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청각장애 학생 영어교육 실태 = A Study on the English Education for Deaf and Hard-of-Hearing Students in Korea and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79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청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영어교육의 논문을 비교·분석하여 양국의 영어교육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 준거에 부합하는 한국 ...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청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영어교육의 논문을 비교·분석하여 양국의 영어교육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 준거에 부합하는 한국 논문 10편, 일본 논문 20편을 채택하여 영어 수업의 실태, 청각장애 학생 영어 능력, 교육방법 적용의 세 가지 주제를 범주별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어 수업의 실태는 양국 모두 교수·학습 방법의 부족, 교재 부족, 교사의 영어 전문성 부족, 연수 부족 등의 어려움을 비슷하게 나타냈지만, 일본의 연구가 대상 폭이 넓고 내용이 세분화되어 있음이 드러났다. 청각장애 학생의 영어 능력은 실험연구를 통한 단어 수준의 연구나 발화에 대한 음향적 분석이 대부분이며, 교육방법의 적용은 미국 수어나 큐드 스피치의 도입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청각장애 학생 영어교육은 연구 대상의 확대, 공적 영어시험 대응, 교과 내용적 측면의 분석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국 모두 청각장애 학생의 주요 의사소통 양식이나 교육환경을 고려하여 통합교육 환경에 있는 학생들의 연구도 필요하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s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by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search papers dealing with English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af and hard-of-hearing. To this end, 10 Korean pa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s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by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search papers dealing with English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af and hard-of-hearing. To this end, 10 Korean papers and 20 Japanese papers that me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dividing three categories, such as the status of English classes, English ability of students with deaf and hard-of-hearing,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methods. In the current state of the English class in both country, difficulties such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ack of teaching materials, lack of professionalism in English, lack of training and so on were similar.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Japanese education had a wider target age and subdivided contents than Korea education. In terms of the students English ability, most of researches performed in both countries were experimental word-level research or acoustic analysis of speech. For the application of the teaching method, the researches in both countries suggested the introduction of American sign language or cued speech. Conclusively, it was found that English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af and hard-of-hearing in Korea needs to be expanded in terms of research age, to deal with public English tests, and to analyze the subdivided subject contents. For both countries, researches regarding major communication mod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re needed for better understanding on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of English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af and hard-of-hear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정숙, "한일 특수교육사 연구 경향 비교 분석: 2000년 이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223-257, 2019

      2 조경희, "특수학교 초등부 영어교육의 실태조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 장현숙, "통합교육 환경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청각행동특성" 한국통합교육학회 11 (11): 167-186, 2016

      4 이근민, "청각장애학생의 영어 발성 주파수별 특징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5 (25): 819-828, 2014

      5 박정희, "청각장애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적정성 분석"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6 이수연, "청각장애 특수학교 초등부의 영어교과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45-164, 2007

      7 김희영, "청각장애 특수학교 중학부 영어 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김현숙, "청각장애 특수학교 영어교육 및 보조 도구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27-47, 2014

      9 김혜정,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청각장애학교 중학부 영어교육 실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91-117, 2006

      10 한은희, "영어 큐드 스피치(Cued Speech)를 활용한 영어교사 훈련방안 탐색: 청각 장애인 영어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6 (16): 85-103, 2017

      1 홍정숙, "한일 특수교육사 연구 경향 비교 분석: 2000년 이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223-257, 2019

      2 조경희, "특수학교 초등부 영어교육의 실태조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 장현숙, "통합교육 환경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청각행동특성" 한국통합교육학회 11 (11): 167-186, 2016

      4 이근민, "청각장애학생의 영어 발성 주파수별 특징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5 (25): 819-828, 2014

      5 박정희, "청각장애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적정성 분석"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6 이수연, "청각장애 특수학교 초등부의 영어교과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45-164, 2007

      7 김희영, "청각장애 특수학교 중학부 영어 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김현숙, "청각장애 특수학교 영어교육 및 보조 도구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27-47, 2014

      9 김혜정,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청각장애학교 중학부 영어교육 실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91-117, 2006

      10 한은희, "영어 큐드 스피치(Cued Speech)를 활용한 영어교사 훈련방안 탐색: 청각 장애인 영어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6 (16): 85-103, 2017

      11 임정완, "시각 및 청각 대학생의 영어어휘력 조사"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8 (8): 121-143, 2009

      12 성기록, "미국수화 사용 영어수업이 청각장애 초등부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389-407, 2010

      13 이효자, "대학에서의 교수․학습지원권에 대한 장애 대학생의 인식 조사 -시각․청각․지체장애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통합교육학회 6 (6): 25-43, 2011

