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선루별곡(仙樓別曲)>을 통해 본, 19세기 초 성천(成川)의 관변풍류(官邊風流)와 정재공연(呈才公演) = The Public Performance of Gwanbyeon Pungryu and Jeongjae of Seongcheon in the Early 19th Century, Examined through < Seonlu Byeolgok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전통무용의 중핵이라 할 정재가 궁중에서뿐만 아니라, 지방 관변풍류의 중요 절차로 공연되었음을 <선루별곡>이라는 가사작품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선루별곡>은 국문학계에서도 별반 주목받지 못한 작품으로 1838년 9월 晩悟李厚淵에 의해 지어진 유흥 취향의 기행가사이다. 이 작품은 4음4보격을 1구로 계산해 총 100구에 걸쳐 기술한 비교적 짧은 분량의 가사이지만, 같은 해(1838) 작자가 성천부사로 부임하는 경화사족 출신 老園이인고를 따라 성천부에 가서 객사인 동명관의 강선루와 비류강을 배경으로 신관도임연을 즐긴 내용을 흥미롭게 서술해놓았다. 여기에는 19세기 초반 성천의 관변풍류와 정재공연의 실상이 작자의 감흥과 함께 비교적 소상히 기술되어 있어, 이를 통해 지방 관변에서 연행된 교방정재의 공연실상을 넉넉히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사례는 사행록이나 기행가사 등에 심심치 않게 발견되는데, 학문분야간 교류가 원활하지 못했던 관계상, 그동안 무용계나 국악계에는 이들 자료가 보고되지 못했는데, 이 글은 <선루별곡>이라는 문학작품을 사례로 학문분야간 정보교류의 관점에 서서 민족무용인 정재에 대한 인문학적 글읽기를 제안해보았다.
      번역하기

      이 글은 한국전통무용의 중핵이라 할 정재가 궁중에서뿐만 아니라, 지방 관변풍류의 중요 절차로 공연되었음을 <선루별곡>이라는 가사작품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선루별곡>은 국...

      이 글은 한국전통무용의 중핵이라 할 정재가 궁중에서뿐만 아니라, 지방 관변풍류의 중요 절차로 공연되었음을 <선루별곡>이라는 가사작품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선루별곡>은 국문학계에서도 별반 주목받지 못한 작품으로 1838년 9월 晩悟李厚淵에 의해 지어진 유흥 취향의 기행가사이다. 이 작품은 4음4보격을 1구로 계산해 총 100구에 걸쳐 기술한 비교적 짧은 분량의 가사이지만, 같은 해(1838) 작자가 성천부사로 부임하는 경화사족 출신 老園이인고를 따라 성천부에 가서 객사인 동명관의 강선루와 비류강을 배경으로 신관도임연을 즐긴 내용을 흥미롭게 서술해놓았다. 여기에는 19세기 초반 성천의 관변풍류와 정재공연의 실상이 작자의 감흥과 함께 비교적 소상히 기술되어 있어, 이를 통해 지방 관변에서 연행된 교방정재의 공연실상을 넉넉히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사례는 사행록이나 기행가사 등에 심심치 않게 발견되는데, 학문분야간 교류가 원활하지 못했던 관계상, 그동안 무용계나 국악계에는 이들 자료가 보고되지 못했는데, 이 글은 <선루별곡>이라는 문학작품을 사례로 학문분야간 정보교류의 관점에 서서 민족무용인 정재에 대한 인문학적 글읽기를 제안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rough the Gasa work of < Seonlu Byeolgok > that Jeongjae, which is important in Korean traditional dance, was performed not only at Court but also at the provinces as an important procedure. < Seonlu Byeolgok >, which was not particularly noticed even in the world of Korean literature, is a travel Gasa of amusement written by Mano Ihuyeon on September 1838. Although the length of this work is a total of about 100 verses, which was relatively small quantity of Gasa, the Gasa described interestingly the content that the writer enjoyed Singwandoimyeon with both Gangseonlu of Dongmyeongwan and Biryujang for background after going to Seoncheonbu along with nowon Iingo of Gyeongwhasajok birth, who was newly appointed as a Seongcheonbusa in the same year (1838). In this work, the performance of Gwanbyeon Pungryu and Jeongjae of Seongcheon in the early 19th century is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the writer's impressions. Through the work, performance situations of Gyobang Jeongjae, which was played at local government circles, can be learned. These cases are occasionally found in Sahaenglok or travel Gasa, etc, and this article suggests humane reading about Jeongjae, a national dance, from the standpoint of information exchange among academic fields, with literary works of < Seonlu Byeolgok > as a case.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through the Gasa work of < Seonlu Byeolgok > that Jeongjae, which is important in Korean traditional dance, was performed not only at Court but also at the provinces as an important procedure. < Seonlu Byeolgok >, whi...

      This article examines through the Gasa work of < Seonlu Byeolgok > that Jeongjae, which is important in Korean traditional dance, was performed not only at Court but also at the provinces as an important procedure. < Seonlu Byeolgok >, which was not particularly noticed even in the world of Korean literature, is a travel Gasa of amusement written by Mano Ihuyeon on September 1838. Although the length of this work is a total of about 100 verses, which was relatively small quantity of Gasa, the Gasa described interestingly the content that the writer enjoyed Singwandoimyeon with both Gangseonlu of Dongmyeongwan and Biryujang for background after going to Seoncheonbu along with nowon Iingo of Gyeongwhasajok birth, who was newly appointed as a Seongcheonbusa in the same year (1838). In this work, the performance of Gwanbyeon Pungryu and Jeongjae of Seongcheon in the early 19th century is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the writer's impressions. Through the work, performance situations of Gyobang Jeongjae, which was played at local government circles, can be learned. These cases are occasionally found in Sahaenglok or travel Gasa, etc, and this article suggests humane reading about Jeongjae, a national dance, from the standpoint of information exchange among academic fields, with literary works of < Seonlu Byeolgok > as a cas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