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어 평가연구’ 학부 수업의 운영 사례 연구 = Eine Fallstudie zum Seminar „Untersuchungen zu Prüfungen in DaF“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49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평가는 교수·학습 과정의 순서로 볼 때 가장 끝에 오는 단계이며 교육 전체에 있어서 한 부분이지만, 교수·학습 목표 설정에 막대한 영향을 준다. 평가는 교육을 되돌아보게 하고 앞으로 어떻게 교육할지 제시하며, 긍정적인 환류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자는 이러한 평가의 역할과 언어인증시험이라는 평가의 한 종류를 연결해서 수업을 운영하며, 평가 문항 제작을 초점화해 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어 평가연구’ 학부 수업의 진행 경험 사례를 다루며, FLEX 독일어 읽기 영역 문항을 중심으로 이론적으로 학습한 문항 제작의 원리를 문항 제작 실습에 적용한 교수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문항 제작자로서의 경험이 학생들에게 주는 수업 효과와 독일어 능력 향상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이론적으로 평가의 개념과 기능에서 ‘시험 Prüfung’, ‘검사 Test’ 및 ‘평가 Evaluation’ 등 용어에 관해서 다룬다. 어학인증시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준거참조평가 및 선다형 문항 제작의 유의점을 중심으로 평가 문항 제작의 원리를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이론적으로 학습했던 내용을 실제 FLEX 읽기 영역 각각의 문항 형식으로 제작한 예시 문항을 소개하고, 형식적, 문법적, 의미적 측면에서 문항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지문 및 문항 자료로 사용된, 학생들이 직접 선택한 시사 텍스트 이해의 증진은 물론 문법과 어휘에 대한 학습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번역하기

      평가는 교수·학습 과정의 순서로 볼 때 가장 끝에 오는 단계이며 교육 전체에 있어서 한 부분이지만, 교수·학습 목표 설정에 막대한 영향을 준다. 평가는 교육을 되돌아보게 하고 앞으로 어...

      평가는 교수·학습 과정의 순서로 볼 때 가장 끝에 오는 단계이며 교육 전체에 있어서 한 부분이지만, 교수·학습 목표 설정에 막대한 영향을 준다. 평가는 교육을 되돌아보게 하고 앞으로 어떻게 교육할지 제시하며, 긍정적인 환류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자는 이러한 평가의 역할과 언어인증시험이라는 평가의 한 종류를 연결해서 수업을 운영하며, 평가 문항 제작을 초점화해 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어 평가연구’ 학부 수업의 진행 경험 사례를 다루며, FLEX 독일어 읽기 영역 문항을 중심으로 이론적으로 학습한 문항 제작의 원리를 문항 제작 실습에 적용한 교수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문항 제작자로서의 경험이 학생들에게 주는 수업 효과와 독일어 능력 향상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이론적으로 평가의 개념과 기능에서 ‘시험 Prüfung’, ‘검사 Test’ 및 ‘평가 Evaluation’ 등 용어에 관해서 다룬다. 어학인증시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준거참조평가 및 선다형 문항 제작의 유의점을 중심으로 평가 문항 제작의 원리를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이론적으로 학습했던 내용을 실제 FLEX 읽기 영역 각각의 문항 형식으로 제작한 예시 문항을 소개하고, 형식적, 문법적, 의미적 측면에서 문항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지문 및 문항 자료로 사용된, 학생들이 직접 선택한 시사 텍스트 이해의 증진은 물론 문법과 어휘에 대한 학습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 Evaluation ist der letzte Schritt in der Abfolge des Lehr- und Lernprozesses und ein Teil des gesamten Bildungsprozesses. Dennoch hat sie einen enormen Einfluss auf die Festlegung von Lehr- und Lernzielen. Es ist wünschenswert, dass die Evaluation die Bildung reflektiert auf die zukünftige Bildung hinweist, und eine positive Rolle im Sinne eines Washback-Effekt spielt.
      In dieser Arbeit werden Erfahrungen aus dem Seminar “Untersuchungen zu Prüfungen in DaF“ bearbeitet und es wird eine Lehrmethode vorgestellt, bei der das theoretisch gelernte Erstellungsprinzip mit der Fokussierung auf den Prüfungsteil von FLEX-Deutsch praktisch angewandet wird. Außerdem wird betrachtet, welchen Einfluss die Erfahrungen im Rahmen der Aufgabenstellungr auf die Unterrichtswirkung und die Leistungssteigerung im Hinblick auf die Deutschkenntnisse der Studierenden ausüben.
      Zunächst werden die Funktionen der Evaluation und Begriffe wie “Prüfung“, “Test“ und “Evaluation“ theoretisch behandelt. Zusätzlich dazu wird im Wesentlichen das Erstellungsprinzip hinsichtlich der in Spracheignungsprüfungen verwendeten kriterienorientierten Tests sowie Hinweise für die Erstellung von Multiple-Choice-Aufgabenstellungen beleuchtet. In Hinblick auf die Praxis werden Beispielaufgaben entsprechend der Formeln für die einzelnen Aufgabenstellungen des FLEX-Deutsch-Teilprüfung Lesens vorgestellt. Diese Beispielaufgaben werden von den Studierenden anhand des Testmaterials bestehend aus selbst ausgewählten Nachrichtentexten erstellt, und formal, grammatikalisch und semantisch überprüft.
      번역하기

      Die Evaluation ist der letzte Schritt in der Abfolge des Lehr- und Lernprozesses und ein Teil des gesamten Bildungsprozesses. Dennoch hat sie einen enormen Einfluss auf die Festlegung von Lehr- und Lernzielen. Es ist wünschenswert, dass die Evaluatio...

