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7차 교육과정 초등수학 교사용 지도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3-가, 3-나 단계를 중심으로 = (The) 7th curriculum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Manual, The Student's of improvement Plan : Centered on Elementary Mathematics 3-Ga, 3-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114191

      • 저자
      • 발행사항

        제주 :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5.441 판사항(4)

      • DDC

        372.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제주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iv, 179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76-177

      • 소장기관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초등 수학 교과의 내용을 아동들에게 정확하게 가르치기 위한 목적으로 교사에게 제공되는 교수-학습 자료 지침서로서 교사용 지도서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과목표 달성의 성공 여부는 교육과정의 기본정신을 바르게 해석하고 이를 충실히 반영하는 잘 제작된 교재의 사용 여부와 더불어 교사가 얼마나 수업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교사용 지도서는 교사가 효과적으로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하도록 지침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지도서는 수학을 전문적으로 전공하지 않은 초등교사의 입장에서 볼 때 각 차시별로 전개되는 내용들 사이의 연관성이나 위계성에 대한 보다 더 상세한 안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수학 3-가, 3-나 단계를 중심으로 각 차시별로 전개되는 내용들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보다 더 상세한 지도내용 뿐만 아니라, 이론적 배경, 수학사 및 실생활 관련자료, 동기유발 자료 등을 이용하여 교사용 지도서를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 함 으로써 향후 보다 더 개선된 교사용 지도서를 만들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제 7차 교육과정의 준비시기에 실시한 제 6차 초등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실태 및 현행 제 7차 초등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실태를 연구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제 7차 초등수학 3-가, 3-나 단계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고 필요한 부분을 재구성 하였다. 그 후 재구성된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을 일선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시켜 본 뒤, 수업을 진행한 교사의 의견과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재구성된 교사용 지도서를 사용한 교사와 아동들의 반응은 재구성된 지도서가 현행 지도서보다 더 흥미롭고 활동적인 수학 수업을 이끌 수 있는 자료로서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이것은 교사용 지도서가 현장에서 지도서를 사용하는 고객인 교사 입장에서 더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되어야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번역하기

      초등 수학 교과의 내용을 아동들에게 정확하게 가르치기 위한 목적으로 교사에게 제공되는 교수-학습 자료 지침서로서 교사용 지도서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과목...

      초등 수학 교과의 내용을 아동들에게 정확하게 가르치기 위한 목적으로 교사에게 제공되는 교수-학습 자료 지침서로서 교사용 지도서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과목표 달성의 성공 여부는 교육과정의 기본정신을 바르게 해석하고 이를 충실히 반영하는 잘 제작된 교재의 사용 여부와 더불어 교사가 얼마나 수업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교사용 지도서는 교사가 효과적으로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하도록 지침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지도서는 수학을 전문적으로 전공하지 않은 초등교사의 입장에서 볼 때 각 차시별로 전개되는 내용들 사이의 연관성이나 위계성에 대한 보다 더 상세한 안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수학 3-가, 3-나 단계를 중심으로 각 차시별로 전개되는 내용들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보다 더 상세한 지도내용 뿐만 아니라, 이론적 배경, 수학사 및 실생활 관련자료, 동기유발 자료 등을 이용하여 교사용 지도서를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 함 으로써 향후 보다 더 개선된 교사용 지도서를 만들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제 7차 교육과정의 준비시기에 실시한 제 6차 초등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실태 및 현행 제 7차 초등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실태를 연구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제 7차 초등수학 3-가, 3-나 단계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고 필요한 부분을 재구성 하였다. 그 후 재구성된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을 일선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시켜 본 뒤, 수업을 진행한 교사의 의견과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재구성된 교사용 지도서를 사용한 교사와 아동들의 반응은 재구성된 지도서가 현행 지도서보다 더 흥미롭고 활동적인 수학 수업을 이끌 수 있는 자료로서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이것은 교사용 지도서가 현장에서 지도서를 사용하는 고객인 교사 입장에서 더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되어야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eacher's manual plays a very important role as a reference to teaching material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teaching kids the elementary math courses. This is why the achievement of course objectives depends on the well-designed materials and how efficiently teachers conduct the courses. In this process, teacher's manual should accomplish its role as a reference to the efficient teaching-learning activities.
      However, current manuals need to provide more detailed guides about the correlation and hierarchy between items for the teachers who didn't major in mathematics.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vide the ideas on making an improved teacher's manual by using the materials about detailed teaching contents, theoretical background, mathematical history, practical application in everyday life and motivations focused on 3-a and 3-b.
      For this, I studied the preceding studies about the real application of the 7th elementary math teacher's manual and that of the 6th manual surveyed during the preparation of 7th education.
      In addition, the texts and teacher's manual of the 7th elementary math 3-a, 3-b levels were analyzed and necessary parts were modified. Later, opinions from teachers and students were analyzed after I applied the modified teacher's manual to the elementary teaching.
      The survey showed that the modified manual is better than the current manual for the more interesting and active math class.
      This shows that teacher's manual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more materials from the standpoint of teachers who are teaching in class.
      번역하기

      Teacher's manual plays a very important role as a reference to teaching material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teaching kids the elementary math courses. This is why the achievement of course objectives depends on the well-designed materials and how ef...

      Teacher's manual plays a very important role as a reference to teaching material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teaching kids the elementary math courses. This is why the achievement of course objectives depends on the well-designed materials and how efficiently teachers conduct the courses. In this process, teacher's manual should accomplish its role as a reference to the efficient teaching-learning activities.
      However, current manuals need to provide more detailed guides about the correlation and hierarchy between items for the teachers who didn't major in mathematics.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vide the ideas on making an improved teacher's manual by using the materials about detailed teaching contents, theoretical background, mathematical history, practical application in everyday life and motivations focused on 3-a and 3-b.
      For this, I studied the preceding studies about the real application of the 7th elementary math teacher's manual and that of the 6th manual surveyed during the preparation of 7th education.
      In addition, the texts and teacher's manual of the 7th elementary math 3-a, 3-b levels were analyzed and necessary parts were modified. Later, opinions from teachers and students were analyzed after I applied the modified teacher's manual to the elementary teaching.
      The survey showed that the modified manual is better than the current manual for the more interesting and active math class.
      This shows that teacher's manual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more materials from the standpoint of teachers who are teaching in cla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 2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 2
      • Ⅱ. 이론적 배경 = 3
      • 1. 선행연구의 고찰 = 3
      • 2. 제7차 교육과정 초등 수학 교사용 지도서 편찬 방향(교육인적자원부, 2004b) = 7
      • 3. 초등 수학교육과 수학사 = 8
      • 4. 7차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실생활 관련 내용 = 11
      • 5. 아동들의 수학적 신념과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의 실생활 자료 활용 = 12
      • Ⅲ. 연구의 실제 = 13
      • 1.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재구성의 실제 = 13
      • 2. 자료 개발의 실제 = 19
      • 가. 자료 목록 = 19
      • 나. 자료 활용의 실제 = 22
      • 다. 개발 자료 = 92
      • 1) 이론적 배경 = 92
      • 2) 수학사 이야기 자료 = 114
      • 3) 실생활 관련 자료 = 138
      • 4) 동기유발 자료 = 149
      • 5) 활동 자료 = 164
      • 3. 재구성된 교사용 지도서를 사용한 교사들의 설문 결과 = 170
      • 4. 재구성된 교사용 지도서로 강의를 받은 아동들의 반성적 일지 = 173
      • Ⅳ. 결론 = 174
      • 참고문헌 = 176
      • The English Extract = 1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