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사 교육의 위치와 문학사 서술 방향 = The position of Korean literary history education for foreigners and the direction of describing literary histor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 present, the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for foreigners is viewed on the ground of language model, culture model, and personal growth model, which makes unclear understanding the aim of educating literary history. This happens when the general mo...

      At present, the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for foreigners is viewed on the ground of language model, culture model, and personal growth model, which makes unclear understanding the aim of educating literary history. This happens when the general model of literary education is applied unrevised to the position of literary history.
      It is overlooked that literary history is a writing that presents literary works and literary phenomena through a system. Literary history is different from language model as a system of knowledge. Reading literary works has to do with the ability to communicate but not with the aim of selective reading of literary works. Selective reading of literary works can be called the essence of literary education as the model of personal growth. For for foreigners, though, reading literary works also has some value as culture model. On the other hand, literary history has the aim to let the readers appreciate the value of literary works not as something separate but in the stream of Korean literary culture.
      Considering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educational system,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is likely to be simple memorization of knowledge because of the learners’ insufficient reading of literary works. So literary history texts need be designed to check knowledge on literary history through literary works. Likewise, the amount of work need be appropri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udy hours arranged in the educational system. For this, while we follow the existing chronological order, it is necessary to assign the amount of work that is sufficie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each period. Balance between classical and modern literature must be accounted for by checking the excess of the classical. Finally, considering the present situation where although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belongs to the study of language and literature, the focus of study is mainly on language education and scarcely on theories of literature, general theories of literature need be presented through reference. Such presentation of theories on literature can also be a way to provide for foreign students an access to Korean literature with a general viewpoi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외국인을 위한 문학사 교육은 언어모델, 문화모델, 개인의 성장 모델의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문학사 교육을 문학교육의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모델을 그대로 적용시...

      현재 외국인을 위한 문학사 교육은 언어모델, 문화모델, 개인의 성장 모델의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문학사 교육을 문학교육의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모델을 그대로 적용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문학사는 문학 작품과 문학 현상을 하나의 체계로 구성한 글쓰기라는 것을 간과한 것이다. 문학사은 지식의 체계로서 외국인에게 한국어의 의사소통 능력을 교육하는 언어모델과는 거리가 있다.
      문학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인 언어모델과 관련을 갖는 것은 한국문학 작품 강독이다. 하지만 학습자의 자국어로 된 한국문학 작품 선독은 의사소통능력보다는 개인의 성장이 학습 목표에 가깝다. 다음으로 문학교육에서 문화모델은 당대 문화와 삶의 이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적지 않다. 특히 외국인에게 한국문학 작품의 읽기는 작품에 담긴 한국문화의 이해라는 측면에서 가치가 크다. 문학사는 이러한 문화를 제공하지만 역사, 정치를 직접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 현상과 관련된 문학 문화라는 범위에서 제시한다. 문학사의 목표가 하나의 문학 작품을 한국 문학 문화의 흐름 속에서 이해하고 가치를 평가하는 안목을 갖게 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재 한국어문학과 학제에서 문학사 교육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첫째, 학습자가 한국문학사를 암기적 지식으로 받아들이는 일이다. 한국문학 작품의 독서 경험이 부족한 학습자는 문학사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학사는 문학 작품을 통해 문학사의 지식을 확인하는 과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 학제에서 문학사의 시수와 문학사 학습양의 어긋남이 크다. 문학사의 학습량을 감당하기에는 시수가 부족하다. 현 단계에서 시수를 늘이기가 쉽지 않은 만큼 시수를 고려해 학습량을 적절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한국문학사의 시기구분을 따르더라도 각 시기의 핵심적인 특성을 이해할 정도의 양만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며, 고전문학의 비중이 지나치게 늘어나는 것을 제어해 현대문학과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문학과가 어문학 학제이지만 문학론의 학습이 거의 없고 언어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진 현실을 고려해 보편적 문학이론을 이해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학이론을 통한 한국문학의 이해는 외국인 학습자가 보편적인 관점에서 한국문학을 접근하는 통로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홍주, "해외 한국학 교육기관에서의 한국문학교육 - 터키 에르지예스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8) : 275-294, 2011

      2 유홍주, "해외 대학 한국어학과의 한국문학 교수 방안 - 헝가리 엘테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91) : 135-158, 2012

      3 신윤경, "한국의 가치문화 교육과 문학 활용"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9) : 2011

      4 김정숙,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및 연계학문적 특성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39-59, 2012

      5 오지혜, "한국어교육에서 비교문학을 활용한 현대시 교육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31) : 551-588, 2010

      6 윤여탁, "한국어 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7 (7): 163-181, 2011

      7 김혜영, "한국어 교육에서 수준별 시 텍스트 선정을 위한 연구 -텍스트 위계화를 위한 변인에 대한 고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1-32, 2011

      8 황인교, "한국문화 및 한국문학 교육 연구" 이중언어학회 (47) : 553-589, 2011

      9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권" 지식산업사 1988

      10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4권" 지식산업사 1989

      1 유홍주, "해외 한국학 교육기관에서의 한국문학교육 - 터키 에르지예스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8) : 275-294, 2011

