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산강유역 호형토기의 조업과 훼기 연구 - 광주 평동유적 분구묘 출토품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468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산강유역에서는 대규모의 분구묘가 축조되고 이에 수반되는 의례행위 또한 활발 하게 진행됨에 따라 주구내에 유물을 대량 훼기하는 양상이 보편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광주 평동유적 분구묘에서 출토된 호형토기에 주목하여 토기성형의 방식, 소성의 원리, 의례에 따른 훼기 양상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호형토기의 기 형, 태토, 문양의 관찰과 소성흔을 통한 소성분위기의 분석을 바탕으로 같은 조업이 이루 어졌던 토기조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군집을 이루는 관련 분구묘들간의 축 조 또는 의례행위 시점도 추정해볼 수 있었다. 의례용토기의 생산부터 훼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분구묘의 축조가 결정되면 계획단계에서 수요를 예측하고 부장 및 주구훼기용 토기의 생산과 공급계획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호형토기는 포타날을 이용하여 성형하고, 소성 역시 최소의 조업으로 다량의 토기를 소성하기 위해서 보다 복잡해진 방식의 중첩소성이 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의례에서 훼기예정인 호형토기의 경우는 소성시 정상적인 기형을 유지 하는데 크게 비중을 두지 않고 가능하면 많은 수량을 소성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택하 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 글에서는 영산강유역의 주구내에 다량의 유물을 훼기하는 양상을 통해 호형토기의 제작부터 훼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추정해보았다. 추후 영산강유역 다른 분구묘군에서 출토된 훼기용 유물자료를 통합한 심도있는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영산강일대 분구묘 집단 간의 의례용 유물의 생산, 분배, 유통에 대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번역하기

      영산강유역에서는 대규모의 분구묘가 축조되고 이에 수반되는 의례행위 또한 활발 하게 진행됨에 따라 주구내에 유물을 대량 훼기하는 양상이 보편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광...

      영산강유역에서는 대규모의 분구묘가 축조되고 이에 수반되는 의례행위 또한 활발 하게 진행됨에 따라 주구내에 유물을 대량 훼기하는 양상이 보편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광주 평동유적 분구묘에서 출토된 호형토기에 주목하여 토기성형의 방식, 소성의 원리, 의례에 따른 훼기 양상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호형토기의 기 형, 태토, 문양의 관찰과 소성흔을 통한 소성분위기의 분석을 바탕으로 같은 조업이 이루 어졌던 토기조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군집을 이루는 관련 분구묘들간의 축 조 또는 의례행위 시점도 추정해볼 수 있었다. 의례용토기의 생산부터 훼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분구묘의 축조가 결정되면 계획단계에서 수요를 예측하고 부장 및 주구훼기용 토기의 생산과 공급계획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호형토기는 포타날을 이용하여 성형하고, 소성 역시 최소의 조업으로 다량의 토기를 소성하기 위해서 보다 복잡해진 방식의 중첩소성이 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의례에서 훼기예정인 호형토기의 경우는 소성시 정상적인 기형을 유지 하는데 크게 비중을 두지 않고 가능하면 많은 수량을 소성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택하 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 글에서는 영산강유역의 주구내에 다량의 유물을 훼기하는 양상을 통해 호형토기의 제작부터 훼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추정해보았다. 추후 영산강유역 다른 분구묘군에서 출토된 훼기용 유물자료를 통합한 심도있는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영산강일대 분구묘 집단 간의 의례용 유물의 생산, 분배, 유통에 대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seems that the destruction of artifacts within the ditch feature of mounded tombs became a generalized practice on a large scale in the Yeongsan River basin as the construction and ritual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se large mounded tombs developed. When investigating the mounded tombs of the Honam region, jar vessels account for the highest proportion amongst deliberately destructed artifacts found in ditch features, and much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jar vessels, from the forming to the firing to the destruction process. In this article, jar vessels from the mounded tombs of the Gwangju Pyeongdong site were analyzed and the pottery forming method, firing method, mode of ritual destruction of this pottery type was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It was possible to confirm, based on examinations of firing atmosphere, surface pattern, etc, that the pottery was produced by the same group of manufacturers. The time at which the construction of the tombs took place and the ritual activities could also be estimated. The process through which objects destroyed during rituals were manufactured was as follows. It seems that when the construction of mounded tombs was first decided, demand was predicted and the plan for manufacturing and supplying objects that were to be used as grave goods or to be destroyed in the ditch features was established. Analysis of the pottery indicates that they were mass-produced utilizing the beating method, a fact that had not been recognized thus far, and repeated firing was adopted in order to fire as many vessels as possible with the least amount of effort. In addition, in the case of vessels that were to be ritually destroyed, effort was put into firing as many vessels as possible, with little concern regarding possible deformities in vessel form. It was hence possible to reconstruct the entire process of manufacturing to the destruction of jar vessels based on the plentiful artifacts from the ditch features of mounded tomb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In the future, more advanced opportunities for the studying the manufacture, distribution and circulation of ritual objects associated with mounded tomb groups near the Yeongsan River basin may allow a more detailed and integrated understanding of destroyed objects excavated at other mounded tomb group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번역하기

