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유치원의 여성 경제활동 지원 실태를 조사하여 유치원의 여성경제활동지원을 위한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각종 문헌조사와 유치원에 유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590623
청원군: 한국교원대학교 정책대학원, 2009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정책대학원 , 인적자원정책전공 , 2009. 2
2009
한국어
372.218
충청북도
viii, 83p.: 삽도; 26cm
참고문헌 : p.67-6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유치원의 여성 경제활동 지원 실태를 조사하여 유치원의 여성경제활동지원을 위한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각종 문헌조사와 유치원에 유아...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유치원의 여성 경제활동 지원 실태를 조사하여 유치원의 여성경제활동지원을 위한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각종 문헌조사와 유치원에 유아를 보내는 여성 400명, 유치원장(감) 7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설문조사대상자 중 경제활동을 하는 여성의 비율이 54.7%이고, 그 가운데 주로 M자형 경제활동참가율 형태를 유발시키고 있는 30세~34세의 비율이 58.3%로 유치원생 모의 높은 경제활동 참가율이 확인되었고, 또 유아를 유치원에 보냄으로써 자신의 경제활동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93.4%로 유치원이 여성의 경제활동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경제활동결정과 종일제 이용에 대한 회귀분석을 한 결과, 종일제에 보내는 여성이 보내지 않는 여성에 비해 경제활동을 하고 있을 확률이 24.4% 높고,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여성이 하지 않는 여성의 경우보다 종일제에 보낼 확률이 26.81% 높아 역으로 추정해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 시간연장제 또는 종일제에서 중요시하는 프로그램 중 ‘유아에 대한 안전교육과 보호’ 에 경제활동을 하는 여성이 하지 않는 여성에 비해 2배 이상을 응답하였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장애 요인을 보면, 응답자의 70%이상이 육아문제를 들었으며, 육아에 대한 정부의 지원정책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35.0%의 여성이 ‘취원유아의 보호자에 대한 경제와 사회활동 지원의 미흡’으로 응답하였다. 유아를 종일제에 보내는 여성이 인식하는 유치원에 관한 문제점으로는, 종일제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부족’이 가장 컸고, 다음은 ‘종일제 담당 정교사와 보조교사 부족’을 지적하였다. 또한, 유아를 종일제에 보내지 않는 여성은 그 이유를 ‘장시간 유치원 생활이 신체적·정신적 부담이 되기 때문에’라고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성의 경제활동 지원을 위한 유치원제도의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육아부담이 가장 큰 연령대에도 경력단절 없이 경제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유치원제도를 확대하되 유아에게 보호와 교육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경제활동을 하는 여성이 유아를 장시간 맡기고도 마음 편히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치원의 환경을 집처럼 편안한 분위기로 꾸밀 수 있는 시설지원과 양질의 유치원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유치원이 여성경제활동을 지원하려면 유아전담교사 확충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등 인적·물적 투자가 요구되므로, 재정적으로 열악한 지방에는 범정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여성의 경제활동을 위해서는 유치원 제도 중 특히 종일제의 확대가 필요하므로, 유치원의 설립형태를 구분하지 않고 공교육의 틀 안에서 동 제도를 확대하고 질 제고로 양질의 유치원 교육을 제공하여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 whether kindergartens are supporting women's economic activities in Gwangju metropolitan area and to find better ways how kindergartens support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is research required a variety of doc...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 whether kindergartens are supporting women's economic activities in Gwangju metropolitan area and to find better ways how kindergartens support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is research required a variety of documentary research, a survey of 400 women who have children currently attending kindergartens and 74 directors of kindergartens. From the survey, we draw the following result.
The ratio of the female workers among the respondents amounted to 54.7 percent, the ratio of the female workers among those aged 30 to 34 who are assumed to cause "M" form of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rate is 58.3 percent. 93.4 percent of the women replied that kindergartens are helpful for their economic activities. Also, according to a regression analysis of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and of whether children are sent to all-day-long child-care system kindergartens, women who have their kids attend all-day-long child-care system have 24.4% higher chances of having jobs than those who don't, and the female workers have 26.81% higher chances of using all-day-long child-care system than the non-working women. Among the valued programs of the time-extending system or all-day-long child-care system, the female workers responded two times more preferably for 'safety education and protection for kids', compared with the non-working women.
Among the factors of keeping females from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over 70% of the respondents singled out parenting problems, and a survey on our government's supporting policies about parenting showed that the 35% women blamed the lack of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supporting for parents to take care of their kids. Problems of kindergartens that women who use all-day-long child-care system recognize are lack of various programs and lack of eligible teachers in charge of all-day-long child-care system. Also, mothers who don't use all-day-long child-care system point out as a reason for not using the system that long-term kindergarten life tends to be physical and mental burden for their children.
Several ways to improve kindergarten system to support women's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of all, government has to make systematic arrangement of providing both care and education for kids so that young mothers who are under the most stresses from parenting can keep their economic activities without career interruption.
Secondly, providing high qual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and facilities that can make the atmosphere of kindergartens as comfortable as home is necessary, so that working mothers can feel comfortable when they have their kids in kindergartens for a long period of time.
Thirdly, as employing more full-time kindergarten teachers and developing more diverse programs are required, the provinces which have financial difficulties need more financial subsid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Finally, as the expansion of all-day-long child-care system is necessary for mothers's economic activities, the same kind of system has to be expanded and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should be upgraded systems regardless of establishment subjects within the range of public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