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후백제(後百濟)의 항복(降服) 동선(動線)과 마성(馬城) = On the moving line about surrender of Later Baekje and Maseong(馬城)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103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후삼국시대를 마무리하는 최종 결전장이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에 소재한 一利川邊이었다. 일리천 전투에서 후백제군은 자중지란으로 붕괴되었다. 이때 고려군은 후백제군을 맹렬히 추격...

      후삼국시대를 마무리하는 최종 결전장이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에 소재한 一利川邊이었다. 일리천 전투에서 후백제군은 자중지란으로 붕괴되었다. 이때 고려군은 후백제군을 맹렬히 추격하여 黃山에 이르렀다. 그리고 고려군이 馬城에 駐營했을 때 神劍이 항복하였다. 그럼으로써 45년간에 걸친 후백제의 역사는 종언을 고하게 되었다. 鼎立한 후삼국이 비로소 통일된것이다. 그런데 고려군이 駐營했던 馬城의 위치에 대해서는 지금의 충청남도 논산을 가리키는 황산 일대에서 찾는 견해와 전라북도 익산이나 완주군 일대에서 찾는 견해로 나누어지고있다. 마성에 대한 종전의 그릇된 해석의 저변에는 『고려사』와 「개태사화엄법회소」의 해당 기록가운데, 후자를 중심에 둔 데서 빚어진 측면이 많았다. 그러나 兩者는 서로 성격이 다름을 인지했어야 했다. 전자는 역사 기록을 담은 사서인데 반해 후자는 개태사 창건과 관련해 후삼국통일을 이뤄준 佛德을 찬미하기 위한 목적을 지녔다. 그러다 보니까 후자는 자연 과장과 압축이 많을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개태사화엄법회소」에게 『고려사』와 등가치나 그 이상으로 의미를 부여하여 사료를 해석하는 것은 온당하지 않다. 요컨대 고려가 개태사 부지를 항복받는 장소로 정한 이유는 풍수지리적인 요인이 지대했다고 본다. 결과론적인 해석이기도 하겠지만 이곳의 天護山이라는 山名이 웅변하고 있다. 馬城 위치 구명의 관건이 되는 炭嶺은 황산군 즉 지금의 논산시 연산면 일대와 접한 지역에서 찾는 게 온당하였다. 그 결과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쑥고개로 비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살핀다면 마성은 완주군~전주 사이 구간에 소재한 게 된다. 고려군은 완주군과 접한 탄령을 넘어 후백제 國都인 全州로 추격하는 동선상에서 마성에 駐營하였기 때문이다. 馬城은 金馬城 혹은 金馬渚로 일컬어졌던 익산 지역을 가리킨다. 이곳에 소재한 馬城은 후백제의 멸망과 관련한 왕건의 建塔說話가 남아 있는 왕궁평성으로 비정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nal war site ending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was now in Illichun(一 利川), located in Gumi-city, Gyungsangbuk-do. At the Battle of Illichun, Later Baekje troops collapsed experiencing a fight among themselves. At this moment, Korye...

      The final war site ending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was now in Illichun(一 利川), located in Gumi-city, Gyungsangbuk-do. At the Battle of Illichun, Later Baekje troops collapsed experiencing a fight among themselves. At this moment, Koryeo reached to Whangsan(黃山) in hot pursuit of Later Baekje. When Koryeo troops were stationed in Maseong, Shingum(神劍) surrendered. This led to the end of 45 years history of Later Baekje. Later Three Kingdoms were unified at last. However, there are two opinions on the location of Maseong where Koryeo troops were stationed:the whole Whangsan area now in Nonsan of Chungcheongnam-do and Iksan or Wanju-gun of Jeollabuk-do. In the records of 「Goryosa」 and 「Gaetaesa-whaeombeophoeso」 which are related to previous wrong interpretations about location of Maseong, the latter mainly gave cause for the wrong interpretations. However, both are different in characters. The former is a history book but the latter was written for praising the virtue of Buddha who made the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related to Gaetaesa foundation. Accordingly, there were exaggerations and condensations in the latter. So it is inappropriate for 「Gaetaesa-whaeombeophoeso」 to give meanings or interpret historical documents as for 「Goryosa」. In short, the reason why Goryeo had decided Gaetaesa site as the place for inducing surrender might be due to geomantic theory. It would be interpretations based on the results, Cheonhosan, the name of mountain is showing. It was appropriate to find Tanryung(炭嶺), a key for investigating the location of Maseong, in Whangsan-gun which is now neighboring in Yeonsan-myun of Nonsan-city. As a result, it could have been designated in Ssukgogae, Unju-myun, Wanju-gun, Jeollabuk-do. In this context, Maseong should be located between Wanju-gun and Jeonju. Because Koryeo troops were stationed in Maseong, by passing over Tanryung, neighboring Wanju-gun, and on the moving line chasing to Jeonju, the capital of the Later Baekje. Maseong refers to Iksan region called Geummaseong(金馬城) or Geummajeo(金馬渚). Maseong was designated as Wangkungpyeong Castle where a tale about building a Wang Kun tower(建塔說話), regarding the collapse of Later Baekje, remai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