      It seems that the destruction of artifacts within the ditch feature of mounded tombs became a generalized practice on a large scale in the Yeongsan River basin as the construction and ritual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se large mounded tombs develop...

      It seems that the destruction of artifacts within the ditch feature of mounded tombs became a generalized practice on a large scale in the Yeongsan River basin as the construction and ritual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se large mounded tombs developed. When investigating the mounded tombs of the Honam region, jar vessels account for the highest proportion amongst deliberately destructed artifacts found in ditch features, and much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jar vessels, from the forming to the firing to the destruction process. In this article, jar vessels from the mounded tombs of the Gwangju Pyeongdong site were analyzed and the pottery forming method, firing method, mode of ritual destruction of this pottery type was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It was possible to confirm, based on examinations of firing atmosphere, surface pattern, etc, that the pottery was produced by the same group of manufacturers. The time at which the construction of the tombs took place and the ritual activities could also be estimated. The process through which objects destroyed during rituals were manufactured was as follows. It seems that when the construction of mounded tombs was first decided, demand was predicted and the plan for manufacturing and supplying objects that were to be used as grave goods or to be destroyed in the ditch features was established. Analysis of the pottery indicates that they were mass-produced utilizing the beating method, a fact that had not been recognized thus far, and repeated firing was adopted in order to fire as many vessels as possible with the least amount of effort. In addition, in the case of vessels that were to be ritually destroyed, effort was put into firing as many vessels as possible, with little concern regarding possible deformities in vessel form. It was hence possible to reconstruct the entire process of manufacturing to the destruction of jar vessels based on the plentiful artifacts from the ditch features of mounded tomb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In the future, more advanced opportunities for the studying the manufacture, distribution and circulation of ritual objects associated with mounded tomb groups near the Yeongsan River basin may allow a more detailed and integrated understanding of destroyed objects excavated at other mounded tomb group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광주 평동유적 분구묘 호형토기 현황
      • Ⅲ. 호형토기의 분석
      • 1. 성형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광주 평동유적 분구묘 호형토기 현황
      • Ⅲ. 호형토기의 분석
      • 1. 성형
      • 2. 소성
      • 3. 훼기
      • Ⅳ. 호형토기 조업과 토기조합 분석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동선, "羅州新村里9號墳의 築造過程과 年代再考-羅州伏岩里3號墳과의 비교 검토-" 한국고고학회 73 (73): 52-100, 2009

      2 최성락, "함평중랑유적Ⅱ" 목포대학교박물관 2002

      3 박천수, "토기"

      4 金斗喆, "타날기법의연구" 영남고고학회 28 : 73-102, 2001

      5 이은정, "타날 실험을 통해 본 문양연구와 타날기법 검토 -호남지역 출토 3~6세기 타날문토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5) : 41-77, 2008

      6 윤용이, "우리옛질그릇 제1판" 대원사 1999

      7 이현배, "옹기제작 방식을 통해 본 대형옹관 제작, In 실험고고학에서의 대형옹관제작기법"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169-181, 2011

      8 김상민, "영산강유역 삼국시대 철기의 변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9 홍진석, "영산강유역 고분의 분구 축조과정"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1

