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출산장려금 지급수준과 출산율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aby bonus and fertility ra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845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출산장려금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고안한 대표적인 정책 중 하나이다. 출산장려금은 2002년 전라남도 함평군과 충청남도 논산시에서 도입된 이후 지속적으로 확대되었...

      출산장려금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고안한 대표적인 정책 중 하나이다. 출산장려금은 2002년 전라남도 함평군과 충청남도 논산시에서 도입된 이후 지속적으로 확대되었으며 출산장려금의 지급수준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출산장려금의 확대 및 효과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출산율과 출산장려금수준의 상호 관계는 고려되지 않았다. 출산장려정책의 정책목표인 출산율과 출생아 증가율은 정책을 도입할 때 환경적 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출산장려금의 수혜집단의 크기와 연관되므로 정치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출산율과 출산장려금수준이 상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양자의 관계를 동시방정식 모형(Simultaneous Equation Model)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1인당 출산장려금이 출산율과 출생아 증가율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출산율과 출생아 증가율이 1인당 출산장려금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은 통계적으로 여전히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출산장려금이 정책효과와 관계없이 정치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향후 사회복지정책 평가에 있어 정책목표의 내생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aby bonus” is a representative policy in Korea that aims to reverse fertility rate decline.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baby bonus policy, these have not considered that the baby bonus and the fertilit...

      The “baby bonus” is a representative policy in Korea that aims to reverse fertility rate decline.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baby bonus policy, these have not considered that the baby bonus and the fertility rate can have a simultaneous, reciprocal effect on each other. We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by bonus and the fertility rate using a simultaneous equation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fertility rate significantly affects the baby bonus, but the opposite is not true. This study implies that as the number of beneficiaries increases the baby bonus regardless of quantitative efficacy and asserts that considering the potential endogeneity of policy goals is essential in evaluating the effects of social welfare polic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명석,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금정책 효과분석" 한국행정연구원 21 (21): 149-174, 2012

      2 이석환, "한국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정책의 효과 평가" 한국지방자치학회 26 (26): 23-51, 2014

      3 이석환, "한국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정책의 수평적・수직적 확산" 한국행정학회 47 (47): 329-359, 2013

      4 "통계청(KOSIS)"

      5 배상석, "출산장려금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19 (19): 273-298, 2010

      6 정호용, "출산장려금의 출생률 제고효과 분석: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29 (29): 23-46, 2020

      7 석호원, "출산장려금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5 (25): 143-180, 2011

      8 김승연, "지방정부의 정부 간 관계가 기초지방정부의 사회복지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207-231, 2011

      9 최재녕, "지방정부의 재정능력과 복지재정지출 결정요인 연구: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9 (9): 451-474, 2005

      10 윤영진, "지방정부 예산구조 하에서의사회복지 재정범위에 관한 논고[ Abstract ]" 한국지방재정학회 11 (11): 2006

      1 이명석,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금정책 효과분석" 한국행정연구원 21 (21): 149-174, 2012

      2 이석환, "한국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정책의 효과 평가" 한국지방자치학회 26 (26): 23-51, 2014

      3 이석환, "한국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정책의 수평적・수직적 확산" 한국행정학회 47 (47): 329-359, 2013

      4 "통계청(KOSIS)"

      5 배상석, "출산장려금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19 (19): 273-298, 2010

      6 정호용, "출산장려금의 출생률 제고효과 분석: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29 (29): 23-46, 2020

      7 석호원, "출산장려금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5 (25): 143-180, 2011

      8 김승연, "지방정부의 정부 간 관계가 기초지방정부의 사회복지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207-231, 2011

      9 최재녕, "지방정부의 재정능력과 복지재정지출 결정요인 연구: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9 (9): 451-474, 2005

      10 윤영진, "지방정부 예산구조 하에서의사회복지 재정범위에 관한 논고[ Abstract ]" 한국지방재정학회 11 (11): 2006

      11 "지방재정365"

      12 이승종, "지방자치와 지방정부의 복지정책정향" 한국행정학회 34 (34): 197-215, 2000

      13 홍성란,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금 지원정책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지방자치학회 20 (20): 1-24, 2018

      14 이미애, "지방자치단체 복지재정 지출결정요인과 지출효과간의 관계: 재정 지출구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9 (19): 33-55, 2015

      15 박지영, "지방의회 여성의원이 여성친화적 정책도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출산장려금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7 (27): 289-316, 2013

      16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7 대한민국 정부, "제3차 저출산, 고령사회기본계획(2016-2020)"

      18 김지영, "정치구조 및 계층구조가 지방자치단체의출산장려금 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325-343, 2017

      19 김민곤, "저출산 정책으로써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소 30 (30): 163-190, 2016

      20 "보건복지부"

      21 Wildavsky, A., "The Politics of the Budgetary Process" Little, Brown 216-, 1964

      22 Milligan, K., "Quebec’s Baby Bonus: Can Public Policy Raise Fertility?" C. D. Howe Institute 2002

      23 D’Addio, A., "Policies, Institutions and Fertility Rates: A Panel Data Analysis for OECD Countries" 41 : 7-43, 2005

      24 Chen, Daniel L., "Can Countries Reverse Fertility Decline? Evidence from France's marriage and baby bonus, 1929-1981" 18 (18): 253-272, 1929

      25 Haan, P., "Can Child Care Policy Encourage Employment and Fertility? Evidence from a structural model" 18 : 498-512, 2011

      26 Becker, G., "An Economic Analysis of Fertility. Demographic and Economic Change in Developed Countries, Princeton" NBER 19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2 1.82 1.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8 2.13 2.164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