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18세기를 유년기가 발견된 세기라고 하거니와 이 시대는 또한 모성이 발견된 때이다. 이 시기에 여러 학문 영역에서 형성된 담론들은 “역사적으로 새로운 어머니”를 구성해 내었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157057
200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23-262(4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흔히 18세기를 유년기가 발견된 세기라고 하거니와 이 시대는 또한 모성이 발견된 때이다. 이 시기에 여러 학문 영역에서 형성된 담론들은 “역사적으로 새로운 어머니”를 구성해 내었다. ...
흔히 18세기를 유년기가 발견된 세기라고 하거니와 이 시대는 또한 모성이 발견된 때이다. 이 시기에 여러 학문 영역에서 형성된 담론들은 “역사적으로 새로운 어머니”를 구성해 내었다. 모성애는 이후 서구 시민 사회 핵가족에서 오늘까지 유효한 문화적 규범으로 자리잡았다. 18세기 모성 담론의 대부라고 해야 할 루소는 모성애에 도덕적인 가치와 사회적인 의미를 부여하였으며 어머니에게 유아 교육이라는 중차대한 임무를 맡긴다. 「에밀」이 예시하듯이 18세기 모성 담론은 어머니를 핵가족의 중심 인물로 만든다. 그러나 “새로운 어머니”한테는 언어가 결여되었으며, 언어로 대표되는 상징 질서 속에서 재현되지 않는다. 본 논문은 이 문제를 모성 담론에 부재하는 어머니, 혹은 모성 담론 속에 ‘배어 있는’ 어머니의 위치로 파악한다.
모성은 예찬되는데 어머니는 사라지는 담론의 작동 방식은 20세기 정신분석학에서 분석되고 해석된다. 본 논문은 정신분석이 안고 있는 양가적 입장에 주목한다. 정신분석은 어머니의 위치가 비어 있는 모성 담론을 이론화하며 때로는 공고화시킨다. 어머니로부터의 분리는 프로이트 이래 여성의 자아 정체성 형성을 위한 결정적이며 돌이킬 수 없는 걸음으로 평가되는데 이는 역사적 모성 담론 속 어머니의 부재에 상응하는 정신분석 담론의 성장 모델로서 파악된다. 다른 한편 페미니즘적 관점에 선 정신분석은 전통적 정신분석이 담론화한 모성을 비판하며 여성의 정체성 형성과 모성의 관계를 새롭게 조망한다. 벤자민(J. Benjamin), 로데 다흐저(Ch. Rohde-Dachser), 이리가레이(L. Ingaray), 루이자 무라로(L Muraro) 등은 18세기 이래 지속되어 온 서구 시민 사회의 모성 담론의 구조와 법칙을 해체하면서 다른 질서를 모색한다. 그들이 쓰는 어머니와 딸의 관계, 특히 여성이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어머니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 고민한 페미니즘적 정신분석의 문제 제기와 방향 제시는 한국 내 페미니즘적 모성 담론 연구를 위해 새로운 접근 방법을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