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기부적응도식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료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Depre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16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ssumed that depression would be better predicted when both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self-concept clarity are considered. Under such assumption,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or not self-concept clarity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

      This study assumed that depression would be better predicted when both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self-concept clarity are considered. Under such assumption,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or not self-concept clarity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depress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ministered the early maladaptive schema scale, self-concept clarity scale and Korean-version of depressive symptom checklist to 231 undergraduate student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self-concept clarity mediates the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 on depression. In particular, self-concept clarity fully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the abandonment anxiety which is a sub-factor of early maladaptive schema.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unseling with identification of major early maladaptive schema as the cause for the depression as well as the change in the intra-psychological frame such as enhancing self-concept clarity may help in psychological health in the counseling with the undergraduate students who complains depres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심리내적인 틀인 초기부적응도식과 자기개념명료성을 함께 고려할 때 우울을 더 잘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기부적응도...

      본 연구에서는 심리내적인 틀인 초기부적응도식과 자기개념명료성을 함께 고려할 때 우울을 더 잘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기부적응도식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료성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초기부적응도식 척도, 자기개념명료성 척도 및 한국판 우울증상 질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31명의 자료에 대하여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초기부적응도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명료성이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초기부적응도식의 하위요인 중 유기불안정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료성이 완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울한 대학생들을 상담할 때, 우울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주요 초기부적응도식을 찾아 상담해줄 뿐만 아니라 자기개념명료성을 높여주는 심리내적인 틀의 변화를 통해 심리적인 건강을 도와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학지사 2003

      2 전겸구, "한국판 CES-D 개발연구" 11 (11): 65-76, 1992

      3 金大翼, "한국인의 자아개념 명료성에 대한 연구 : 성격,자의식,행동의 관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1998

      4 조맹제, "한국 정신장애의 역학 조사 연구(I) : 각 정신장애의 유병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3 (43): 470-480, 2004

      5 전겸구,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6 (6): 59-76, 2001

      6 김지연, "초기부적응도식, 외로움, 우울증상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2007

      7 조성호, "초기 부적응 도식과 심리적 부적응"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775-788, 2002

      8 이미열, "청소년기 애착과 우울증과의 관계 :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2006

      9 유고은, "지각된 모의 양육행동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관계 : 애착 안정성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2011

      10 이영웅, "정서적 학대경험, 부정적 자기개념, 수치심이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2011

      11 강일선, "자기애와 자기 개념의 명확성이 분노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2005

      12 권혁희, "우울에 있어서의 부정적,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 인지 균형과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3 (3): 305-321, 2002

      13 이서경, "어머니의 자기대상욕구와 양육효능감 및 자녀의 대인관계" 아주대학교 2010

      14 반건호, "애착이론과 정신분석" 도서출판 빈센트 2005

      15 김민동, "애착유형과 자기개념, 우울 및 불안과의 관련성 : 일반청소년 집단과 재소중인 비행청소년 집단과의 비교" 성신여자대학교 2003

      16 주애란, "아동의 부모애착, 자기개념 및 불안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2012

      17 김은정, "아동기 외상과 초기성인기 우울수준과의 관계 : 초기부적응도식과 정서표현 양가성 및 회피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2010

      18 김은정, "부적응 도식을 매개로 한 초기 부모 애착과 경계선 성격 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2005

      19 이윤희, "방임적 부모양육태도와 내현적자기애의 관계 : 자기개념명료성과 정서적 단절도식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2012

      20 백승진,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명확성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2008

      21 이주영, "대학생의 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학회 13 (13): 819-838, 2012

      22 김지윤,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학회 14 (14): 63-82, 2013

      23 노명선, "대학생들의 우울장애에 관현 연구 : 유병율, 위험요인, 자살행동 및 기능장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5 (45): 432-437, 2006

      24 임종렬, "대상관계이론과 가족치료" 신한 1997

      25 Baumgardner, A. H., "To know oneself is to like one self: Self-certainty and self-esteem"

      26 Campbell, J. D., "The structure of the self-concept and its relation to psychologial adjustment" 71 : 115-140, 2003

      27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r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28 Stopa, L., "The effect of mood on responses to the Young Schema Questionnaire: Short form" 78 (78): 45-57, 2005

      29 Radloff, L. S.,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1 : 385-401, 1977

      30 Pyszcznski, T., "Self-regulatory preservation and the depressive self-focusing style : A self-awareness theory of reactive depression" 201 : 122-138, 1987

      31 Campbell, J. D., "Self-esteem and clarity of the self-concept" 59 : 538-549, 1990

      32 Campbell, J. D., "Self-concept clarity : Measurement, personality correlates, and cultural boundaries" 70 : 141-156, 1996

      33 Wu, J., "Self-concept clarity : A longitudinal study of Hong Kong adolescents" 48 (48): 277-282, 2010

      34 Linville, P. W., "Self-complexity and affective extremity : Don't put all of your eggs in one cognitive basket" 3 : 94-120, 1985

      35 Clark, D. A., "Scientific foundations of cognitive theory and therapy of depression" Wiley 1999

      36 Young, J. E., "Schema therapy a practitioner's guide" Guilford Press 2003

      37 Brown, J. D., "Role of self-concept certainly in buffering the adverse impact of stressful life events"

      38 Winnicott, D. W., "Playing and reality" Tavistock & Routedge 1992

      39 Combs, A. W., "Perceptual psychology: A humanistic approach to the study of persons" Harper & Row Publishers 1976

      40 Harris, A., "Parental perceptions,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depressive symptoms in young adults" 26 : 405-416, 2002

      41 Briere, J., "Multivariate correlates of childhood psychological and physical maltreatment among university women" 14 : 357-364, 1988

      42 Rose, D. T., "Developmental predictor of depressive cognitive style : Research and theory" 4 : 323-349, 1992

      43 Showers, C., "Compartmentalization of postive and negative self-knowledge : Keeping bad apples out of bunch" 62 : 1036-1049, 1992

      44 Young, J. E., "Cognitive therapy of personality disorder: A schema-focused approach Sarasota" Professional Resource Press 1990

      45 Beck, A. T.,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76

      46 Musson, R. E., "Cognitive processes in depression" Guilford 1988

      47 Campbell, J. D., "Cognitive and emotional reactions to daily event :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complexity" 59 : 473-505, 1991

      48 Gibb, B. E., "Childhood maltreatment and negative cognitive style :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view" 22 (22): 223-246, 2002

      49 Tayor, S. E., "Attributions, beliefs about control, and adjustment to breast cancer" 46 : 489-502, 1984

      50 Bowlby, J., "Attachment and loss: Seperation, anxiety and depression" Basic Books 1980

      51 Harter, S.,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Havard University Press 1990

      52 Weissman, M. M., "Assessing depressive symptoms in five psychiatric population : A validation study" 106 : 203-211, 1976

      53 Tayor, S. E., "Adjustment to threatening events : A theory of cognitive adaptation" 38 : 1161-1173,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