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증강현실 교육에 대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향후 증강현실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교육’을 키워드로 하여 2013년 10월부터 2023...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72979
2024
Korean
augmented reality ; education ; big data ; network analysis ; 증강현실 ; 교육 ; 빅데이터 ; 네트워크 분석
KCI등재
학술저널
53-76(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증강현실 교육에 대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향후 증강현실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교육’을 키워드로 하여 2013년 10월부터 2023...
본 연구는 증강현실 교육에 대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향후 증강현실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교육’을 키워드로 하여 2013년 10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10년간의 온라인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텍스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단어 정제과정을 실시하고, 상위 50개의 키워드를 선정하였으며, 의미연결망을 구성하여 중심성과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상현실’, ‘콘텐츠’, ‘산업’, ‘증강현실’, ‘기술’, ‘교육’, ‘대상’, ‘활용’, ‘연구’, ‘의료’, ‘서비스’ 등의 키워드가 가장 큰 중요성과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ONCOR 분석 결과 총 세 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군집별 키워드들의 내용을 참고하여 ‘증강현실 교육 활용 분야’, ‘증강현실 관련 진로’, ‘증강현실 교육의 주체’ 등으로 명명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증강현실 활용 교육을 위한 방향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ugmented reality education through network analysis, a big data analysis method,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augmented reality education in the future. To this end, online texts for 10 years from October 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ugmented reality education through network analysis, a big data analysis method,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augmented reality education in the future. To this end, online texts for 10 years from October 2013 to October 2023 were collected using 'augmented reality + education' as the keyword. By using Textom, a web-based big data analysis solution, 50 key keywords were selected, and a semantic network was formed to conduct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First, keywords such as "virtual reality," "content," "industry,"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education," "target," "utilization," "research," "medical," and "service"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importance and influence. Second,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a total of three clusters were formed. Referring to the contents of the keywords by cluster, they were named as "field of use of augmented reality education", "career related to augmented reality", and "subject of augmented reality education". Based on this, direction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educ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in the future were suggested.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만 5세반 유아의 배움 성향에미치는 영향 :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MZ세대 보육교사의 직업의식과 세대 간 갈등에 관한 탐색
보육효능감, 돌봄아동 부모의 지지, 집단자긍심이 아이돌보미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소외가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 : 진로적응성을 매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