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대석, "한국 신화의 연구" 집문당 2002
2 이유진, "중국신화의 역사화와 윤리화" 중국어문학연구회 (27) : 551-572, 2004
3 李有鎭, "중국신화의 역사화와 大一統의 욕망" 중국어문학연구회 25 : 485-508, 2003
4 이유진, "중국신화의 역사화에 대한 시론" 중국어문학연구회 (20) : 2002
5 원재린, "조선후기의 정치와 사상 ; 영, 정조대 성호학파(星湖學派)의 학풍과 정치 지향"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11 : 2001
6 김영심, "조선후기 정통론의 수용과 그 변화 - 수산 이종휘의 ≪동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6 : 2000
7 윤재환, "조선조 지식인들의 신라인식과 시적 형상화" 근역한문학회 31 : 85-118, 2010
8 강병수, "조선 후기 성호학파의 단군조선 인식 - 『성호사설』ㆍ『동사강목』 기사를 중심으로 -" 국학연구원 2 : 125-163, 2007
9 박인호, "전통시대의 신라인식" 역사교육학회 (40) : 319-353, 2008
10 이광수, "인도사에서 종교와 역사 만들기" 산지니 2006
1 서대석, "한국 신화의 연구" 집문당 2002
2 이유진, "중국신화의 역사화와 윤리화" 중국어문학연구회 (27) : 551-572, 2004
3 李有鎭, "중국신화의 역사화와 大一統의 욕망" 중국어문학연구회 25 : 485-508, 2003
4 이유진, "중국신화의 역사화에 대한 시론" 중국어문학연구회 (20) : 2002
5 원재린, "조선후기의 정치와 사상 ; 영, 정조대 성호학파(星湖學派)의 학풍과 정치 지향"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11 : 2001
6 김영심, "조선후기 정통론의 수용과 그 변화 - 수산 이종휘의 ≪동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6 : 2000
7 윤재환, "조선조 지식인들의 신라인식과 시적 형상화" 근역한문학회 31 : 85-118, 2010
8 강병수, "조선 후기 성호학파의 단군조선 인식 - 『성호사설』ㆍ『동사강목』 기사를 중심으로 -" 국학연구원 2 : 125-163, 2007
9 박인호, "전통시대의 신라인식" 역사교육학회 (40) : 319-353, 2008
10 이광수, "인도사에서 종교와 역사 만들기" 산지니 2006
11 임태홍, "유교가 한국 건국신화에 미친 영향" 한국유교학회 29 (29): 269-301, 2007
12 정약용, "아방강역고" 현대실학사 2001
13 이도흠, "신화/탈신화와 우리"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9
14 브루스 링컨, "신화 이론화하기" 이학사 2009
15 베네딕트 앤더슨, "상상의 공동체" 나남출판 2002
16 장문석, "만들어진 전통" 휴머니스트 2004
17 정재훈, "동사" 소명출판 2004
18 李有鎭, "끊임없는 담론-신화의 역사화, 역사의 신화화" 중국어문학연구회 24 : 517-546, 2003
19 서거정, "국역 동국통감"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1996
20 한영우, "1910년대의 민족주의적 역사서술"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6 : 1980
21 허태용, "17세기 후반 正統論의 강화와 『資治通鑑節要』의 보급" 한국사학사학회 (3) : 5-40, 2001
22 허태용, "17세기 중?후반 중화회복의식의 전개와 역사인식의 변화" 한국사연구회 (134) : 75-109,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