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Korea Children Youth Panel Survey; KCYPS) 중1패널 6차년도 자료에 기계학습 기법 중 벌점회귀모형으로 분류되는 adaptive LASSO를 적용하여 진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45713
2019
-
370
KCI등재
학술저널
133-155(23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Korea Children Youth Panel Survey; KCYPS) 중1패널 6차년도 자료에 기계학습 기법 중 벌점회귀모형으로 분류되는 adaptive LASSO를 적용하여 진로...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Korea Children Youth Panel Survey; KCYPS) 중1패널 6차년도 자료에 기계학습 기법 중 벌점회귀모형으로 분류되는 adaptive LASSO를 적용하여 진로결정 관련 변수를 탐색하였다. Adaptive LASSO는 LASSO를 개선한 방법으로 변수 선택과 회귀계수 산출이 동시에 가능하며, 변수 선택 일치성을 충족한다는 장점이 있다. KCYPS의 고등학교 3학년 1,938명이 응답한 326개의 설명변수 중 학교/학력, 지적발달, 사회정서발달, 진로계획 영역(이상 개인발달) 변수 17개, 가정환경, 교육환경, 지역사회환경, 매체환경, 활동/문화 환경 영역(이상 발달환경) 변수 14개의 총 31개의 변수가 진로결정 관련 변수로 선택되었다. 본 연구 결과, 정서문제, 진로정체감, 양육방식, 학교생활적응과 같이 선행연구에서 연구된바 있는 기존 변수들을 확인하였으며, 이와 함께 직업관, 지역사회 인식, 휴대전화 보유여부, 체험활동 및 동아리 활동 참여 유무와 같은 새로운 변수들을 탐색할 수 있었다. 자신의 적성을 인지하고 직업의 세계를 탐색하도록 돕는 진로교육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 본 연구는 교육적 개입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할지 제시하였으며, 심층 연구가 필요한 일부 변수에 대한 후속 연구 또한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plored variables relating to students’ career decisions, using 7th graders’ 6th wave panel of KCYPS. In particular, adaptive LASSO was employed among penalized regression techniques. Despite its strength in variable selection, ...
The current study explored variables relating to students’ career decisions, using 7th graders’ 6th wave panel of KCYPS. In particular, adaptive LASSO was employed among penalized regression techniques. Despite its strength in variable selection, LASSO is known to produce inconsistent coefficient estimates. In response to the LASSO shortcoming, adaptive LASSO was proposed as a technique to yield consistent estimates. A total of 326 variables responded by 1,938 12th graders were investigated in the adaptive LASSO model and 31 variables were selected as important after relevance counts. The selected 31 variables included 17 and 14 variables from personal development and development environment sections, respectively. Among the 31 selected variables, those regarding emotional problems, career identity, parents’ parenting style, and school adaptation have been investigated in previous research. Newly found variables included variables relating to sense of occupation, community awareness, cell phone possess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is increasingly stressed, as career education helps students recognize their aptitudes and explore possible occupations. Some of the selected variable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as educational intervention is possible with them. Further research topics were also suggest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원,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Ⅵ : 사업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2 황매향, "한국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진로발달 특성의 변화추이 분석" 교육연구소 11 (11): 75-94, 2010
3 여성가족부, "학교밖청소년 75.5%가 학업·진로탐색에 관심 있어"
4 김정숙,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결정 여부 및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4 (14): 27-49, 2017
5 김인규, "초, 중, 고등학생의 진로발달과업에 대한 일반인의 암묵지 탐색" 교육연구소 8 (8): 223-245, 2007
6 이지연, "청소년이 인식하는 일 가치의 변화" 한국직업교육학회 25 (25): 163-181, 2006
7 노자은,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변화 양상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4 (14): 51-68, 2017
8 윤선희, "청소년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불안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89-207, 2009
9 조아미, "청소년의 성별과 성역할정체감이 진로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91-108, 2002
10 권수정, "청소년의 또래애착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과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소 33 (33): 29-51, 2017
1 이종원,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Ⅵ : 사업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2 황매향, "한국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진로발달 특성의 변화추이 분석" 교육연구소 11 (11): 75-94, 2010
3 여성가족부, "학교밖청소년 75.5%가 학업·진로탐색에 관심 있어"
4 김정숙,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결정 여부 및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4 (14): 27-49, 2017
5 김인규, "초, 중, 고등학생의 진로발달과업에 대한 일반인의 암묵지 탐색" 교육연구소 8 (8): 223-245, 2007
6 이지연, "청소년이 인식하는 일 가치의 변화" 한국직업교육학회 25 (25): 163-181, 2006