      14 김태강, "광주·전남지역 특수학교 초등특수교사들의 교과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통합교육학회 10 (10): 79-102, 2015

      15 松藤みどり, "英語聴解問題における聴覚障害者に対する措置その 2 実用英語技能検定の場合" 8 : 87-91, 2001

      16 松藤みどり, "英語聴解問題における聴覚障害者に対する措置その 1 : 公立高等学校入学試験の場合" 6 : 125-129, 1999

      17 古田弘子, "聾学校における外国語指導助手(ALT)の活用の目的と課題" 43 (43): 25-35, 2014

      18 田邊達雄, "聴覚障害生への英語教員に求められる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手段について : 聾学校中学部及び中学校難聴学級の英語教員へのアンケート調査を中心に" 28 (28): 31-40, 2005

      19 眞田里佐, "聴覚障害学生の英語語彙学習方略に関する研究" 43 (43): 1-14, 2014

      20 寺田理紗, "聴覚障害学生の英語教育の課題に関する文献的検討" 13 : 147-151, 2017

      21 上原景子, "聴覚障害学生の英語学習支援と アメリカ手話に関する一考察" 67 : 95-105, 2018

      22 浦田留衣, "聴覚障害学生の英語学習支援 : 日本語, 日本手話, 英語, アメリカ手話の言語学的観点から" 68 : 79-95, 2019

      23 寺田理紗, "聴覚障害学生の英語学習に対する意識と大学の英語講義への教育的ニ-ズに関する研究" 14 : 49-57, 2018

      24 濱田豊彦, "聴覚障害児の読書力と英語の学習効果に関する一研究" 59 : 379-385, 2008

      25 喜屋武睦, "聴覚障害児の英語発話における韻律情報の活用 : 平叙文・疑問文を用いての検討" 45 (45): 1-9, 2016

      26 山澤萌, "特別支援学校(聴覚障害)小学部における外国語活動に関する調査研究" 12 : 57-67, 2016

      27 林田真志, "特別支援学校(聴覚障害)小学部における外国語活動に関する調査研究" 10 : 7-13, 2012

      28 金恩河, "特別支援学校(聴覚障害)の英語指導における困難点と指導上の工夫" 36 : 121-134, 2012

      29 松藤みどり, "公立高等学校入学試験における英語および国語の聴覚障害者に対する措置" 24 : 22-26, 2017

      30 井上由香, "一難聴生徒に対する英単語読みの指導(2)指導過程の概要" 16 : 83-92, 2018

      31 谷本忠明, "一難聴生徒に対する英単語読みの指導(1)指導のための規則と単語の選定" (16) : 73-81, 2018

      32 細野昌子, "一般大学に学ぶ聴覚障害者の英語受講時の情報保障に関するアンケート調査─ 英語科目の支援体制および学生の自主性からみた選択肢の広がり─" 22 (22): 27-34, 2014

      33 細野昌子, "一般大学に学ぶ聴覚障害者の英語受講時の情報保障に関するアンケート調査─ 英語科目の受講状況と読解(Reading)における情報保障の実態─" 20 : 1-6, 2012

      34 細野昌子, "一般大学に学ぶ聴覚障害者の英語受講時の情報保障に関するアンケート調査-"読解"と"英会話"科目における情報保障支援の比較とその有効性" 21 (21): 90-96, 2013

      35 Kontra, E. H., "The foreign-language learning situation of Deaf adults: An overview" 1 (1): 35-42, 2017

      36 안성우, "The Comparison of English Phonological Awareness, Morphological Awareness, and Silent Word Reading Flu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nd without Hearing Impairment"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333-350, 2018

      37 Domagała-Zyśk, E., "Strategies of oral communication of deaf and hard-of-hearing(D/HH)non-native English users" 34 (34): 156-171, 2019

      38 이근민, "SVM 기법에 기초한 청각장애인의 영어모음 발음을 위한 음성 인식 및 입술형태 특징 추출" 한국재활복지공학회 11 (11): 247-252, 2017

      39 Haran B., "Ksztalcenie studcntdw niepelnosprawnych w zakresie Jrzykdw obcych" Wydawnicrwo Akademii Podlaskiej 93-106, 2005

      40 Gulati, B.,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persons in Europe" Wydawnicrwo KUL 197-206, 2013

      41 Pritchard, P.,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persons in Europe" Wydawnicnvo KUL 113-134, 2013

      42 Nabialek, A.,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for DHH persons in Europe" Wydawnicrwo KUL 197-206, 2013

      43 한경임, "An Acoustic Analysis of English Vowels Produced by Hearing-Impairedand Normal-Hearing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한국언어치료학회 23 (23): 121-133,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7 1.39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