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국어 교과서에 쓰인 어휘를 분석하고, 이 어휘들에 대한 아동들의 어휘 수용 능력에 대한 특징을 밝히려고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960501
공주 :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학위논문(석사) --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 초등특수교육전공 , 2003. 8
2003
한국어
379.5 판사항(4)
371.90472 판사항(21)
충청남도
ⅱ, 54p. : 삽도 ; 27cm.
참고문헌: p. 38-4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국어 교과서에 쓰인 어휘를 분석하고, 이 어휘들에 대한 아동들의 어휘 수용 능력에 대한 특징을 밝히려고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
이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국어 교과서에 쓰인 어휘를 분석하고, 이 어휘들에 대한 아동들의 어휘 수용 능력에 대한 특징을 밝히려고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정신지체 특수학교 국어교과서 제 1권 속에 사용된 어휘와 대전지역의 정신지체 아동 18명으로 한정하여 정신지체 특수학교 국어교과서 제 1권에 사용된 모든 어휘의 사용빈도를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각 어휘별 사용빈도와 품사별 사용빈도, 의미영역별 사용빈도로 분석하였고, 정신지체 특수학교 국어교과서 제 1권에 사용된 어휘 540개에 대하여 아동의 어휘 수용능력을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각 어휘별, 어휘의 사용빈도별, 어휘의 품사별, 어휘의 의미영역별 어휘수용도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정신지체 아동들의 어휘교육과 국어교과서 편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바, 정신지체 특수학교 국어교과서에 사용된 어휘와 이 어휘들에 대한 아동의 어휘수용 능력을 알 수 있어 교과서의 어휘 선정과 편찬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그 가치가 있으며, 이 연구의 결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자 한다.
첫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국어교과서 제 1권에 사용된 어휘 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신지체 특수학교 국어교과서 제 1권의 연어수가 3,253개이고 이어수는 608개로 이어 1개당 평균 5.35회 사용되었으며 1회 사용된 어휘가 304개로 이어의 50%이고, 2~3회 사용된 어휘가 이어 기준으로 158개로 30.0%로 대다수 어휘의 사용빈도는 낮고 일부 특정 어휘의 사용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교과서에서 사용된 어휘빈도를 품사별로 살펴보면 명사, 동사, 형용사, 조사, 대명사, 부사, 관형사, 감탄사, 수사의 순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들은 주로 조사가 많음을 알 수 있다.
교과서에서 사용된 어휘를 의미영역별로 살펴보면 다양한 영역의 어휘들이 사용되었으며 분포상 용언을 제외하면 사람과 관련된 어휘가 많았다. 이와 같이 주로 실생활과 관련된 어휘와 교육상황에서 사용되는 어휘들이 많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초등부 학생을 상대로 특수학교 국어교과서 1권에 나타난 어휘들에 대한 어휘 수용능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과서에 나타난 어휘에 대한 어휘수용도는 평균적으로 54.9%이며 정신지체아동의 학년별 어휘수용도는 학년이 증가한다거나 연령의 증가에 따른 차이가 아니고 아동 개개인의 개인차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신지체아동의 어휘수용도는 어휘 사용빈도의 높고 낮음과는 관계없이 개별 어휘의 특징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어휘수용도를 품사별로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평균어휘수용도가 높은 품사는 대명사, 부사, 관형사, 동사, 명사, 형용사, 수사의 순이었으며, 대상어휘수의 차이라든지 개별 어휘의 특징 등을 살펴볼 때 정신지체 아동의 어휘수용도는 품사와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의미영역별 어휘수용도를 보면 가전, 교통, 음식에서 높게 나타나고, 위치, 상태, 건강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정신지체 아동들은 실생활과 관련있는 어휘들에 대하여 어휘수용도가 높고, 지식을 동반한다거나 사물을 인지하고 사고하여야 하는 어휘들에서는 어휘수용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ocabular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of the school for the mentally retarded and the feature of children's receptive ability of this vocabulary. The subject of study was the vocabulary used in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ocabular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of the school for the mentally retarded and the feature of children's receptive ability of this vocabulary. The subject of study was the vocabulary used in the first volume of the textbook and eighteen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Dae-jeon.
I analyzed the frequency of whole vocabulary in the textbook and arranged the frequency by each vocabulary, parts of speech, and the area of meaning. I investigated the children's receptive ability of vocabulary about 540 words used in the textbook and arranged the receptive ability level of vocabulary by vocabulary, the frequency of vocabulary, parts of speech, and the meaning area of vocabulary.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textbook was proved to have 3,253 collocation words and 608 diverse word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al condition of vocabulary used in the textbook, and each diverse word was used 5.35 times on the average, and the frequency of general vocabulary was low, and that of partial and special vocabulary was high.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vocabulary used in the textbook by parts of speech, the order of parts of speech that occupy much was noun, verb, adjective, postposition, pronoun, adverb, pre-noun, exclamation, and numeral, and the vocabulary used frquently was a particle in the main.
The vocabulary of various area was used, in terms of the area of meaning, and the vocabulary related with man was dominant besides the inflected word in distribution, and the vocabulary related with real life and the vocabulary used in education condition chiefly came after it.
Second, the result of surveying the students of elementary department of the school for mentally retarded and their receptive ability of vocabulary used in the textbook showed that the receptive ability level of vocabulary in textbook was 54.9% on the average. The retarded students' receptive ability level of vocabulary didn't have difference as the school year or age but was related with the personal difference of each child, and their receptive ability level of vocabulary was not related with the high or low frequency of vocabulary, but the feature of each vocabulary.
The receptive ability level of vocabulary was not related with parts of speech. It was high, related with electronic appliances, transportation and food, and low, related with position, condition and health. The retarded children had the high receptive ability of vocabulary related with real life and the low ability with knowledge or recognizing and thinking thing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