7 노자은,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변화 양상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4 (14): 51-68, 2017
8 윤선희, "청소년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불안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89-207, 2009
9 조아미, "청소년의 성별과 성역할정체감이 진로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91-108, 2002
10 권수정, "청소년의 또래애착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과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소 33 (33): 29-51, 2017
11 손진희, "청소년기와 청년기의 희망직업 결정과 첫 직업"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117-134, 2014
12 임은미, "청소년 직업가치의 유형 및 변화와 전공 선택 경향에 따른 직업가치 차이"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61-77, 2010
13 임언, "진로성숙도 검사 개발 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14 정윤경, "진로상담을 위한 고등학생의 진로결정문제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15 정애경, "진로미결정 및 관련변인에 관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9 (9): 551-564, 2008
16 장석민, "진로교육의 기본개념과 철학 및 실천방향 탐색" 27 (27): 29-56, 2014
17 신소영, "진로결정과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습성과 인식의 관계 구조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167-185, 2014
18 이요행, "진로결정 수준이 구직활동의 효율성, 첫 직장의 개인-직무 부합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2 (22): 1-18, 2009
19 최병옥, "지역사회와 연계한 중학생의 창의적 체험활동이 진로 관련요인과 정서 관련 요인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소 53 (53): 693-705, 2014
20 김지영, "지역사회 기반 직업체험이 중학생의 진로정보 탐색과 합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89-110, 2016
21 정연순, "지역사회 기반 중학생 직업체험 프로그램 개발"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217-240, 2012
22 이현숙,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취목표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89-105, 2004
23 김보영,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을 통한 또래애착과 성취가치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1-52, 2015
24 김종운,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적 독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2 (22): 121-135, 2009
25 성은모, "자유학기제 청소년 진로 체험활동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 방안"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49-63, 2013
26 황여정,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및 진로정보인지수준 영향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7 (17): 131-158, 2007
27 김정숙, "일반계 고등학생의 직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10): 1-23, 2007
28 오정아,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결정 예측모형 탐색"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9 (29): 145-177, 2018
29 배정수,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활용한 고등학생 진로결정수준 결정요인 우선순위 탐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79-105, 2015
30 신희경,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결정 동기에 관한 연구: 개인, 가정, 학교의 역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8): 47-84, 2005
31 이현주, "완벽주의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자아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동기의 중재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199-220, 2012
32 문지은, "여자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른 진로결정 수준과 진로스트레스 : 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sment 모형을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21 (21): 233-255, 2015
33 박아청,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의 애착, 자아정체감 및 진로의사결정 수준과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69-85, 2008
34 정봉희,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 및 자아정체감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7 (7): 57-74, 2008
35 안현자,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24 (24): 1-21, 2011
36 노민정, "벌점회귀모형에서의 결측처리기법에 관한 몬테카를로 모의실험 : KCYPS 자료를 이용한 진로결정 변수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2018
37 신은경, "동아리활동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산업학회 41 (41): 133-154, 2016
38 유진은,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통한 교육 패널데이터 분석: 벌점회귀모형과 KYPS 자료" 교육연구소 17 (17): 1-19, 2016
39 남아란, "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진로정체감, 진로미결정 및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28 : 27-43, 2012
40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9 (9): 311-333, 1997
41 조경진, "대학생의 우울취약성 성격양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16 : 103-115, 2018
42 박완성,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한국교육방법학회 14 (14): 104-125, 2002
