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반응적 교수법에 의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질량 보존과 부피 변화에 대한 사고 변화 분석 = The Analysis of Thought Change of 11th Grade Students related to Conservation of Mass and Volume Change by Responsive Teach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973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four 11th grade students at a high school in a small town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responsive teaching. The three phases of the responsive teaching method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y were subdivided into six stages; Step 1 is elicitation of students’ thoughts related to macroscopic world, Step 2 is drawing of students’ early thoughts related to microscopic world, Step 3 is disciplinary connections with ideas of the particle, Step 4 is to clarify the learner’s thoughts on the particle by the teacher’s involvement, Step 5 is deepening students’ thoughts, and Step 6 is expanding ideas. In Step 4, students came to the recognition that the cause of mass was atoms and that the cause of volume was molecules. In Step 5, students led to a shift in thinking that could ignore the volume of the molecules themselves through the properties of protons and neutrons that affect mass from a particle perspective. In the Step 6 of expanding ideas, students explained molecular motion by the concept of material point which ignores the volume of particles. This steps gave students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ss and volume of particles required by Avogadro’s law.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some systems could be studied only indirectly because they were too small, too large, too fast, or too slow to observe directly.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on four 11th grade students at a high school in a small town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responsive teaching. The three phases of the responsive teaching method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y were subdivided into six sta...

      This study was conducted on four 11th grade students at a high school in a small town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responsive teaching. The three phases of the responsive teaching method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y were subdivided into six stages; Step 1 is elicitation of students’ thoughts related to macroscopic world, Step 2 is drawing of students’ early thoughts related to microscopic world, Step 3 is disciplinary connections with ideas of the particle, Step 4 is to clarify the learner’s thoughts on the particle by the teacher’s involvement, Step 5 is deepening students’ thoughts, and Step 6 is expanding ideas. In Step 4, students came to the recognition that the cause of mass was atoms and that the cause of volume was molecules. In Step 5, students led to a shift in thinking that could ignore the volume of the molecules themselves through the properties of protons and neutrons that affect mass from a particle perspective. In the Step 6 of expanding ideas, students explained molecular motion by the concept of material point which ignores the volume of particles. This steps gave students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ss and volume of particles required by Avogadro’s law.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some systems could be studied only indirectly because they were too small, too large, too fast, or too slow to observe direct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중소도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명을 대상으로 반응적 교수법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반응적 교수법의 3단계를 세분화하여 6단계로 구성하였다. 1단계는 학생들의 거시적 생각 드러내기, 2단계는 학생들의 초기 미 시적 생각 이끌어내기, 3단계는 입자에 대한생각을 학문과 연결하기, 4단계는 교사가 개입하여 입자에 대한 학습자의 생각을 명 료히 하기, 5단계는 학생 생각 심화하기, 6단계는 학생 생각 확장하기였다. 4단계까지의 과정을 통해 질량의 원인은 원자이며, 부 피의 원인은 분자라는 학생들의 생각이 명료하게 드러났다. 5단계에서 학생들은 양성자와 중성자가 존재하는 공간을 매우 작으 므로 분자 자체의 부피는 무시한다는 개념에 도달하였다. 그리고 생각을 확장하는 6단계에서 입자의 부피를 무시한 질점의 개 념으로 분자 운동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아보가드로의 법칙에서 요구되는 입자의 질량보존과 부피변화의 관계에 대 한 관점을 획득하고, 어떤 시스템은 직접 관찰하기에 너무 작거나, 너무 크거나,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려서 간접적으로만 연구 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중소도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명을 대상으로 반응적 교수법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반응적 교수법의 3단계를 세분화하여 6단계로 구성하였다. 1단계는 학생...