      2 유홍주, "해외 대학 한국어학과의 한국문학 교수 방안 - 헝가리 엘테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91) : 135-158, 2012

      3 신윤경, "한국의 가치문화 교육과 문학 활용"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9) : 2011

      4 김정숙,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및 연계학문적 특성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39-59, 2012

      5 오지혜, "한국어교육에서 비교문학을 활용한 현대시 교육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31) : 551-588, 2010

      6 윤여탁, "한국어 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7 (7): 163-181, 2011

      7 김혜영, "한국어 교육에서 수준별 시 텍스트 선정을 위한 연구 -텍스트 위계화를 위한 변인에 대한 고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1-32, 2011

      8 황인교, "한국문화 및 한국문학 교육 연구" 이중언어학회 (47) : 553-589, 2011

      9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권" 지식산업사 1988

      10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4권" 지식산업사 1989

      1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권" 지식산업사 1989

      1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권" 지식산업사 1989

      1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권" 지식산업사 1989

      14 송성헌, "한국문학사 기술 방법론 연구" 경희대학교 2002

      15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0

      16 박노자, "한국 문화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 (11):

      17 라영균, "포스트모더니즘의 역사 기술과 문학사 기술" 외국문학연구소 (37) : 111-130, 2010

      18 김성진, "지식교육으로서 문학사 교육의 위상" 1999

      19 김규진, "중국대학 내 한국어과 문학 관련 수업의 현황과 실제 ― 한국문학사를 중심으로 ―" 아시아문화연구소 25 : 181-205, 2012

      20 陳思和, "중국당대문학사" 문학동네 2008

      21 류만, "조선문학사 8" 사회과학출판사 1992

      22 박종호, "조선문학사 7"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 1990

      23 김하명, "조선문학사 6"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 1999

      24 김하명, "조선문학사 5"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 1994

      25 김하명, "조선문학사 4" 사회과학출판사 1992

      26 김하명, "조선문학사 3" 사회과학출판사 1991

      27 정홍교, "조선문학사 2"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4

      28 정홍교, "조선문학사 1" 사회과학출판사 1991

      29 남연, "인성 함양 및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한국 문학 교육 연구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35) : 255-290, 2011

      30 주옥파,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 교육에 대한 반성- 한국학 지향 중국 대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20) : 499-521, 2004

      31 하채현,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학교육의 한 방법 -해외 한국 문학교육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6 (6): 311-331, 2010

      32 배규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사 교육의 전개 방향" 한국중원언어학회 (17) : 71-94, 2010

      33 윤혜준, "영어권 독자와 한국문학사: 피터 리의 『한국문학사』의 성취와 과제" 세계문학비교학회 (27) : 87-109, 2009

      34 우신영, "문화사적 접근을 통한 교육용 문학사 서술 시론"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101-126, 2011

      35 김수진, "문학작품을 활용한 한국언어문화교육 연구 -맥락 활성화에 기반한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31-58, 2009

      36 노진한, "문학사의 문학교육적 의의 연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97) : 1998

      37 정재찬, "문학사교육의 현상과 인식" 민족문학사학회 (43) : 31-60, 2010

      38 노철, "문학사 기술 방법과 문학사 교육의 방향" 현대문학이론학회 (48) : 301-324, 2012

      39 김정숙, "문학사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2)"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14 : 2002

      40 임화문학예술전집편찬위원회, "문학사" 소명출판 2009

      41 윤여탁, "문학교육과 한국어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6-152, 2003

      42 우한용, "문학교육과 장르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15 (15): 1988

      43 이윤성, "문학, 문학사, 그리고 폴 드만 개인의 역사"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9 : 2005

      44 김해옥, "문학 정전을 통한 한국 문화 및 한국학 교수 방안에 대한 연구 -『사랑손님과 어머니』와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나타난 관점 문화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91-114, 2012

      45 박윤우, "문학 교재 구성에서 문학사 교육의 재인식" 우리말글학회 44 : 141-164, 2008

      46 송명희, "몽골 대학의 한국문학교육 연구"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3 : 75-110, 2010

      47 최인나,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그 국립대학교의 한국어 문학 교육의 현황과 전망"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3 : 45-73, 2010

      48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국어"

      49 고미숙, "고전문학사 시대구분에 관한 몇 가지 제언, In 한국문학사 어떻게 쓸 것인가" 한길사 2001

      50 이숭원, "고등학교 문학 Ⅱ" 신사고 2012

      51 정재찬, "고등학교 문학 Ⅱ" 천재교과서 2012

      52 윤석산, "고등학교 문학 Ⅱ" ㈜ 교학도서 2012

      53 김재영, "고등학교 문학 2" 창비 2012

      54 김윤식, "고등학교 문학 2" 천재교육 2012

      55 R. Carter, "Teaching Literature" 1991

      56 Showalter, Elaine, "Teaching Literature" Balackwell Publishing Ltd 2003

      57 陳思和, "20세기 중국문학의 이해" 청년사 1995

      58 배규범, "(외국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하우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1 0.88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