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학습에서 협력적 상호작용은 집단 시너지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며, 이 과정에서 집단 시너지는 학습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협력적 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16533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83-406(24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집단학습에서 협력적 상호작용은 집단 시너지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며, 이 과정에서 집단 시너지는 학습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협력적 상...
집단학습에서 협력적 상호작용은 집단 시너지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며, 이 과정에서 집단 시너지는 학습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협력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비하여, 영향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밝혀진 바가 미비하다. 최근 사회연결망의 중앙성 지수를 통해 협력적 상호작용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집단학습에서 협력적 상호작용을 반영하는 사회연결망 중앙성이 집단 시너지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총 30개 집단, 165명의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사회연결망분석과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서 독립변인인 중앙성은 내향연결, 외향연결, 사이, 인접, 위세 중앙성이라는 하위변인으로, 종속변인인 집단 시너지는 긍정효과 증가, 팀 역량 향상, 부정효과 감소, 집단 창의성 향상이라는 시너지 하위변인으로 세분화된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성은 집단 시너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세부적으로 외향연결 중앙성이 집단 시너지 하위요인인 ‘긍정효과 증가’와 ‘팀 역량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앙성은 학업성취에도 긍정적 영향을 보였고, 세부적으로 내향연결 중앙성과 인접 중앙성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연결망 중앙성은 집단 시너지 보다는 학업성취에 더 중요하게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협력적 상호작용의 중요성, 집단 구성, 리더의 선발과 역할, 학습 활동과 전략에 대한 설계 등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 group learning, collaborative interaction is a key variable influencing group synergy and learning, in which group synergy appears to play a positive role in achieving learning performance. Compared with its importance of collaborative interactio...
In a group learning, collaborative interaction is a key variable influencing group synergy and learning, in which group synergy appears to play a positive role in achieving learning performance. Compared with its importance of collaborative interaction, however, research on its influence is scant so that little is known. Recently, collaborative interaction can be understood by social network analysis (SNA). Hence, this study analyzed to see if social network centrality reflecting collaborative interaction in a group learning affects group synergy and learning achievement, in which centrality was divided into 5 sub-elements including in-degree, out-degree, betweenness, closeness, and eigenvector centrality; group synergy into 4 sub-elements including the increase of positive effect, the increase of team competency, the decrease of negative effect, and the increase of group creativity. The study conducted SN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subjects of which were 165 college students in 30 groups.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out-degree centrality positively influenced on group synergy, including the increase of positive effect and the increase of team competency. Second, in-degree and closeness centrality influenced on academic achievement. Social network centrality influenced more on academic achievement than on group synergy.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described discussions and presented implications. Included were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interaction, group formation, the selection and role of a group leader, and the design of learning activities and strategie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일현, "협동학습팀 내 사회연결망 지수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95-317, 2008
2 최종면, "팀역량이 팀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3 이춘우, "팀역량의 구성요소모델과 측정지표 개발연구: 선행연구문헌 검토를 중심으로" 29 (29): 125-174, 1995
4 심덕섭, "팀 구성, 팀 프로세스, 성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 1-30, 2008
5 양미경, "집단지성의 구현을 위한 협력학습의 원리 탐색"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457-483, 2011
6 이유나, "집단지성의 교육적 적용을 위한 개념모형과 설계 원리" 한국교육공학회 25 (25): 215-241, 2009
7 김선연, "집단 협력학습에서 시너지의 심층적 개념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3 (33): 75-104, 2017
8 강명희, "웹기반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5요인 성격 특성이 상호작용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197-223, 2008
