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IKEA Kreativ AR APP 몰입 경험이 소비자 사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AM 이론과 Flow 이론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Flow Experience in the IKEA Kreativ AR App on Consumer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TAM and Flow Theo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960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AR 기술을 사용한 IKEA Kreativ APP 사용에서 소비자가 인식하는 몰입 경험이 소비자 사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몰입 경험과 사용 만족도 사이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지각된 사용 유용성이 어떤 매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IKEA Kreativ 사용 경험이 있는 20~50대 소비자 350명의 설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몰입 경험(즐거움, 지각된 조절, 주의 집중)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지각된 사용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몰입 경험 중 지각된 조절과 주의 집중은 사용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즐거움은 사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지각된 사용 유용성은 사용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몰입 경험 중 즐거움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지각된 사용 유용성을 매개로 하여 사용 만족도에 완전한 매개 효과를 보였으며, 몰입 경험 중 지각된 조절과 주의 집중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지각된 사용 유용성을 매개로 하여 사용 만족도에 부분적인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AR 기술을 활용한 IKEA Kreativ 사용 과정에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몰입 경험과 소비자의 지각된 사용 용이성 및 지각된 사용 유용성이 사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AR 기술을 사용한 IKEA Kreativ APP 사용에서 소비자가 인식하는 몰입 경험이 소비자 사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몰입 경험과 사용 만족도 사이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용 용...

      본 연구는 AR 기술을 사용한 IKEA Kreativ APP 사용에서 소비자가 인식하는 몰입 경험이 소비자 사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몰입 경험과 사용 만족도 사이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지각된 사용 유용성이 어떤 매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IKEA Kreativ 사용 경험이 있는 20~50대 소비자 350명의 설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몰입 경험(즐거움, 지각된 조절, 주의 집중)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지각된 사용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몰입 경험 중 지각된 조절과 주의 집중은 사용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즐거움은 사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지각된 사용 유용성은 사용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몰입 경험 중 즐거움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지각된 사용 유용성을 매개로 하여 사용 만족도에 완전한 매개 효과를 보였으며, 몰입 경험 중 지각된 조절과 주의 집중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지각된 사용 유용성을 매개로 하여 사용 만족도에 부분적인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AR 기술을 활용한 IKEA Kreativ 사용 과정에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몰입 경험과 소비자의 지각된 사용 용이성 및 지각된 사용 유용성이 사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consumers' perceived Flow experience in using IKEA Kreativ, an app that utilizes AR technology, on consumer satisfaction. It also examines the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experience and consumer satisfaction. For this analysis, surveys from 350 consumers aged 20 to 50 with experience using IKEA Kreativ were utili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low experience (perceived enjoyment, perceived control, and attention focu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Second, the Flow experiences of perceived control and attention focu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 satisfaction, whereas the factor of enjoyment did not influence consumer satisfaction. Third,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 satisfaction. Fourth, perceived enjoyment as a Flow experience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through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while perceived control and attention focu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through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These findings will help in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Flow experiences, as well a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on consumer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using AR technology in IKEA Kreativ.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consumers' perceived Flow experience in using IKEA Kreativ, an app that utilizes AR technology, on consumer satisfaction. It also examines the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in th...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consumers' perceived Flow experience in using IKEA Kreativ, an app that utilizes AR technology, on consumer satisfaction. It also examines the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experience and consumer satisfaction. For this analysis, surveys from 350 consumers aged 20 to 50 with experience using IKEA Kreativ were utili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low experience (perceived enjoyment, perceived control, and attention focu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Second, the Flow experiences of perceived control and attention focu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 satisfaction, whereas the factor of enjoyment did not influence consumer satisfaction. Third,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 satisfaction. Fourth, perceived enjoyment as a Flow experience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through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while perceived control and attention focu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through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These findings will help in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Flow experiences, as well a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on consumer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using AR technology in IKEA Kreativ.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