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문화산업론과 문화산업 연구의 계보학 = Genealogy of the Theories and Studies about Culture Industry or Cultural Indust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210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Adorno와 Horkheimer의 문화산업 개념 제시 이래 문화산업론의 변화와 전환, 한국에서 문화산업 연구의 전개 등을 계보학적으로 성찰하였다. 문화산업 개념은 유네스코의 연구를 계기...

      본 연구는 Adorno와 Horkheimer의 문화산업 개념 제시 이래 문화산업론의 변화와 전환, 한국에서 문화산업 연구의 전개 등을 계보학적으로 성찰하였다. 문화산업 개념은 유네스코의 연구를 계기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철학적 개념인 ‘단수로서의 문화산업’ 대신 ‘복수로서의 문화산업’, 즉 현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산업체를 가리키게 되었으며, 문화산업론은 문화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 전략을 세우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1970년대 이후 문화산업 연구의 중심지는 철학, 사회학에서 경영학, 경제학 쪽으로 옮겨가게 되었으며, 특히 문화경제학이라는 새로운 분과 학문의 영향력이 커졌다. 또한 문화산업의 부가가치가 크게 증대함에 따라 각국의 정부에서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문화산업의 발전 전략 연구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문화산업의 시장가치에만 집중하는 획일적인 연구 경향을 비판하고 다원적,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 역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문화산업 연구에서 경제적 분석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하더라도 문화산업의 사회적 영향력과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문화산업 연구의 일반적 경향에 대한 다양한 비판들을 검토한 후 향후 문화산업 연구의 확장과 발전을 위해서 첫째, 실증적인 연구를 다양한 문화 이론과 결합시킬 것, 둘째, 문화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것, 셋째, 연구 대상을 미디어산업에 국한하지 않고 일상의 상업화된 문화적 환경들까지 연구 범위를 확대할 것 등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flected genealogically historical changes or conversions of the theories about culture industry since Adorno and Horkheimer’s idea of ‘Culture Industry’ presented and the representativ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in South Kor...

      This study reflected genealogically historical changes or conversions of the theories about culture industry since Adorno and Horkheimer’s idea of ‘Culture Industry’ presented and the representativ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in South Korea. It was occasioned by UNESCO’s significant studies that concept of ‘cultural industries’ pointing to various industries that exist in reality replaced ‘culture industry’, Frankfurt School’s philosophical concept. In addition the mainstream of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was changed direction to observe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industries and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m. As a result,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have been led by business administration or economics instead of philosophy and sociology since 1970s. Also the new discipline called ‘cultural economics’ has grown bigger and led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Depending on the added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is higher, governments began to be involv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studies about strategy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But they are still occurred the criticisms that the recent studies have only to concentrate on the market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and the arguments that we need more pluralistic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thembecaus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eir social value and influence, even though acknowledging the fact that economic analysis is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has a few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after examining the various criticisms about the general trend of recent studies. First, empirical researches must be combined with the various cultural theory. Second, it is need to strengthen the study about workers of cultural industries. Finally, it is desirable to widen studies to the overall cultural surroundings commercialized instead of being limited to the media indust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Adorno와 Horkheimer의 문화산업 개념 제시 이래 문화산업론의 변화와 전환, 한국에서 문화산업 연구의 전개 등을 계보학적으로 성찰하였다. 문화산업 개념은 유네스코의 연구를 계기...

      본 연구는 Adorno와 Horkheimer의 문화산업 개념 제시 이래 문화산업론의 변화와 전환, 한국에서 문화산업 연구의 전개 등을 계보학적으로 성찰하였다. 문화산업 개념은 유네스코의 연구를 계기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철학적 개념인 ‘단수로서의 문화산업’ 대신 ‘복수로서의 문화산업’, 즉 현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산업체를 가리키게 되었으며, 문화산업론은 문화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 전략을 세우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1970년대 이후 문화산업 연구의 중심지는 철학, 사회학에서 경영학, 경제학 쪽으로 옮겨가게 되었으며, 특히 문화경제학이라는 새로운 분과 학문의 영향력이 커졌다. 또한 문화산업의 부가가치가 크게 증대함에 따라 각국의 정부에서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문화산업의 발전 전략 연구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문화산업의 시장가치에만 집중하는 획일적인 연구 경향을 비판하고 다원적,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 역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문화산업 연구에서 경제적 분석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하더라도 문화산업의 사회적 영향력과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문화산업 연구의 일반적 경향에 대한 다양한 비판들을 검토한 후 향후 문화산업 연구의 확장과 발전을 위해서 첫째, 실증적인 연구를 다양한 문화 이론과 결합시킬 것, 둘째, 문화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것, 셋째, 연구 대상을 미디어산업에 국한하지 않고 일상의 상업화된 문화적 환경들까지 연구 범위를 확대할 것 등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flected genealogically historical changes or conversions of the theories about culture industry since Adorno and Horkheimer’s idea of ‘Culture Industry’ presented and the representativ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in South Kor...

