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세기 말 일본인의 조선여행 관련 기록물 연구 - 1894년 출판 조선여행기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538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f Japanese Chosun travel esseys in late 19 century Moon, Soon-Hee In the studies of modern times Japanese travel essays, imperialistic viewpoints are generally dominating the logics which are contempt of Chosun, justification of colonial admi...

      A study of Japanese Chosun travel esseys in late 19 century Moon, Soon-Hee In the studies of modern times Japanese travel essays, imperialistic viewpoints are generally dominating the logics which are contempt of Chosun, justification of colonial administration and emphasis of backwardness of Chosun. In these times, travel essays written by Japanese could not free from these conclusions. However, it is worthwhile to find the traces how these historical records which were based on imperialistic viewpoints were produced and how these symbolized images of Chosun were expansively reproduced. The importance of materials in late 19 century is here.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Japanese publications of Chosun travel related books in late 19th century and travel circumstances at that time through travele ssays which were published in1894. When we see the Japanese publications of Chosun travel essays which were currently verified after opening the port, we can see publications of Chosun related books were rapidly increasing after Sino-Japanese war and Russo-Japanese war in the year of 1894, 1904, 1906 and 1910 and the big incident of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social backgrounds of rapid increase of Chosun travel essays, first, there were increasing sailing people to Chosun since 1880 and a foreign concession of Japanese residents were located in Chosun in 1890, and the second was Sino-Japanese war. The authors of travel essays which were published at that time were teachers, ordinary citizens, reporters and Buddhists and the contents were composed of introduction of Chosun and necessary informations for travel even though their majors and interests were different in their subjects. But, in travel essays at those times, we can tell that an overall symbol of Chosun was not established and different imperialistic viewpoints have existed between the authors under the influences of those times and outside of such influen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19세기 말 일본인의 조선 여행 관련 기록물 간행과 사회적 관계
      • Ⅲ. 1894년 발간 조선여행기록물의 저자와 내용
      • Ⅳ. 19세기 말 일본인의 조선 여행 사정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19세기 말 일본인의 조선 여행 관련 기록물 간행과 사회적 관계
      • Ⅲ. 1894년 발간 조선여행기록물의 저자와 내용
      • Ⅳ. 19세기 말 일본인의 조선 여행 사정
      • Ⅴ. 결론
      • 참고문헌
      • 논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기재, "조선여행에 떠도는 제국" 소명출판 2011

      2 박광현, "재조일본인의 ‘재경성(在京城) 의식’과 ‘경성’ 표상 -‘한일합방’ 전후시기를 중심으로-" 상허학회 29 : 41-80, 2010

      3 이규수, "일본인의 조선여행기록에 비친 조선의 표상 -『大役小志』를 중심으로-" 대구사학회 99 : 1-30, 2010

      4 허경진, "일본 시인 이시바타 사다(石幡貞)의 눈에 비친 19세기 부산의 모습" 인문과학연구소 15 (15): 49-71, 2010

      5 박찬승, "여행의 발견 타자의 표상" 민속원 2010

      6 박찬승, "서울의 일본인 거류지 형성 과정 - 1880년대~1903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62) : 3-100, 2002

      7 윤소영, "러일전쟁 전후 일본인의 조선여행기록물에 보이는 조선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1) : 49-94, 2007

      8 堀内松治郎, "鶏林紀遊" 須原屋茂兵衛 1894

      9 Alain Corbin, "風景と人間 (L'Homme dans le payssage)" 藤原書店 2002

      10 神崎宜武, "江戸の旅文化" 岩波新書 2004

      1 서기재, "조선여행에 떠도는 제국" 소명출판 2011

      2 박광현, "재조일본인의 ‘재경성(在京城) 의식’과 ‘경성’ 표상 -‘한일합방’ 전후시기를 중심으로-" 상허학회 29 : 41-80, 2010

      3 이규수, "일본인의 조선여행기록에 비친 조선의 표상 -『大役小志』를 중심으로-" 대구사학회 99 : 1-30, 2010

      4 허경진, "일본 시인 이시바타 사다(石幡貞)의 눈에 비친 19세기 부산의 모습" 인문과학연구소 15 (15): 49-71, 2010

      5 박찬승, "여행의 발견 타자의 표상" 민속원 2010

      6 박찬승, "서울의 일본인 거류지 형성 과정 - 1880년대~1903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62) : 3-100, 2002

      7 윤소영, "러일전쟁 전후 일본인의 조선여행기록물에 보이는 조선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1) : 49-94, 2007

      8 堀内松治郎, "鶏林紀遊" 須原屋茂兵衛 1894

      9 Alain Corbin, "風景と人間 (L'Homme dans le payssage)" 藤原書店 2002

      10 神崎宜武, "江戸の旅文化" 岩波新書 2004

      11 如囚居士, "朝鮮雑記" 荀祥堂 1894

      12 矢津昌永, "朝鮮西伯利紀行" 丸善 1894

      13 鈴木信仁, "朝鮮紀聞" 愛善社 1885

      14 鈴木信仁, "朝鮮紀聞" 博文館 1894

      15 林武一, "朝鮮案内" 東京築地活版製造書 1891

      16 柵瀬軍之佐, "朝鮮時事(見聞随記)" 春陽堂 1894

      17 小尾直蔵, "朝鮮国京城奇談" 報告堂 1885

      18 上田卓爾, "明治期を主とした「海外観光旅行」について" (6) : 2010

      19 旗田巍, "日本人の朝鮮観" 勁草書房 1969

      20 原田藤一郎, "亜細亜大陸旅行日誌並清韓露三国評論" 青木嵩山堂 1894

      21 Joshua A. Fogel, "The literature of travel in the japanese redicovery of china, 1862-1945"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6

      22 朴羊信, "19세기 말 일본인의 조선여행기에 나타난 조선상" 역사학회 177 : 105-130, 2003

      23 혼마 규스케지음, "(일본인의 조선정탐록) 조선잡기" 김영사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n Cultur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7 0.629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