43 장진이, "대학생의 부모 진로지지, 특성불안, 계획된 우연 역량에 따른 군집 유형별 진로결정 수준의 차이" 교육연구소 17 (17): 47-65, 2016
44 강차연, "대학생들의 애착과 진로발달과의 관계" 13 (13): 51-69, 2001
45 심재헌, "대학 졸업자의 지역 간 취업 이동 요인 분석: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취업 이동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75 : 37-51, 2012
46 박지영, "남녀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도의 매개효과" 한국생애학회 6 (6): 21-37, 2016
47 조미형, "남녀 청소년의 부모ㆍ친구ㆍ교사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5 : 81-97, 2006
48 유진은, "기계학습: 대용량/패널자료와 학습분석학 자료 분석으로의 활용" 한국교육공학회 35 (35): 313-338, 2019
49 정주원,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성숙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6 (26): 101-118, 2014
50 손원빈, "고등학생의 체험활동 참여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의 활용" 한국청소년학회 24 (24): 223-247, 2017
51 오헌석,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수준 비교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45-265, 2010
52 박현주, "고등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419-440, 2006
53 유영미, "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 수준과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18 (18): 243-257, 2005
54 문승태, "고등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 부모와의 애착 및 자아정체감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16 (16): 2003
55 송지숙, "고등학생의 부정적 정서상태 및 자아개념이 진로의사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79-302, 2014
56 최재혁, "고등학생의 부모관심, 진로정체감, 직업결정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진로대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53) : 175-199, 2018
57 박성미,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과정에 영향을 주는 진로결정장애 분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124-135, 2004
58 윤영란, "고등학교의 진로정체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5 (15): 91-106, 2009
59 Huang, J., "adaptive LASSO for sparse high-dimensional regression models" 18 (18): 1603-1618, 2008
60 Fan, J., "Variable selection via nonconcave penalized likelihood and its oracle properties" 96 (96): 1348-1360, 2001
61 Hastie, T., "The elements of statistical learning:Data mining, inference, and prediction" Springer 2009
62 Zou, H., "The adaptive LASSO and its oracle properties" 101 (101): 1418-1429, 2006
63 Jin Eun Yoo, "TIMSS 2011 Student and Teacher Predictors for Mathematics Achievement Explored and Identified via Elastic Net" Frontiers Media SA 9 : 2018
64 박창이, "R을 이용한 데이터마이닝" 교우사 2011
65 Tibshirani, R., "Regression shrinkage and selection via the LASSO" 58 (58): 267-288, 1996
66 Tokar, D. M., "Personality and vocational behavior : A selec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1993–1997" 53 (53): 115-153, 1998
67 Fan, J., "Network exploration via the adaptive LASSO and SCAD penalties" 3 (3): 521-541, 2009
68 Wang, H., "Large unbalanced credit scoring using LASSO-logistic regression ensemble" 10 (10): e0117844-, 2015
69 Shrout, P. E., "Intraclass correlations : uses in assessing rater reliability" 86 (86): 420-428, 1979
70 유진은, "Group lasso를 통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탐색"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127-149, 2017
71 이지아, "Elastic net을 활용한 교사효능감 관련 변수 탐색" 교육연구소 20 (20): 149-172, 2019
72 Zhang, K., "Comparisons of penalized least squares methods by simulations"
73 Crites, J. O., "Career maturity inventory: Administration & use manual" CTB/McGraw-Hill 1978
74 Gordon, V. N., "Career decidedness types : A literature review" 46 (46): 386-403, 1998
75 Jönsson, P., "An evaluation of k-nearest neighbour imputation using likert data" IEEE 108-118, 2004
76 Algamal, Z. Y., "Adjusted adaptive LASSO in high-dimensional poisson regression model" 9 (9): 170-, 2015
77 Ben-David, A.,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OC curves and Cohen's kappa" 21 (21): 874-882, 2008
78 Frank, L. E., "A statistical view of some chemometrics regression tools" 35 (35): 109-135, 1993
79 Shevade, S. K., "A simple and efficient algorithm for gene selection using sparse logistic regression" 19 : 2246-2253, 2003
대학생의 자기성찰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 멘토링, 학습전략의 매개효과
교직이수 학생의 교직선택동기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교직선택만족의 매개효과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3-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4 | 1.54 | 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5 | 1.7 | 1.914 |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