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TT 시대의 극장문화와 공간콘텐츠의 확장 가능성 연구 - 영화관을 중심으로 - = The Expandability Study of Theatre Culture and Spatial Content for OTT Period - Focused on Cinem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002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birth of the movie, the theater has been keeping audiences from various crises for more than 100 years. However, in 2020, the crisis of theaters around the world came back due to the Covid19, and the industry of OTT (Over The Top), which is easily accessible to anyone, is expanding during this period, threatening the existence of a space called theater. Theater officials are worried about how to overcome the “crisis of desperation” due to the new platform and how to attract audiences who stopped visiting theaters in the OTT period, and the theater company is looking for alternatives and ways to do this again. In this respect, the meaning of theater culture in the OTT period and how the theater space can be expanded were examined. To this end, we need to check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raditional theater screening with OTT, what points can be expanded by applying new technologies to attract audiences, what examples of expansion of performing cultural contents meet on the theater screen, how to create a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OTT and theater, and the future of theater.
      번역하기

      Since the birth of the movie, the theater has been keeping audiences from various crises for more than 100 years. However, in 2020, the crisis of theaters around the world came back due to the Covid19, and the industry of OTT (Over The Top), which is ...

      Since the birth of the movie, the theater has been keeping audiences from various crises for more than 100 years. However, in 2020, the crisis of theaters around the world came back due to the Covid19, and the industry of OTT (Over The Top), which is easily accessible to anyone, is expanding during this period, threatening the existence of a space called theater. Theater officials are worried about how to overcome the “crisis of desperation” due to the new platform and how to attract audiences who stopped visiting theaters in the OTT period, and the theater company is looking for alternatives and ways to do this again. In this respect, the meaning of theater culture in the OTT period and how the theater space can be expanded were examined. To this end, we need to check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raditional theater screening with OTT, what points can be expanded by applying new technologies to attract audiences, what examples of expansion of performing cultural contents meet on the theater screen, how to create a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OTT and theater, and the future of theat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영화의 탄생 이후 극장은 100여 년 넘는 시간동안 다양한 위기로부터 관객들이 극장에발걸음이 끊이지 않도록 지켜왔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전 세계 극장의 대위기는 다시 찾아왔고, 누구나 손쉽게 접근 가능한 OTT(Over The Top)의 산업이이 시기를 틈타 확장되면서 극장이라는 공간의 존폐까지 위협하고 있다. 극장이라는 공간은 새로운 플랫폼으로 인하여 ‘절체절명의 위기’로부터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인지, OTT 시대에 극장 발길을 멈춘 관객들을 어떻게 유입 시킬 수 있는지 극장관계자들은 고민에 빠졌고, 이 것에 대한 대안과 방안을 극장가는 또 다시 모색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OTT 시대의 극장문화 의미와 그로인하여 극장이라는 공간이 어떻게 확장 가능한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OTT 등장으로 전통적 극장상영에 대한 인식변화는 어떠한지, 극장의위기를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여 관객 유입을 모색하면서 확장 가능한 지점은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극장 스크린으로 만나는 공연문화콘텐츠의 확장 가능성의 사례는 무엇이 있는지, 디지털 기술의 성장과 경계파괴에 대한 인식에 따라 공간 콘텐츠의 확장성이 있는지를살펴보면서, OTT와 극장의 공생관계를 어떻게 만들어가야 하는지, 극장 위기에 따라 대처하는 극장콘텐츠의 방향과, 경쟁력 있는 극장기술을 통해 새로운 공존의 시대로 계속 이어갈 수 있는지, 극장의 미래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영화의 탄생 이후 극장은 100여 년 넘는 시간동안 다양한 위기로부터 관객들이 극장에발걸음이 끊이지 않도록 지켜왔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전 세계 극장의 대위기는 ...

