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의 화교학교 내 한국 학생의 유입 현상에 주목하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화교학교의 특수한 역사 배경과 한국 학부모의 화교학교 선택을 살펴보고자 한다. 1882년부터 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283983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 한국학협동과정 현대사회문화전공 , 2013. 8
2013
한국어
서울
The phenomenon in the entrance of Korean students into Huaqiao schools
vi, 116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김현미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화교학교 내 한국 학생의 유입 현상에 주목하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화교학교의 특수한 역사 배경과 한국 학부모의 화교학교 선택을 살펴보고자 한다. 1882년부터 한...
본 연구는 한국의 화교학교 내 한국 학생의 유입 현상에 주목하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화교학교의 특수한 역사 배경과 한국 학부모의 화교학교 선택을 살펴보고자 한다. 1882년부터 한국화교의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라 화교학교를 세우기 시작하였다. 한국 화교는 한국에서 차별을 당해 오면서 화교 정체성을 강조하는 민족교육을 계속 고수하였다. 화교학교가 제일 많았던 1970년대에는 전국에 60개정도가 있었고 화교학교의 번성은 한국정부가 화교학교에 대한 방임 정책과 대만 정부가 화교교육을 지원한 배경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국제 정세 변화에 따라 화교의 중요성이 약화되어 대만 정부의 지원이 감소되었고, 한국 정부도 학교에 대한 지원이 거의 없었다. 뿐만 아니라 화교인구의 감소 그리고 경제, 교통, 교육의 질 등의 이유로 인하여 화교학생의 수가 줄어들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화교학교가 생존하기 위해 중국이나 한국 학생도 받아들이기 시작하였다.
첫 화교학교는 1902년에 인천에서 세워졌고 오랫동안 치외법권의 존재로 있어왔다. 1999년에 화교학교는 ‘각종학교’로 인정을 받고 학교의 지위에 오르게 되었다. 현재 한국정부는 화교학교를 다른 외국인학교와 같은 체계 안에서 관리하고 있다. 외국인학교에 대한 한국학생의 입학 조건이 화교학교에도 적용되었다. 화교학교 내 한국학생의 유입에 대해 정부는 눈을 감아주었지만 최근 외국인학교 한국 학생 입학 문제의 여파로 화교학교도 엄격한 단속을 받게 되었다.
정부의 규제와 제한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한국 학부모들이 자녀를 화교학교로 보내는 이유는 글로벌 문화자본에 대한 욕망과 중국어의 부상에서 찾을 수 있다. 학교 선택제도의 자유화로 인해 학부모의 교육 선택은 자유로워졌고 자녀의 미래 설계에 부합하는 교육 전략을 짜고 학교를 선택한다. 화교학교는 이러한 맥락에서 중국어 글로벌 문화자본의 추구, 국내 조기유학의 방편 그리고 한국 공교육을 대체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화교학교의 정체된 교육체계는 한국 학부모의 기대에 부합하지 못한다. 화교학교는 정부 간의 사각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각국에서 일어난 교육 개혁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여전히 구시대의 교육 방식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학교가 당면한 여러 가지 문제들로 인하여 학생의 학습 환경과 교육적 자원이 부족하며 학생들의 중국어 수준도 낮아지고 있다. 한국 학부모의 중국어에 대한 교육열은 이러한 학교의 현실과 괴리가 있으며 학교와의 사이에 갈등이 일어났다. 화교학교의 교육 체계와 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지만 한국정부의 도움이 없이 현재의 곤경에서 벗어나기는 어렵다. 특히 최근에 화교학교 내 한국학생의 단속은 화교학교의 존폐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며, 화교학교의 존폐는 화교사회의 지속과 관련되기 때문에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는 데에 있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