      This study reflected genealogically historical changes or conversions of the theories about culture industry since Adorno and Horkheimer’s idea of ‘Culture Industry’ presented and the representativ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in South Korea. It was occasioned by UNESCO’s significant studies that concept of ‘cultural industries’ pointing to various industries that exist in reality replaced ‘culture industry’, Frankfurt School’s philosophical concept. In addition the mainstream of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was changed direction to observe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industries and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m. As a result,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have been led by business administration or economics instead of philosophy and sociology since 1970s. Also the new discipline called ‘cultural economics’ has grown bigger and led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Depending on the added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is higher, governments began to be involv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studies about strategy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But they are still occurred the criticisms that the recent studies have only to concentrate on the market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and the arguments that we need more pluralistic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thembecaus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eir social value and influence, even though acknowledging the fact that economic analysis is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has a few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after examining the various criticisms about the general trend of recent studies. First, empirical researches must be combined with the various cultural theory. Second, it is need to strengthen the study about workers of cultural industries. Finally, it is desirable to widen studies to the overall cultural surroundings commercialized instead of being limited to the media indust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문화산업론의 등장과 변환
      • Ⅲ. 문화산업 연구의 주요 경향
      • Ⅳ. 문화산업론의 재검토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문화산업론의 등장과 변환
      • Ⅲ. 문화산업 연구의 주요 경향
      • Ⅳ. 문화산업론의 재검토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ellner, D., "현상과인식" 한국인문사회과학회 1987

      2 Dodson, D., "현대사회와 대중문화" 나남 1998

      3 조광익, "현대 사회에서의 여가의 의미에 대한 문화산업론적 고찰" 한국관광학회 31 (31): 393-417, 2007

      4 박소라, "한국의 신문산업 1, 2" 한국언론재단 1999

      5 원용진, "한국의 문화연구 지형" 문화과학사 38 : 2004

      6 정이환, "한국영화산업 노동시장의 구조적 특성" 한국산업노동학회 11 (11): 89-118, 2005

      7 김택환, "한국 신문산업의 위기와 개혁: IMF 경제체제 및 정권교체를 계기로" 한국언론연구원 1998

      8 김휴종, "한국 대중문화산업 발전전략" 삼성경제연구소 1999

      9 Willis, P., "학교와 계급 재생산" 이매진 2004

      10 이호영, "프랑스의 문화산업체계" 지식마당 2003

      1 Kellner, D., "현상과인식" 한국인문사회과학회 1987

      2 Dodson, D., "현대사회와 대중문화" 나남 1998

      3 조광익, "현대 사회에서의 여가의 의미에 대한 문화산업론적 고찰" 한국관광학회 31 (31): 393-417, 2007

      4 박소라, "한국의 신문산업 1, 2" 한국언론재단 1999

      5 원용진, "한국의 문화연구 지형" 문화과학사 38 : 2004

      6 정이환, "한국영화산업 노동시장의 구조적 특성" 한국산업노동학회 11 (11): 89-118, 2005

      7 김택환, "한국 신문산업의 위기와 개혁: IMF 경제체제 및 정권교체를 계기로" 한국언론연구원 1998

      8 김휴종, "한국 대중문화산업 발전전략" 삼성경제연구소 1999

      9 Willis, P., "학교와 계급 재생산" 이매진 2004

      10 이호영, "프랑스의 문화산업체계" 지식마당 2003

      11 Bourdieu, P., "텔레비전에 대하여" 동문선 1998

      12 문병호, "테크놀로지의 비가역성과 문화산업 비판의 한계, 지향 방향" 인문콘텐츠학회 (14) : 117-136, 2009

      13 이창현, "초국가적 음반기업의 한국 음반시장 지배유형 연구" 1987

      14 이연정, "창조산업의 경제활동과 파급효과" 한국문화산업학회 10 (10): 27-49, 2010

      15 구문모, "창조산업의 경제적 기여와 서울시의 정책적 함의" 서울연구원 6 (6): 101-120, 2005

      16 권오혁, "지방문화산업 육성방안: 문화산업지구 조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0

      17 박명진, "제3공화국 이후 한국의 영화육성책 연구" 서울대 신문연구소 22 : 1985

      18 김승수, "정보자본주의와 대중문화산업" 한울 2007

      19 서동진,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신자유주의 한국사회에서 자기계발하는 주체의 탄생" 돌베개 2009

      20 신윤창, "자본주의와 문화산업" 법문사 2007

      21 김용호,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산업학회 9 (9): 47-65, 2009

      22 양종회, "영국의 문화산업체계" 지식마당 2003

      23 Thompson, E. P., "영국 노동계급의 형성(상, 하)" 창비 2000

      24 신병현, "애니메이션 산업의 노동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산업노동학회 8 (8): 111-139, 2002

