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일본과 한국의 서로 다른 ‘전후’를 대표하는 작가 사카구치 안고와 손창 섭의 문학을 그들의 서로 다른 전쟁 경험에 비추어 비교.대조한다. 이를 통해 두 ‘전 후’ 작가에게 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일본과 한국의 서로 다른 ‘전후’를 대표하는 작가 사카구치 안고와 손창 섭의 문학을 그들의 서로 다른 전쟁 경험에 비추어 비교.대조한다. 이를 통해 두 ‘전 후’ 작가에게 나...
이 논문은 일본과 한국의 서로 다른 ‘전후’를 대표하는 작가 사카구치 안고와 손창 섭의 문학을 그들의 서로 다른 전쟁 경험에 비추어 비교.대조한다. 이를 통해 두 ‘전 후’ 작가에게 나타나는 허무주의적 경향이 그들의 개성의 차이뿐만 아니라 그들이 경험한 전쟁의 성격을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했다.
식민지/제국 일본의 본토에서 패전을 맞이한 사카구치 안고의 전쟁 경험은 공중 폭격으로 상징된다. 그는 도쿄를 불바다로 만든 미군의 압도적 공격을 ‘신적 폭력’처 럼 받아들이며 전쟁을 ‘재난화’한다. 이렇게 재난화된 전쟁은 기존의 신화와 도덕으 로부터 ‘타락’할 수 있는 계기로 추상화된다. 나아가 그는 재난 속에 ‘내던져진’ 자신 을 ‘내던지는’ 주체로 전도시키고, 패배의 현실을 결단의 순간으로 대체하며 패전의의미를 망각하게 만든다. 이같은 안고의 태도를 미학적 허무주의라고 칭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손창섭의 인물들은, 만주사변 이래 식민지/제국의 전쟁과 동원에 ‘휩쓸 리다’ 해방되자마자 내전을 겪으며 터전을 잃고 떠밀려 온 (포스트) 피식민자 인민들 의 삶의 양태와 만난다. 자기 모멸과 자포자기적 무기력에 휩싸인, 불능의 허무주의 라고 칭할 수 있는 손창섭의 태도는 지금–여기의 세계와 어떤 긍정적인 상호작용도 기대하기 어렵다. 하지만 저 모멸과 절망을 ‘견디는’ 행위는 내부에 지금–여기가 아닌 다른 시간–공간의 존재를 간직한다. 손창섭의 불능의 허무주의는 역설적으로 전쟁의 ‘불능’을 입증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일월서각 1986
2 허윤, "한국 남성성의 문화적(재)구성과 그 계보" 한국여성문학학회 30 : 2013
3 아라이 신이치, "폭격의 역사 : 끝나지 않는 대량 학살" 어문학사 2015
4 김태우, "폭격 : 미공군의 공중폭격 기록으로 읽는 한국전쟁" 창비 2013
5 문화, "전후소설에 나타난 ‘인간동물’ 양상 연구 : 사카구치 안고와 손창섭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울대대학원 2016
6 메도루마 슌, "오키나와의 눈물" 논형 2013
7 양미영, "손창섭과 사카구치 안고(坂口安吾)의 전후(戰後)소설에 나타난 실존과 본질 - 여성인물의 타락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3 (23): 211-238, 2019
8 사카구치 안고, "사카구치 안고 산문집" 지만지 2014
9 손창섭, "비오는 날" 문학과지성사 2005
10 사카구치 안고, "불량소년과 그리스도" 그린비 2021
1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일월서각 1986
2 허윤, "한국 남성성의 문화적(재)구성과 그 계보" 한국여성문학학회 30 : 2013
3 아라이 신이치, "폭격의 역사 : 끝나지 않는 대량 학살" 어문학사 2015
4 김태우, "폭격 : 미공군의 공중폭격 기록으로 읽는 한국전쟁" 창비 2013
5 문화, "전후소설에 나타난 ‘인간동물’ 양상 연구 : 사카구치 안고와 손창섭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울대대학원 2016
6 메도루마 슌, "오키나와의 눈물" 논형 2013
7 양미영, "손창섭과 사카구치 안고(坂口安吾)의 전후(戰後)소설에 나타난 실존과 본질 - 여성인물의 타락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3 (23): 211-238, 2019
8 사카구치 안고, "사카구치 안고 산문집" 지만지 2014
9 손창섭, "비오는 날" 문학과지성사 2005
10 사카구치 안고, "불량소년과 그리스도" 그린비 2021
11 사카구치 안고, "백치⋅타락론 외" 책세상 2007
12 발터 벤야민, "발터 벤야민 선집 5⋅역사의 개념에 대하여/폭력비판을 위하여/초현실주의 외" 길 2008
13 주미경,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와 손창섭 문학 비교연구 : 「인간실격」「미해결의 장」에 나타난 사회부적응 양상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14 마루카와 데쓰시, "냉전문화론" 너머북스 2010
15 정철훈, "내가 만난 손창섭" 도서출판b 2014
16 한수영, "관전사(貫戰史)의 관점으로 본 한국전쟁 기억의 두 가지 형식 -선우휘의「불꽃」과 하근찬의「수난이대」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13) : 431-459, 2011
17 佐々木中, "戦争と一人の作家 : 坂口安吾論" 河出書房新社 2016
18 柄谷行人, "坂口安吾論" インスクリプト 2017
19 서동주, "‘타락’, 전후를 넘는 상상력 ― 사카구치 안고(坂口安吾)의 문화‧주체‧역사 ―" 아시아문화연구소 18 : 135-157, 2010
20 사카사이 아키토, "‘잿더미’ 전후공간론" 이숲 2020
21 坂口安吾, "FARCEに就て"
한국 서브컬처 연구의 동아시아적 지평을 위한 예비노트-박기정의 도전자ᆞ폭탄아에 주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