 관한 성경적 이해" 17-114, 1989

      6 Rad, Gerhard., "창세기" 한국신학연구소 1996

      7 Jacobs, "집단상담: 전략과 기술 제 4판" 시그마프레스 2003

      8 Corey, Marianne,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01

      9 Jung, Carl., "정신요법의 기본문제" 솔 2003

      10 Adams, Kathleen., "저널치료" 학지사 2006

      11 김정현, "선악의 저편" 책세상 2002

      12 McGrath, Alister., "복음주의와 기독교적 지성"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01

      13 장은진, "목회자 사모의 정신건강과 상담에 대한 요구도 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16 : 187-210, 2008

      14 반신환, "목회자 부인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19 (19): 143-62, 2000

      15 Whitehead, James, "목회방법론" 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16 Aristotle, "니코마코스 윤리학" 이제이북스 2007

      17 양해림, "니체의 몸 철학;오래된 몸의 복권" 한국니체학회 (8) : 175-200, 2005

      18 Blanton, Priscilla., "Work-Related Predictors of Physical Symptomatology and Emotional Well-being among Clergy and Spouse" 40 (40): 331-48, 1999

      19 Kushner, Harold., "When Bad Things Happen to Good People" Harper Collins Publishing 1983

      20 Whang, Kyu Myeong., "Well-being Syndrome in Korea : a View from the Perspective of Biblical" 30 (30): 152-61, 2006

      21 Clinebell, Howard., "Well-Being: A Personal Plan for Exploring and Enriching the Seven Dimensions of Life: Mind, Body, Spirituality, Love, Work, Play, the Earth" Harper Collins Publisher 1992

      22 Brereton, Virginia., "The Invisible Women: Workers and Wives" 8 (8): 253-69, 1972

      23 Spiegler, Gerhard., "The Eternal Covenant: Schliermacher's Experiment in Cultural Theology" Harper & Row 1967

      24 Koopman, Nico., "Some Th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 95 : 76-89, 2007

      25 Bower, Joyce., "Role of Married Woman Missionaries: A Case Study" 8 (8): 4-7, 1984

      26 Hartley, Shirley, "Religious Beliefs of Clergy Wives" 19 (19): 63-73, 1977

      27 Crawford, Nancy, "Relationship Between Role Perception and Well-being in Married Female Missionaries" 33 (33): 187-97, 2005

      28 Karras, Valerie., "Priestesses or Priest´s Wives : Presbyera in Early Christianity" 51 (51): 321-45, 2007

      29 Baker, David., "Predictors of Well-being Among Pastor´s Wives: A Comparision with Nonclergy Wives" 46 (46): 33-43, 1992

      30 Keener, Craig., "Paul, Women & Wives: Marrage and Women’s Ministry in the Letters of Paul" Hendrickson Publishers 1992

      31 Brister, C., "Pastoral Care in the Church, 3rd ed" Harper Collins 1992

      32 Cody-Rydzewski, Susan., "Married Clergy Women: How They Maintain Traditional Marriage Even as They Claim New Authority" 48 (48): 273-89, 2007

      33 Hartley, Shirley., "Marital Satisfaction Among Clergy Wives" 19 (19): 178-91, 1978

      34 Griswold, Phoebe., "Living the Theology of a Bishop´s Spouse, Experiminent and Adventure" 81 (81): 341-50, 1999

      35 Sandy, Grason., "Journalution" New World Library 2005

      36 Stone, Howard., "How to Think Theologically" Fortress, Press 1996

      37 Hauerwas, Stanley., "God-Medicine and Suffering" Eerdmans Publishing 1990

      38 Westermann, Claus., "Genesis 1-11, A Continental Commentary" Fortress Press 1994

      39 Dodson, Christopher., "Finding God's Image in the Mentally Ill" 23 : 12-6, 1997

      40 Herzfeld, Noreen., "Creating in Our Own Image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Image of God" 37 (37): 303-16, 2002

      41 Grentz, Stanley., "Created Communutity" Baker Books 1988

      42 Tracy, David., "Blessed Rage for Order" Seabury 1975

      43 Toner, Christopher., "Aristotelian Well-being : A Response to L. W. Summer´s Critique" 18 (18): 218-31, 2006

      44 Heath, Corliss., "A Womenist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Mental Health" 9 (9): 155-70,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therapy -> Korean Association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log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5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