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미래전 양상과 그 결정요인을 살펴보고, 한반도의 미래전은 어떻게 전 개될 것인지를 예측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미래전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지 만, 그중에서도 가장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69390
손한별 (국방대학교)
2023
Korean
미래전 ; 군사기술 ; 신흥기술 ; 사이버전 ; 비대칭전 ; 무인체계 ; Future Warfare ; Military Technology ; Emeging Technology ; Cyber Warfare ; Asymmetric Warfare ; Unmanned System
KCI등재
학술저널
17-43(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미래전 양상과 그 결정요인을 살펴보고, 한반도의 미래전은 어떻게 전 개될 것인지를 예측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미래전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지 만, 그중에서도 가장 ...
본 논문은 미래전 양상과 그 결정요인을 살펴보고, 한반도의 미래전은 어떻게 전 개될 것인지를 예측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미래전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지 만, 그중에서도 가장 개연성있는 예측을 제공하는 과학기술의 발전에 주목한다. 본 논문은 사이버, 무인체계, AI와 빅데이터를 핵심적인 기술변수가 될 것이며, 이를 통 해 미래에는 확장된 전쟁영역과 분산된 전투현장으로서의 ‘전쟁의 공간’, 기계에 의 한 감시, 결심, 전투가 이루어지는 ‘전쟁의 수단’, 선제행동과 신속한 전투양상이 강 조되는 ‘전쟁의 방법’이 달라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다시 다차원전, 정보전, 비 대칭전이라는 미래전 양상을 구성한다. 이같은 변화는 한반도에서도 나타나는데, 군사혁신을 통해 기술적 우위를 극대화하려는 남북한의 경쟁 속에서 극대화될 것이다. 이를 통해 도출되는 전략적 함의로는 남북한의 정치적 목표가 가지는 공세성이 유지 될 것이고, 결정중심전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과 수단의 구성적 발전, 공방균형의 역 동적인 변화와 그에 대한 적응이 필요하며, 동맹을 넘어선 전략적 결합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곤, "한반도 주변의 회색지대(the Gray Zone) 위협과 대응방향" 육군군사연구소 (149) : 91-130, 2020
2 문장렬, "정보시대의 군사전략과 무기체계에 관한 연구" 27 (27): 2019
3 로렌스 프리드먼, "전쟁의 미래" 비즈니스북스 2020
4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 "전쟁론(Vom Kriege)" 갈무리 2016
5 고원, "전쟁 패러다임의 변화와 한국군에의 시사점" 한국국방연구원 26 (26): 9-46, 2011
6 이두갑, "인간의 경계 : 기술결정론과 기술사회에서의 인간" 23 (23): 2001
7 매리 캘도어, "새로운 전쟁과 낡은 전쟁 : 세계화 시대의 조직화된 폭력" 그린비 2010
8 헤어프리트 뮌클러, "새로운 전쟁 : 군사적 폭력의 탈국가화" 책세상 2012
9 송태은, "북한의 사이버 공격과 우리의 대응" IFANS 2022
10 김민혁, "북한 인공지능 기술의 군사화와 우리 군의 대응 무기체계 발전방향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20 (20): 29-40, 2021
1 김창곤, "한반도 주변의 회색지대(the Gray Zone) 위협과 대응방향" 육군군사연구소 (149) : 91-130, 2020
2 문장렬, "정보시대의 군사전략과 무기체계에 관한 연구" 27 (27): 2019
3 로렌스 프리드먼, "전쟁의 미래" 비즈니스북스 2020
4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 "전쟁론(Vom Kriege)" 갈무리 2016
5 고원, "전쟁 패러다임의 변화와 한국군에의 시사점" 한국국방연구원 26 (26): 9-46, 2011
6 이두갑, "인간의 경계 : 기술결정론과 기술사회에서의 인간" 23 (23): 2001
7 매리 캘도어, "새로운 전쟁과 낡은 전쟁 : 세계화 시대의 조직화된 폭력" 그린비 2010
8 헤어프리트 뮌클러, "새로운 전쟁 : 군사적 폭력의 탈국가화" 책세상 2012
9 송태은, "북한의 사이버 공격과 우리의 대응" IFANS 2022
10 김민혁, "북한 인공지능 기술의 군사화와 우리 군의 대응 무기체계 발전방향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20 (20): 29-40, 2021
11 합동참모본부, "미래 합동작전기본개념서 2021-2028"
12 부형욱, "미래 한반도 전쟁양상 : 새로운 접근" (1602) : 2016
13 노훈, "미래 전장 스크랩" 한국국방연구원 2008
14 조선ㆍ평양 외국문출판사, "경애하는 김정은동지의 명언1" 조선ㆍ평양 외국문출판사 2006
15 방위사업청, "’22-’36 국방기술기획서(일반본)"
16 Mastanduno, Michael, "Toward a Realist Theory of State Action" 33 : 1989
17 Waltz, Kenneth N.,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Addison-Wesley 1979
18 Bijker, Wiebe E.,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ical Systems: New Directions in the Sociology and History of Technology" MIT Press 1987
19 Cohen, Raphael, "The Future of Warfare in 2030 : Project Overview and Conclusions" RAND 2020
20 Van Creveld, Martin, "Technology and War : From B. C. 2000 to Present" Free Press 1989
21 Gray, Colin, "Strategy and History : Essays on Theory and Practice" Routledge 2006
22 Nye, Joseph S. Jr., "Nuclear Learning and US-Soviet Security Regimes" 41 (41): 1987
23 White, Lynn Jr., "Medieval Technology and Social Change" Oxford University Press 1962
24 Maginnis, Robert L., "Future War: Super Soldiers, Terminators, Cyberspace &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for 21st Century Combat" Defender 2016
25 James, Andrew D., "Emerging Technology and Military Capability, Policy Brief"
26 Heilbroner, Robert, "Do Machines Make History?" 8 : 1967
27 Horowitz, Michael, "Do Emerging Military Technologies Matter for International Politics?" 23 : 2020
28 Arquilla, John, "Cyberwar is Coming!" 12 (12): 1993
29 National Research Council, "Computers at Risk: Safe Computing in the Information Age" National Academies Press 1991
30 Cohen, Elliot, "Change and Transformation in Military Affairs" 27 (27): 2004
31 Krepinevich, Andrew F., "Cavalry to Computer: The Pattern of Military Revolution" (Fall) : 1994
32 손한별, "2040년 한반도 전쟁양상과 한국의 군사전략" 사단법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5 (5): 107-148, 2020
한국 서브컬처 연구의 동아시아적 지평을 위한 예비노트-박기정의 도전자ᆞ폭탄아에 주목하여
내던져지고 휩쓸린-사카구치 안고와 손창섭의 문학과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