9 김명랑, "웹기반 협동학습에서 상호의존성과 집단 유형에 대한 사회연결망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0 (20): 155-172, 2008
10 남창우, "온라인 협동학습에서 긍정적 상호의존성과 그룹 프로세싱이 학습자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 한국교육공학회 25 (25): 177-205, 2009
1 조일현, "협동학습팀 내 사회연결망 지수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95-317, 2008
2 최종면, "팀역량이 팀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3 이춘우, "팀역량의 구성요소모델과 측정지표 개발연구: 선행연구문헌 검토를 중심으로" 29 (29): 125-174, 1995
4 심덕섭, "팀 구성, 팀 프로세스, 성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 1-30, 2008
5 양미경, "집단지성의 구현을 위한 협력학습의 원리 탐색"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457-483, 2011
6 이유나, "집단지성의 교육적 적용을 위한 개념모형과 설계 원리" 한국교육공학회 25 (25): 215-241, 2009
7 김선연, "집단 협력학습에서 시너지의 심층적 개념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3 (33): 75-104, 2017
8 강명희, "웹기반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5요인 성격 특성이 상호작용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197-223, 2008
9 김명랑, "웹기반 협동학습에서 상호의존성과 집단 유형에 대한 사회연결망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0 (20): 155-172, 2008
10 남창우, "온라인 협동학습에서 긍정적 상호의존성과 그룹 프로세싱이 학습자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 한국교육공학회 25 (25): 177-205, 2009
11 임규연, "온라인 팀 프로젝트에서 팀 리더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5 (15): 295-317, 2009
12 박은실,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사회연결망 중심도가 지식구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353-377, 2011
13 서원석, "온라인 토론의 참여환경과 토론집단 크기에 따른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한국교육공학회 28 (28): 757-779, 2012
14 김선연, "시너지의 구조 탐구 및 시너지가 비구조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017-1039, 2018
15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박영사 2016
16 남창우, "사회 연결망 내에서 중앙성이 학습자의 학업성취와 온라인 협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51-73, 2012
17 이유미, "대학생 팀 프로젝트 수행에서 나타나는 갈등 관리와 인식에 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47) : 595-612, 2015
18 노드엑셀 코리아, "노드엑셀 따라잡기" 패러다임북 2015
19 신원석, "The Influence of Using Web 2.0 on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in an Online Discussion Forum" 한국교육공학회 27 (27): 247-266, 2011
20 Hoegl, M., "Teamwork quality and the success of innovative projects : A theoretical concept and empirical evidence" 12 (12): 435-449, 2001
21 Guzzo, R. A., "Teams in organizations : Recent research on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47 : 307-338, 1996
22 Watson, W., "Team processes, team conflict, team outcomes and gender : an examination of US and Mexican learning teams" 32 (32): 524-537, 2008
23 Hollingshead, A. B., "Team effectiveness and decision making in organizations" Jossey-Bass 46-48, 1995
24 Cannon-Bowers, J. A., "Team effectiveness and decision making in organizations" Jossey-Bass 333-380, 1995
25 Lambropoulos, N., "Supporting social awareness in collaborative e-learning" 43 (43): 295-306, 2012
26 Cho, H., "Social networks, communication styles and learning performance in a CSCL community" 49 (49): 309-329, 2007
27 Wang, Y., "Social network analysis of interaction in online learning communities" 2007
28 Wasserman, S., "Social network analysis :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29 Russo, T. C., "Prestige, centrality, and learning :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an online class" 54 (54): 254-261, 2005
30 Aviv, R., "Network analysis of knowledge construction in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7 (7): 1-20, 2003
31 Johnson, D. W., "Impact of positive interdependence during electronic quizzes on discourse and achievement" 95 (95): 161-172, 2002
32 De Wever, B., "Content analysis schemes to analyze transcripts of online asynchronous discussion groups : A review" 46 (46): 6-28, 2005
33 Druskat, V. U., "A team competency study of self-managed manufacturing teams" Boston University 1996
34 Weinberger, A., "A framework to analyze argumentative knowledge construction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46 (46): 71-95, 2006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수업관찰 유형에 따른 수업전문성 요인 차이 분석: ICALT 수업분석 관찰도구 활용을 기반으로
복합적 과제에서 전체과제계열화를 적용한 CTA(Cognitive-Task Analysis)가 전문가의 지식추출에 미치는 영향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과 자아존중감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3.7 | 3.7 | 3.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89 | 2.68 | 3.751 | 0.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