      Die Evaluation ist der letzte Schritt in der Abfolge des Lehr- und Lernprozesses und ein Teil des gesamten Bildungsprozesses. Dennoch hat sie einen enormen Einfluss auf die Festlegung von Lehr- und Lernzielen. Es ist wünschenswert, dass die Evaluation die Bildung reflektiert auf die zukünftige Bildung hinweist, und eine positive Rolle im Sinne eines Washback-Effekt spielt.
      In dieser Arbeit werden Erfahrungen aus dem Seminar “Untersuchungen zu Prüfungen in DaF“ bearbeitet und es wird eine Lehrmethode vorgestellt, bei der das theoretisch gelernte Erstellungsprinzip mit der Fokussierung auf den Prüfungsteil von FLEX-Deutsch praktisch angewandet wird. Außerdem wird betrachtet, welchen Einfluss die Erfahrungen im Rahmen der Aufgabenstellungr auf die Unterrichtswirkung und die Leistungssteigerung im Hinblick auf die Deutschkenntnisse der Studierenden ausüben.
      Zunächst werden die Funktionen der Evaluation und Begriffe wie “Prüfung“, “Test“ und “Evaluation“ theoretisch behandelt. Zusätzlich dazu wird im Wesentlichen das Erstellungsprinzip hinsichtlich der in Spracheignungsprüfungen verwendeten kriterienorientierten Tests sowie Hinweise für die Erstellung von Multiple-Choice-Aufgabenstellungen beleuchtet. In Hinblick auf die Praxis werden Beispielaufgaben entsprechend der Formeln für die einzelnen Aufgabenstellungen des FLEX-Deutsch-Teilprüfung Lesens vorgestellt. Diese Beispielaufgaben werden von den Studierenden anhand des Testmaterials bestehend aus selbst ausgewählten Nachrichtentexten erstellt, und formal, grammatikalisch und semantisch überprüf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14

      2 이종승, "현대교육평가" 교육과학사 2009

      3 이근님, "프랑스어 교육학" 신아사 2015

      4 박혜영, "평가를 활용한 초·중등학생의 글쓰기 능력 신장 방안 연구(I): 평가틀과 예시문항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5 김영숙, "영어과 교육론 1–원리와 적용" 한국문화사 2010

      6 이완기, "영어 평가 방법론" 문진 미디어 2007

      7 최경인, "독일어 학부통역수업의 교수방안 제안 -핵심역량과 통역능력의 적용사례 연구" 한국독일어교육학회 (41) : 345-365, 2017

      8 조국현, "독일어 능력 평가 시험 TestDaF와 FLEX의 비교 고찰"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9 : 81-104, 2004

      9 박도순, "교육평가–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2013

      10 Heaton, B., "Writing English Language Tests" Longman 1988

      1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14

      2 이종승, "현대교육평가" 교육과학사 2009

      3 이근님, "프랑스어 교육학" 신아사 2015

      4 박혜영, "평가를 활용한 초·중등학생의 글쓰기 능력 신장 방안 연구(I): 평가틀과 예시문항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5 김영숙, "영어과 교육론 1–원리와 적용" 한국문화사 2010

      6 이완기, "영어 평가 방법론" 문진 미디어 2007

      7 최경인, "독일어 학부통역수업의 교수방안 제안 -핵심역량과 통역능력의 적용사례 연구" 한국독일어교육학회 (41) : 345-365, 2017

      8 조국현, "독일어 능력 평가 시험 TestDaF와 FLEX의 비교 고찰"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9 : 81-104, 2004

      9 박도순, "교육평가–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2013

      10 Heaton, B., "Writing English Language Tests" Longman 1988

      11 Cheng, L., "Washback in Language Testing –Research Contexts and Method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004

      12 Caspari, D., "Standardbasierte Testentwicklung und Leistungsmessung. Französisch in der Sekundarstufe I" 46-68, 2010

      13 Grotjahn, R., "Prüfen, Testen, Evaluieren" Goethe-Institut 2015

      14 Grotjahn, R., "Materialien Deutsch als Fremdsprache, Bd. 53" 304-341, 2000

      15 Baker, D., "Language Testing: A Critical Survey and Practical Guide" Edward Arnold 1989

      16 Bachman, L.F., "Language Testing in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7 Kast, B., "Fertigkeit Schreiben" Goethe-Institut 1999

      18 라영균, "FLEX 독일어 3"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3

      19 Cronbach, L. J., "Evaluation for course improvement" 64 : 672-683, 1963

      20 Duden, "Deutsches Universalwörterbuch" 2019

      21 Tyler, R. 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2-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ische Gesellschaft Fuer Germanistik -> Koreanische Gesellschaft für Germanistik KCI등재
      2018-01-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독일문학 -> 독어독문학
      외국어명 : DOKIL MUNHAK -> Koreanische Zeitschrift für Germanistik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2 0.2 0.459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