      10 김낙중, "영산강유역 고분 연구" 학연문화사 55-92, 2009

      1 오동선, "羅州新村里9號墳의 築造過程과 年代再考-羅州伏岩里3號墳과의 비교 검토-" 한국고고학회 73 (73): 52-100, 2009

      2 최성락, "함평중랑유적Ⅱ" 목포대학교박물관 2002

      3 박천수, "토기"

      4 金斗喆, "타날기법의연구" 영남고고학회 28 : 73-102, 2001

      5 이은정, "타날 실험을 통해 본 문양연구와 타날기법 검토 -호남지역 출토 3~6세기 타날문토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5) : 41-77, 2008

      6 윤용이, "우리옛질그릇 제1판" 대원사 1999

      7 이현배, "옹기제작 방식을 통해 본 대형옹관 제작, In 실험고고학에서의 대형옹관제작기법"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169-181, 2011

      8 김상민, "영산강유역 삼국시대 철기의 변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9 홍진석, "영산강유역 고분의 분구 축조과정"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1

      10 김낙중, "영산강유역 고분 연구" 학연문화사 55-92, 2009

      11 서현주, "영산강 유역 고분 토기 연구" 학연문화사 2006

      12 조성원, "소성실험을 통해 본 삼국시대소성기술 연구 -영남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9) : 199-234, 2010

      13 강병선, "삼국시대토기제작복원실험" 湖南文化財硏究院 10 : 107-123, 2011

      14 최성락, "복암리 3호분의 분형과 축조과정, In 영산강유역 고대문화의 성립과 발전 제1판" 학연문화사 27-71, 2007

      15 전경아, "백제토기의 사문기법 : 4세기대 중서부 지역자료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1

      16 한송이, "백제의직물"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13-16, 2008

      17 方瑠梨, "백제 한성시대 토기 타날 기법에 대한 연구 -이천 설성산성 출토 호. 옹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학회 (21) : 257-282, 2004

      18 홍진근, "도질토기의燒成痕분석" 복천박물관 98-116, 2003

      19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대형옹관제작고대기술복원프로젝트, In 이주의고고학" 한국고고학회 498-501, 2010

      20 김동숙, "고대분묘제사연구의현황과과제" 국립문화재연구소 5 : 361-380, 2009

      21 권주현, "가야인의 삶과 문화" 혜안 2009

      22 조유전, "韓國考古學事典" 國立文化財硏究所 2001

      23 崔鍾圭, "陶質土器의表面觀察, In 昌寧桂城新 高塚群" 慶南考古學硏究所 2001

      24 박경신, "華城石隅里먹실遺蹟" 畿文化財硏究院 2007

      25 이영철, "羅州長燈遺蹟" 湖南文化財硏究院 2007

      26 김건수, "羅州 虎古墳群" 湖南文化財硏究院 2003

      27 임승덕, "百濟 泗沘期 打捺文土器 製作技法 硏究" 한국문화사학회 (35) : 97-132, 2011

      28 이영덕, "潭陽台木里遺蹟Ⅱ" 湖南文化財硏究院 2010

      29 이영철, "潭陽台木里遺蹟Ⅰ" 湖南文化財硏究院 2007

      30 권오영, "漢城期 百濟 기와의 製作傳統과 發展의 劃期" 백제연구소 38 : 1-23, 2003

      31 임영진, "榮山江流域圈의 墳丘墓와 그 展開" 호남고고학회 16 : 79-99, 2002

      32 韓國考古環境硏究所, "土器燒成의考古學 제1판" 서경문화사 2007

      33 김영희, "咸平松山遺蹟" 湖南文化財硏究院 2007

      34 윤태영, "咸安于巨里土器生産遺蹟" 국립김해박물관 2007

      35 김성태, "加平大成里遺蹟" 京畿文化財硏究院 2009

      36 박태홍, "光州河南洞遺蹟" 湖南文化財硏究院 2008

      37 이영철, "光州東林洞遺蹟Ⅰ-Ⅳ" 湖南文化財硏究院 2007

      38 박중환, "光州明花洞古墳" 國立光州博物館 1996

      39 노미선, "光州平洞遺蹟Ⅰ-Ⅲ" 湖南文化財硏究院 2012

      40 박태홍, "光州山亭洞遺蹟" 湖南文化財硏究院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Archaeological Heritage ->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2-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영문명 : Korea cultural properties investigation and research institute associ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Archaeological Heritag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5 1.229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