      영화의 탄생 이후 극장은 100여 년 넘는 시간동안 다양한 위기로부터 관객들이 극장에발걸음이 끊이지 않도록 지켜왔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전 세계 극장의 대위기는 다시 찾아왔고, 누구나 손쉽게 접근 가능한 OTT(Over The Top)의 산업이이 시기를 틈타 확장되면서 극장이라는 공간의 존폐까지 위협하고 있다. 극장이라는 공간은 새로운 플랫폼으로 인하여 ‘절체절명의 위기’로부터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인지, OTT 시대에 극장 발길을 멈춘 관객들을 어떻게 유입 시킬 수 있는지 극장관계자들은 고민에 빠졌고, 이 것에 대한 대안과 방안을 극장가는 또 다시 모색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OTT 시대의 극장문화 의미와 그로인하여 극장이라는 공간이 어떻게 확장 가능한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OTT 등장으로 전통적 극장상영에 대한 인식변화는 어떠한지, 극장의위기를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여 관객 유입을 모색하면서 확장 가능한 지점은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극장 스크린으로 만나는 공연문화콘텐츠의 확장 가능성의 사례는 무엇이 있는지, 디지털 기술의 성장과 경계파괴에 대한 인식에 따라 공간 콘텐츠의 확장성이 있는지를살펴보면서, OTT와 극장의 공생관계를 어떻게 만들어가야 하는지, 극장 위기에 따라 대처하는 극장콘텐츠의 방향과, 경쟁력 있는 극장기술을 통해 새로운 공존의 시대로 계속 이어갈 수 있는지, 극장의 미래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희, "장자의 자아 해체와 디지털 미디어 사회의 분열적 자기의식 비교연구" 새한철학회 103 (103): 45-68, 2021

      2 제프리 노웰 스미스, "옥스퍼드 세계영화사" 열린책들 2005

      3 루이스 자네티, "영화의 이해" 현암사 1999

      4 스티븐 컨,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 휴머니스트 2004

      5 버지니아 라이트 웩스먼, "세상의 모든 영화" 이론과 실천 2008

      6 이윤영, "사유속의 영화 : 영화이론 선집" 문학과지성사 2011

      7 김영아 ; 신승윤 ; 김재호, "비주얼스토리텔링의 몰입을 위한 동일시 패턴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4-64, 2012

      8 박설호, "발터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에 관하여" 한국브레히트학회 9 : 2001

      9 인하대 문과대학 특화사업단, "문화이론과 문화콘텐츠의 실제" 인하대학교 출판부 2005

      10 김희, "디지털 미디어 사회의 자기의식 강화와 장자 무기(無己)의 변증논리 비교 연구" 대동철학회 95 : 29-50, 2021

      1 김희, "장자의 자아 해체와 디지털 미디어 사회의 분열적 자기의식 비교연구" 새한철학회 103 (103): 45-68, 2021

      2 제프리 노웰 스미스, "옥스퍼드 세계영화사" 열린책들 2005

      3 루이스 자네티, "영화의 이해" 현암사 1999

      4 스티븐 컨,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 휴머니스트 2004

      5 버지니아 라이트 웩스먼, "세상의 모든 영화" 이론과 실천 2008

      6 이윤영, "사유속의 영화 : 영화이론 선집" 문학과지성사 2011

      7 김영아 ; 신승윤 ; 김재호, "비주얼스토리텔링의 몰입을 위한 동일시 패턴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4-64, 2012

      8 박설호, "발터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에 관하여" 한국브레히트학회 9 : 2001

      9 인하대 문과대학 특화사업단, "문화이론과 문화콘텐츠의 실제" 인하대학교 출판부 2005

      10 김희, "디지털 미디어 사회의 자기의식 강화와 장자 무기(無己)의 변증논리 비교 연구" 대동철학회 95 : 29-50, 2021

      11 심혜련, "대중매체에 관한 발터 벤야민의 미학적 고찰이 지니는 현대적 의의" 한국미학회 (30) : 169-208, 2001

      12 발터 벤야민, "기술적 복제시대의 예술작품" b 2017

      13 미라 펠너, "공연예술산책" 시그마프레스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