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정체감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욕구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3059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235.35 판사항(6)

      • DDC

        253.5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 77장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승민
        권말부록: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 진로 정체감 척도 ; 자기 결정성 검사
        참고문헌: 장 55-69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on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as well as, on sub-factor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ability. This study will provide appropriate and practical advice on counseling university students concerned about career path and aptitude.
      The research data was gathered through offline and online surveys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 254 sets of data was ultimately used to derive the study results. The survey data included questions that measured maternal control, career identity,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including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ability. The data was used to calculate for descriptive statistics quantit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bel test was conducted on the research material through Windows SPSS 18.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career identity, and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revealed that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on career identity and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including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ability.
      Second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verified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f university students and career identity on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including autonomy and competence. However,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relatability. Because, there was a lack of study conduct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relatability and career-related variable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research this furth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s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over university students on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The approach for this research is supported by personal external variables and personal internal variables considered in the previous study (Lent, Brown, & Hackett, 1994). Also, by confirming the effect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in development and career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showed notable differentiation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s identified (유혜경, 2004: Chang et al., 2003); leading to further detailed and comprehensive research.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extends to the actual process of counseling university students and the guidance it can provide. Hopefully, this research will bring insight into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interference, and restriction on upbringing and bring about change to promote and improve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for college students struggling to choose a career path.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on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as well as, on sub-factor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abi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on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as well as, on sub-factor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ability. This study will provide appropriate and practical advice on counseling university students concerned about career path and aptitude.
      The research data was gathered through offline and online surveys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 254 sets of data was ultimately used to derive the study results. The survey data included questions that measured maternal control, career identity,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including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ability. The data was used to calculate for descriptive statistics quantit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bel test was conducted on the research material through Windows SPSS 18.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career identity, and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revealed that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on career identity and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including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ability.
      Second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verified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f university students and career identity on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including autonomy and competence. However,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relatability. Because, there was a lack of study conduct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relatability and career-related variable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research this furth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s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over university students on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The approach for this research is supported by personal external variables and personal internal variables considered in the previous study (Lent, Brown, & Hackett, 1994). Also, by confirming the effect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in development and career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showed notable differentiation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s identified (유혜경, 2004: Chang et al., 2003); leading to further detailed and comprehensive research.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extends to the actual process of counseling university students and the guidance it can provide. Hopefully, this research will bring insight into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interference, and restriction on upbringing and bring about change to promote and improve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for college students struggling to choose a career pa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정체감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욕구와 하위요인으로서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각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결과는 진로 및 적성을 고민하는 대학생들을 상담할 때 보다 적절하고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대상 자료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편의표집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대학생 254부의 설문지가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설문에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진로정체감, 자기결정성욕구(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이 포함되어 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 Window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검정, 기술통계량 산출,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통제, 진로정체성, 자기결정성욕구 하위요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사이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적통제는 진로정체감,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통제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결정성욕구의 매개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결정성욕구의 하위요인 중 자율성, 유능감은 어머니의 심리적통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반면, 관계성에서는 심리적통제와 진로정체감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까지는 관계성과 진로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를 주제로 한 연구는 미진하기 때문에 세부사항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통제가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결정성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 있다. 이는 진로 연구의 접근방식으로 개인 외적 변인과 개인 내적 변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선행연구(Lent, Brown, & Hackett, 1994)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또한 어머니가 대학생 자녀의 진로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유혜경, 2004: Chang et al., 2003)으로 기존 연구를 좀 더 세밀화, 정교화 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제 대학생을 상대로 진로 상담하는 과정에서 줄 수 있는 의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개입, 통제 등이 타당한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자기결정성욕구의 촉진과 향상을 도와줄 수 있다면 진로를 고민하고 취업을 준비하는 많은 대학생들에게 새로운 통찰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정체감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욕구와 하위요인으로서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각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정체감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욕구와 하위요인으로서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각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결과는 진로 및 적성을 고민하는 대학생들을 상담할 때 보다 적절하고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대상 자료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편의표집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대학생 254부의 설문지가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설문에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진로정체감, 자기결정성욕구(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이 포함되어 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 Window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검정, 기술통계량 산출,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통제, 진로정체성, 자기결정성욕구 하위요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사이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적통제는 진로정체감,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통제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결정성욕구의 매개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결정성욕구의 하위요인 중 자율성, 유능감은 어머니의 심리적통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반면, 관계성에서는 심리적통제와 진로정체감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까지는 관계성과 진로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를 주제로 한 연구는 미진하기 때문에 세부사항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통제가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결정성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 있다. 이는 진로 연구의 접근방식으로 개인 외적 변인과 개인 내적 변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선행연구(Lent, Brown, & Hackett, 1994)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또한 어머니가 대학생 자녀의 진로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유혜경, 2004: Chang et al., 2003)으로 기존 연구를 좀 더 세밀화, 정교화 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제 대학생을 상대로 진로 상담하는 과정에서 줄 수 있는 의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개입, 통제 등이 타당한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자기결정성욕구의 촉진과 향상을 도와줄 수 있다면 진로를 고민하고 취업을 준비하는 많은 대학생들에게 새로운 통찰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ⅵ
      • 영문초록 ⅷ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국문초록 ⅵ
      • 영문초록 ⅷ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문제 6
      • 1.3 용어의 정의 7
      • 1.3.1 어머니의 심리적통제 7
      • 1.3.2 진로정체감 7
      • 1.3.3 자기결정성욕구 7
      • 제 2 장 이론적 배경 9
      • 2.1 어머니의 심리적통제 9
      • 2.1.1 심리적통제의 개념 및 특성 9
      • 2.2 진로정체감 13
      • 2.3 자기결정성욕구 15
      • 2.3.1 자율성의 개념 18
      • 2.3.2 유능감의 개념 19
      • 2.3.3 관계성의 개념 20
      • 2.4 변인들 간 선행연구 고찰 20
      • 2.4.1 어머니의 심리적통제와 자기결정성욕구 간의 관계 20
      • 2.4.2 어머니의 심리적통제와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 23
      • 2.4.3 자기결정성욕구과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 24
      • 2.4.4 심리적통제, 자기결정성욕구,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 25
      • 제 3 장 연구 방법 27
      • 3.1 연구대상 27
      • 3.2 측정도구 28
      • 3.2.1 심리적통제척도(PCS-YSR) 28
      • 3.2.2 진로정체감척도(MVS) 30
      • 3.2.3 자기결정성욕구척도(BPNS) 31
      • 3.3 분석방법 33
      • 제 4 장 연구결과 34
      • 4.1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와 기술통계 34
      • 4.2 남녀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심리적통제와
      • 자기결정성욕구,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차이 36
      • 4.3 어머니의 심리적통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욕구와
      • 하위변인과의 매개효과 검증 38
      • 4.3.1 어머니의 심리적통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 욕구의 매개효과 39
      • 4.3.2 어머니의 심리적통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 매개효과 41
      • 4.3.3 어머니의 심리적통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유능감의
      • 매개효과 43
      • 4.3.4 어머니의 심리적통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관계성의
      • 매개효과 45
      • 제 5 장 논의 및 제언 47
      • 5.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47
      • 5.2 연구결과 함의 및 제언 52
      • 참고문헌 55
      • 부 록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