      25 원용진, "신 문화산업론" 20 : 1996

      26 김휴종, "스크린쿼터제와 한국 영화산업" 삼성경제연구소 1998

      27 Baudrillard, J., "소비의 사회: 그 신화와 구조" 문예출판사 1991

      28 김승수, "세계화 자본주의 시대의 매체산업과 매체식민론" 한국언론정보학회 10 : 1998

      29 신창호, "서울시 문화산업 육성방안: 영상·게임산업을 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0

      30 Cuche, D., "사회과학에서의 문화 개념" 한울 2009

      31 김우식, "변화하는 사회환경, 기업의 대응" 지식마당 2002

      32 Jay, M., "변증법적 상상력" 돌베개 1981

      33 Benjamin, W.,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83

      34 이상길, "미디어와 문화산업 - 장이론의 맹점?"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4 (14): 70-100, 2006

      35 신병현, "미디어 산업의 조직적 특성과 문화상품 생산구조" 홍익대학교 경영연구소 26 : 2001

      36 이강수, "문화적 게이트키퍼로서의 출판산업과 출판인에 대한 연구" 3 : 1982

      37 김도종, "문화자본주의와 문화산업" 철학문화연구소 72 : 2007

      38 Smith, P., "문화이론 : 사회학적 접근" 이학사 2008

      39 Heilbrun, J., "문화예술경제학" 살림 2000

      40 Frey, B. S., "문화예술경제학" 시그마프레스 2008

      41 김재범, "문화산업의 이해" 서울경제경영 2005

      42 윤홍근, "문화산업의 영역과 접근시각에 관한 연구" (창간) : 2008

      43 송도영, "문화산업의 속도성과 도시적 일상문화의 성격 : ‘방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33 (33): 2000

      44 임상오, "문화산업의 발전방안" 을유문화사 2000

      45 김형석, "문화산업의 마케팅전문인력 양성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1 : 2000

      46 한균태, "문화산업의 개념과 전망" 135 : 1990

      47 박기성, "문화산업론의 유형" 한국언론학회 26 : 1991

      48 이정춘, "문화산업론과 출판학 연구의 논의" 출판사회학, 타래 1992

      49 UNESCO, "문화산업론" 나남 1987

      50 Mattelart, A., "문화산업론" 나남 1987

      51 Girard, A., "문화산업론" 나남 1987

      52 Breton, A., "문화산업론" 나남 1987

      53 문병호, "문화산업과 문화의 화해를 위하여" 인문학연구원 (43) : 205-228, 2009

      54 이득재, "문화산업과 문화경제학 비판" 문화과학사 38 : 2004

      55 문현병, "문화산업과 대중문화" 14 : 2002

      56 이영두, "문화산업 경영전략" 삶과꿈 2000

      57 Girard, A., "문화발전: 경험과 정책"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1974

      58 우석훈, "문화로 먹고살기" 반비 2011

      59 이케가미 준(池上 惇), "문화경제학 입문" 매일경제신문사 1996

      60 이흥재, "문화경제학 만나기" 김영사 2001

      61 이흥재, "문화경제학 만나기" 김영사 2001

      62 서정교, "문화경제학" 한올출판사 2003

      63 이케가미 준, "문화경제학" 나남 1999

      64 Throsby, D., "문화경제학" 한울 2004

      65 원용진, "매체와 지식세계" 문화과학사 48 : 2006

      66 김승수, "매체산업의 구조 재편: 대중문화산업에서 디지털문화산업으로" 문화과학사 48 : 2006

      67 강현두, "대중문화의 이론" 민음사 1979

      68 Swingewood, A, "대중문화의 원점" 전예원 1984

      69 이강수, "대중문화와 문화산업론" 나남 1998

      70 Adorno, T. W., "대중문화와 문화산업론" 나남 1998

      71 박기성,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평민사 1983

      72 성은애, "기나긴 혁명" 문학동네 2007

      73 강경훈, "글로벌무역시대의 문화산업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산업학회 10 (10): 62-80, 2010

      74 Bourdieu, P., "구별짓기(상, 하)" 새물결 2005

      75 임상오, "공연예술의 경제적 딜레마" 해남 2011

      76 김영민, "공부론" 샘터 2010

      77 Adorno, T. W., "계몽의 변증법: 철학적 단상" 문학과지성사 2001

      78 Hesmondhalgh, D, "The Cultural Industries" Sage 2007

      79 Rosenberg, B, "Mass Culture: The Popular Arts in America" Free press 1957

      80 Lash, S, "Global Culture Industry: The Mediation of Things, Polity" 2007

      81 Steinert, H., "Culture Industry, translated by Sally-Ann Spencer, Polity"

      82 DCMS, "Creative Industries Mapping 2001,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s"

      83 문화관광부, "2000 문화산업백서" 2000

      84 문화체육부, "1997 문화산업백서" 1997

      85 김대호, "1990년대 한국 영화산업에 대한 평가 : 위기론에 대한 반론" 한국언론학회 43 (43):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3 1.366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