      이 연구는 중소도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명을 대상으로 반응적 교수법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반응적 교수법의 3단계를 세분화하여 6단계로 구성하였다. 1단계는 학생들의 거시적 생각 드러내기, 2단계는 학생들의 초기 미 시적 생각 이끌어내기, 3단계는 입자에 대한생각을 학문과 연결하기, 4단계는 교사가 개입하여 입자에 대한 학습자의 생각을 명 료히 하기, 5단계는 학생 생각 심화하기, 6단계는 학생 생각 확장하기였다. 4단계까지의 과정을 통해 질량의 원인은 원자이며, 부 피의 원인은 분자라는 학생들의 생각이 명료하게 드러났다. 5단계에서 학생들은 양성자와 중성자가 존재하는 공간을 매우 작으 므로 분자 자체의 부피는 무시한다는 개념에 도달하였다. 그리고 생각을 확장하는 6단계에서 입자의 부피를 무시한 질점의 개 념으로 분자 운동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아보가드로의 법칙에서 요구되는 입자의 질량보존과 부피변화의 관계에 대 한 관점을 획득하고, 어떤 시스템은 직접 관찰하기에 너무 작거나, 너무 크거나,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려서 간접적으로만 연구 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Niaz, M, 79 : 19-, 1995

      2 Stevens, S. Y., 24 : 381-, 2013

      3 Portides, D. P., 16 : 699-, 2007

      4 diSessa, A. A, 10 : 105-, 1993

      5 Ball, D. L., 93 : 373-, 1993

      6 Maskiewicz, A.C, 2010

      7 Sangmyeon, A., 3 : 368-, 1993

      8 Harrer, B. W., 9 : 023101-, 2013

      9 Watkins, J., 102 : 548-, 2018

      10 Maskiewicz, A. C., 49 : 429-, 2012

      1 Niaz, M, 79 : 19-, 1995

      2 Stevens, S. Y., 24 : 381-, 2013

      3 Portides, D. P., 16 : 699-, 2007

      4 diSessa, A. A, 10 : 105-, 1993

      5 Ball, D. L., 93 : 373-, 1993

      6 Maskiewicz, A.C, 2010

      7 Sangmyeon, A., 3 : 368-, 1993

      8 Harrer, B. W., 9 : 023101-, 2013

      9 Watkins, J., 102 : 548-, 2018

      10 Maskiewicz, A. C., 49 : 429-, 2012

      11 Hogan, K, 21 : 855-, 1999

      12 Hammer, D. M., 5 : 97-, 1996

      13 조나연, "반응적 교수법이 예비화학교사들의 증발과 끓음에 관한 수업설계 인식에 미친 영향" 대한화학회 63 (63): 123-133, 2019

      14 이재원, "물질의 특성에 대한 중학생의 거시적 개념과 미시적 개념의 비교" 대한화학회 62 (62): 243-252, 2018

      15 Brodie, K., "Working with learners’ mathematical thinking:Towards a language of description for changing pedagogy" 27 : 174-, 2011

      16 Robertson, A. D., "What is responsive teaching?" Routledge 1-35, 2016

      17 Pierson, J. L, "The relationship between patterns of classroom discourse and mathematics learning 2008"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8

      18 Hammer, D, "Seeing the Science in Children’s Thinking: Case Studies of Student Inquiry in Physical Science" Heinemann 2012

      19 Bain, R, "Rounding up unusual suspects: Facing the authority hidden in the history classroom" 108 (108): 2080-2114, 2006

      20 Colley, C., "Rigor in elementary science students’ discourse: The role of responsiveness and supportive conditions for talk" 100 : 1009-, 2016

      21 Colestck, A. A, "Responsive Teaching in Science and Mathematics" Routledge 126-144, 2016

      22 Kavanagh, S. S., "Practicing responsiveness: Using approximations of teaching to develop teachers’ responsiveness to students’ ideas" 2019

      23 Empson, S. B., "Learning to listen to children’s mathematics" Sense 257-281, 2008

      24 신남수, "Learning Progression을 적용한 중·고등학생의 ‘물질의 입자성’에 관한 지식과 미시적 표상에 대한 특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437-447, 2014

      25 Hammer, D., "Implications of complexity for research on learning progressions" 99 : 424-, 2015

      26 Moje, E. B, "Doing and teaching disciplinary literacy with adolescent learners: A social and cultural enterprise" 85 (85): 254-278, 2015

      27 Radoff, J., "Attention to Student Framing in Responsive Teaching" Routledge 189-202, 2016

      28 Levin, D. M., "Attending and responding to student thinking in science" 74 (74): 158-162,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8 0.14 0.364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